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241Y1 - 유동찌고무 - Google Patents

유동찌고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241Y1
KR200249241Y1 KR2020010010424U KR20010010424U KR200249241Y1 KR 200249241 Y1 KR200249241 Y1 KR 200249241Y1 KR 2020010010424 U KR2020010010424 U KR 2020010010424U KR 20010010424 U KR20010010424 U KR 20010010424U KR 200249241 Y1 KR200249241 Y1 KR 200249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fishing line
bobber
bobbi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한
Original Assignee
황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한 filed Critical 황재한
Priority to KR2020010010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24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찌를 낚싯줄에 결합하는 찌고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찌를 낚싯줄상에서 유동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수심이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유동찌의 찌고무(유동찌고무)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은 보다 간편한 구조로 제작단가를 저렴화하고 더욱 안정된 작동성과 함께 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동찌고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인 바,
낚싯줄(8)상에서 찌(7)를 유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유동찌고무(1)를 구성함에 있어서, 찌(7)의 연결침부(7a)가 결합되는 몸체(2) 일측의 끼움공(3)과, 낚싯줄(8)에 결합되는 고리(6)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핀(61)과, 결합핀(61)이 삽입결합되는 몸체(2)의 끼움공(3) 끝단의 조립공(4)과, 결합핀(61)의 걸림부(63)가 걸림결합되는 조립공(4)의 걸림턱(41)으로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유동찌고무{The connecter for a fishing float}
본 고안은 낚시찌를 낚싯줄에 결합하는 찌고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찌를 낚싯줄상에서 유동가능한 상태로 결합하여 수심이 자동으로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유동찌의 찌고무(유동찌고무)에 관한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은 보다 간편한 구조로 제작단가를 저렴화하고 더욱 안정된 작동성과 함께 필요시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동찌고무를 제공코자 한다.
통상 낚시찌(이하, 찌라 함)는 알려진 바와 같이 재질, 부력, 형태 등과 관계되는 감도, 찌올림 등의 기능적 측면이 매우 중요하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찌의 기술적 내용과 관련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찌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찌를 낚싯줄에 결합하는 찌고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 찌고무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고 낚싯줄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심에 맞추어 찌가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浮上)되게 함으로서 고기의 입질을 찌의 움직임을 통해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찌고무는 낚싯줄에 수심을 맞춘 위치에 찌를 고정시키는 고정찌고무와 수심에 따라 찌가 유동하여 자동으로 수심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동찌고무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는 자동으로 간편하게 수심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유동찌고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유동찌고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유동찌고무는 찌를 낚싯줄상에 유동상태로 결합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 이와 같이 찌를 낚싯줄상에 유동상태로 결합하여 유동찌로 사용하기 위해서 기존에는 별도의 찌고무없이 낚싯줄에 도래의 일측 고리를 결합하고 타측 고리에 찌를 결합시켜 찌가 낚싯줄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것은 찌의 연결침부에 도래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 사용하게 됨으로서 사용성이 매우 불편하고 찌의 연결침부가 변형되므로 찌를 유동찌가 아닌 고정찌 등으로 재 사용하기는 곤란한 문제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찌를 변형시키지 않고서도 찌가 낚싯줄상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게 하여 수심을 자동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한 자동수심맞춤 찌고무 등의 여러 형태이 유동찌고무가 이미 다수 선고안된 바 있다.(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7-593호,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8-66084호, 실용신안등록 제0160109호, 실용신안등록 제0166851호 등)
전술한 기존 선고안된 유동찌고무(이하, 찌고무라 함)는 낚싯줄상에서 찌가 수심에 따라 유동되게 하여 자동으로 수심을 맞추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은 찌가 낚싯줄상에서 오르내리도록 하기 위한 찌고무(찌홀더)의 구조가 복잡한 단점과, 고무나 연질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는 찌고무가 찌와 함께 부상할 시에 재질적 특성인 높은 마찰력으로 인해 찌고무와 낚싯줄간의 결합관계에서 저항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찌고무가 찌와 함께 원활히 부상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찌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다시 언급하면, 낚싯줄에 결합되는 찌고무는 낚싯줄과 소정의 윤활작용을 가지고 부드럽고 원활히 움직여 주어야만 낚싯줄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담없이 찌고무가 원활히 부상하게 되고 찌의 움직임도 민감하게 되는 것이지만, 기존 찌고무는 이러한 찌의 예민한 기능성을 충분히 보장하기에는 부족한 것이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원활하고 자유로운 유동성을 가지는 유동찌고무를 선등록 고안(실용신안등록 제207786호)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상기 선등록 고안은 보다 자유로운 유동성 보장 등의 여러 잇점을 가지는 것이나, 비철금속으로 된 윤활 아이렛을 사용하게 됨으로서 제작상의 불편이 있는 약간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낚싯줄상에서 찌를 유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수심에 따라 찌가 낚싯줄을 타고 부상되게 하는 자동수심맞춤기능의 유동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찌의 움직임이 매우 원활하고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매우 간편한 제작구조로서 제작단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여 경제적 이득을 도모하며, 특히 찌고무가 사용도중 훼손되거나 마손되어 더 이상 찌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매우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이성을 극대화한 것이다.
