KR200249672Y1 - 이중 마개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마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672Y1
KR200249672Y1 KR2020010019727U KR20010019727U KR200249672Y1 KR 200249672 Y1 KR200249672 Y1 KR 200249672Y1 KR 2020010019727 U KR2020010019727 U KR 2020010019727U KR 20010019727 U KR20010019727 U KR 20010019727U KR 200249672 Y1 KR200249672 Y1 KR 200249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dge
bottle
presen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Original Assignee
김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경 filed Critical 김수경
Priority to KR2020010019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672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기 위한 아래쪽으로 볼록한 바닥면을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마개, 상기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2마개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상기 바닥면의 최하부이상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마개 용기{Bottle with double caps}
본 고안은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기 위한 아래쪽으로 볼록한 바닥면(3)을 갖는 용기(1), 상기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마개(2), 상기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2마개(4)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상기 바닥면의 최하부이상으로 돌출된 지지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마요네즈나 케첩 또는 밀크로선 등의 어느 정도의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고 용기의 경우에 일정량 이상을 사용하고 나면 용기내의 내용물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여 끝까지 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부러 병을 뒤집어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그러나 상기 용기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용기의 상부가 좁은 단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뒤집어 놓기에는 어려움이 많았고,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닥면에 별도의 마개를 설치하여 일정량 사용후에는 아래쪽으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단부에 제2마개를 가지는 이중 마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이중 마개 용기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용기 2: 제1마개
3: 바닥면 4: 제2마개
5: 지지부
본 고안은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기 위한 아래쪽으로 볼록한 바닥면(3)을 갖는 용기(1), 상기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마개(2), 상기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2마개(4)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상기 바닥면의 최하부이상으로 돌출된 지지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이중 마개 용기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의 용기(1)부분은 일반적인 마요네즈나 케첩의 경우에는 연질의 플라스틱 용기이고, 밀크로션과 같은 경우에는 유리용기나 경질의 플라스틱 용기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용기(1)는 일반적으로 모든 용기들이 가지는 제1마개(2)를 용기상부에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인 바닥면(3)은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져 이를 통하여 용기가 세워져 있는 동안에 용기내에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이 중력에 의하며 바닥면의 최하부가 되는 중앙부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바닥면의 형상에 따라 집중되어진 내용물을 아래로 볼록한 바닥면의 최하부인 중앙부에 위치한 제2마개(4)를 통하여 쉽게 짜내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지지부(5)를 설치함으로써 용기가 볼록한 바닥면을 가지기 때문에 바닥에 쉽게 세울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바닥면의 최하부보다 더욱 돌출한 지지부를 아래쪽으로 돌출 시킴으로써 실제로 바닥과 접촉하는 용기의 바닥면은 제2마개가 위치하는 바닥면이 아니라 바닥면 가장자리의 지지부(5)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용기는 안정되게 바닥과 접촉하여 서 있을 수 있고, 또한 제2마개를 바닥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기 위한 아래쪽으로 볼록한 바닥면을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마개, 상기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2마개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상기 바닥면의 최하부이상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점성이 존재하는 유체의 경우도 용기내의 내용물을 어려움 없이 끝까지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위치한 제2마개를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을 깨끗하게 위생적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점성을 가지는 유체를 담기 위한 아래쪽으로 볼록한 바닥면을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마개;
    상기 바닥면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2마개; 및,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상기 바닥면과 제2마개의 최하부 이상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마개 용기.
KR2020010019727U 2001-06-29 2001-06-29 이중 마개 용기 KR200249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27U KR200249672Y1 (ko) 2001-06-29 2001-06-29 이중 마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727U KR200249672Y1 (ko) 2001-06-29 2001-06-29 이중 마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672Y1 true KR200249672Y1 (ko) 2001-11-16

Family

ID=7306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727U KR200249672Y1 (ko) 2001-06-29 2001-06-29 이중 마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6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12B1 (ko) * 2018-01-12 2018-07-06 문수민 김밥 간편 제조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12B1 (ko) * 2018-01-12 2018-07-06 문수민 김밥 간편 제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52307A (en) Beverage container and dispenser
US10106300B2 (en) Pour lip closure with drain back
US8689998B2 (en) Liquid container with multiple openings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BR0106257A (pt) Frasco conta-gotas para lìquidos
US5819923A (en) Apparatus for opening a container and for dispensing a substance in a liquid beverage
JP5489703B2 (ja) 詰め替え容器
KR200249672Y1 (ko) 이중 마개 용기
US6609639B1 (en) Drip prevention apparatus
BR0300256A (pt) Fechamento de distriibuição e embalagem incorporando o mesmo
EA000806B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напитка с расправляющимся наконечником
JP2008030773A (ja) 蓋と容器
US20040188460A1 (en) Triangular-tetrahedron container with spout assembly
US2119502A (en) Metallic receptacle
JP6192571B2 (ja) 注出キャップ
KR960034024A (ko) 플라스틱 마개
RU70649U1 (ru) Бутылка
KR200246476Y1 (ko) 고정받침틀을 가지는 용기
CN220549462U (zh) 一种防盗饮瓶
US3266652A (en) Closure for bottles and like containers
JP7453520B2 (ja)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5206222A (ja) プルリング付きキャップ
KR100880052B1 (ko) 용기
JPH0311159Y2 (ko)
KR20090011482U (ko) 목부러짐 방지 튜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