즉, 찌고무를 낚싯줄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함으로서 찌고무의 교체를 위해 낚싯줄로부터 분리,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낚시의 신속성과 편이성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사용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찌고무 2;몸체
3;끼움공 4;조립공
41;걸림턱 5;연결부재
6;고리 61;결합핀
62;침부 63;걸림부
7;찌 7a;연결부
8;낚싯줄 9;찌스톱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낚싯줄(8)에 관통 결합되어 낚시줄(8)상에서 유동될 수 있는 상태로 찌(7)를 결합토록 하는 유동찌고무(1, 이하 찌고무라 함.)에 있어서, 찌고무(1)가 낚싯줄(8)상에서 매우 원활한 움직임을 가지고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제작이 용이토록 하고, 훼손시 등에 교체 역시 가능하게 것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찌고무는(1)는 연질재질로서 신축성과 탄력성을 가진 고무, 우레탄, P.V.C , T.R 등으로 몸체(2)를 구성하고, 몸체(2) 일측에는 찌(7)의 연결침부(7a)를 끼움분리할 수 있는 끼움공(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2)의 끼움공(3) 타측에는 조립공(4)을 형성하여 낚싯줄(8)에 결합하는 연결부재(5)를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게 하는 바, 상기 연결부재(5)는 낚싯줄(8)에 관통삽입하도록 고리(Ring)(6)를 형성하며, 고리(6) 일측에는 결합핀(61)을 돌출 형성하여 찌고무(1) 몸체(2)의 조립공(4)에 끼움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합핀(61)은 선측에 침부(62)를 형성하여 몸체(2)의 조립공(4)측에 삽입결합할 수 있게 하며, 그 후측에는 걸림부(63)를 형성하여 조립공(4)의 걸림턱(41)에걸림되어 빠지지 않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핀(61) 일측의 고리(6)는 당연히 낚싯줄(8)에 삽입결합되어 낚싯줄(8)상에서 유동될 수 있는 규격(직경)으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찌고무(1)의 몸체(2)는 당연히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둥근 원형으로 형성하여 수중에서 저항이 최소가 되도록 하며, 조립공(4)에 결합되는 고리 (6) 역시 원형으로 형성하여 수중에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고리(6) 일측의 결합핀(61)과, 여기에 대응하는 몸체(2)의 조립공(4)은 상호 원형으로 형성하여 결합핀(61)으로 고리(6)와 몸체(2)가 이를 매개로 상호간 자유회전될 수 있게 함으로서 더욱 원활하고 활발한 움직임(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는 찌스톱(Stopper)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유동찌 사용과 동일하게 찌고무(1)를 낚싯줄(8)에 결합함으로서 자동으로 수심맞춤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찌고무(1)는 일측 조립공(4)에 결합된 고리(6)를 낚싯줄(8)에 삽입, 결합하여 찌고무(1)가 낚싯줄(8)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몸체(2) 일측 끼움공(3)에 찌(7)의 연결침부(7a)을 끼움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낚시가 던져지게 되면 찌(7)는 부력에 의해 수면까지 부상하여 자동으로 수심이 맞춰지게 되고 맞춰진 수심 위치에 찌스톱(9)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유동찌의 작용과 사용 등은 일반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이 찌고무(1)의 몸체에 결합된 결합핀(61) 일측 고리(6)가 낚싯줄(8)에 삽입결합되어 낚싯줄(8)상에서 매우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찌(7)의 부력에 의해 찌(7)와 함께 부상(浮上), 하강(下降)하는 움직임을 가지게 된다.
즉, 낚싯줄(8)에 결합되어 찌(7)의 부력에 의해 찌(7)와 함께 낚싯줄(8)을 타고 오르내리는 찌고무(1)는 낚싯줄(8)에 삽입결합된 고리(6)가 낚싯줄(8)과 부드럽게 접촉하게 되는 데, 이것은 고리(6) 일측 결합핀(61)이 찌고무(1) 몸체(2)의 조립공(4)에 끼움되고 걸림턱(41)에 걸림결합되어 낚싯줄(8)에 삽입결합된 고리(6)를 축으로 찌고무(1) 몸체(2)가 자유회전(自轉)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찌(7)의 부력에 의한 찌(7)의 움직임에 최대한의 자율성이 보장되어 찌(7)가 부상하는 데에 따른 저항이나 지장을 최소화하게 되고, 또한 찌(7)의 작동(부상)에 융통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찌고무(1)는 찌(7)와 함께 부상하는 것이므로 그 중량이 매우 적어야 하며 찌(7)의 분리결합이 용이하도록 신축성과 탄성을 갖춘 고무나 우레탄, 연질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바, 찌고무(1)를 구성하는 이러한 재질적 특성은 빈번한 사용, 예를 든다면; 찌(7)의 연결침부(7a)를 끼움공(3)에 빈번하게 끼웠다 뺏다 하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훼손, 마멸되어 더 이상 찌(7)를 결합할 수 없게 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이 훼손, 마멸된 찌고무(1)의 몸체(2)를 결합핀(61)으로부터 벗겨내어 분리한 다음 다시 새것으로 간단히 끼움결합하여 주면 찌고무(1)의 연결부재(5)를 낚싯줄(2)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가 있는 몸체(2)만을 손쉽게 교체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이성과 함께 빠른 시간에 채비를 꾸며 신속하게 낚시를 행할 수 있는 잇점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으로 수심을 맞출 수 있는 자동수심맞춤찌(일명 유동찌)를 사용하기 위한 찌고무(1)를 구성함에 있어서, 낚싯줄(8)상에서 매우 부드럽고 원활히 움직이는 작동성을 제공하고, 특히 간편한 구조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낚싯줄(8)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것으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찌(7)의 사용편이성, 효율성, 기능성은 물론 경제적 잇점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여러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낚싯줄(8)상에서 찌(7)를 유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유동찌고무(1)를 구성함에 있어서,
    찌(7)의 연결침부(7a)가 결합되는 몸체(2) 일측의 끼움공(3)과, 낚싯줄(8)에 결합되는 고리(6)가 일체로 형성된 결합핀(61)과, 결합핀(61)이 삽입결합되는 몸체(2)의 끼움공(3) 끝단의 조립공(4)과,
    결합핀(61)의 걸림부(63)가 걸림결합되는 조립공(4)의 걸림턱(4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찌고무.
KR2020010010424U 2001-04-13 2001-04-13 유동찌고무 KR200249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24U KR200249241Y1 (ko) 2001-04-13 2001-04-13 유동찌고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424U KR200249241Y1 (ko) 2001-04-13 2001-04-13 유동찌고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241Y1 true KR200249241Y1 (ko) 2001-11-16

Family

ID=7309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424U KR200249241Y1 (ko) 2001-04-13 2001-04-13 유동찌고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12B1 (ko) 2021-08-09 2022-10-19 허영웅 교체형 유동찌 고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712B1 (ko) 2021-08-09 2022-10-19 허영웅 교체형 유동찌 고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654B2 (ja) ルアー
US11439133B2 (en) Lure
US20160270380A1 (en) Fishing lure
US4986023A (en) Line tie
US5351434A (en) Breakaway jig
US11369098B2 (en) Artificial bait and split ring therefor
US4506471A (en) Line attachment for fishing float
CA2224581A1 (en) Float with automatic triggering device
KR200249241Y1 (ko) 유동찌고무
US1193684A (en) Said maire
GB2199471A (en) Fishing tackle
US4765084A (en) Fishing lure with retractable hook
US3138892A (en) Fishing lure
US4141168A (en) Fish catcher
KR200207786Y1 (ko) 찌고무
EP1880608B1 (en) Method feeder
KR100516234B1 (ko) 어류포획기
JP4476035B2 (ja) ルアー
JP3519730B1 (ja) 釣り具
GB2479612A (en) Releasable fishing float or sinker assembly
KR101833798B1 (ko) 낚싯대 받침대용 주걱
JPH07322797A (ja) 釣り用浮き
KR102669737B1 (ko) 유동형 웜루어 채비
KR200265185Y1 (ko) 케미라이트 장착용 낚시찌
JP3241275U (ja) 釣り用遊動式仕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