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83Y1 -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 Google Patents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83Y1
KR200248483Y1 KR2020010018394U KR20010018394U KR200248483Y1 KR 200248483 Y1 KR200248483 Y1 KR 200248483Y1 KR 2020010018394 U KR2020010018394 U KR 2020010018394U KR 20010018394 U KR20010018394 U KR 20010018394U KR 200248483 Y1 KR200248483 Y1 KR 200248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in body
corners
slits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규
Original Assignee
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규 filed Critical 박용규
Priority to KR2020010018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83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장이나 졸업장, 임명장, 감사장 등을 보관하는 상장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에 관한 것으로, 겉표지 내측에 부착하여 접을 수 있고, 상단과 하단의 좌우 중앙 부위에 각각 형성된 슬릿을 갖는 본체부, 본체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장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 1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1절첩부 및 슬릿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을 구비하여 상기 슬릿 부근 본체부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각각 설치되고, 삽입단이 슬릿에 각각 삽입되어 접힌 상태에서 상장의 다른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절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종래 종이 모서리 8곳에 천조각을 각각 붙이던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며, 사전 준비해야할 재료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어, 상장 케이스 제조에 따른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interior inserting frame material for a case of a certificate of merit}
본 고안은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상장이나 졸업장, 임명장, 감사장 등을 보관하는 상장케이스의 제작에 사용되는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장 케이스는 겉표지와 속끼움틀지로 되어 있으며, 겉표지는 다양한 색상의 우단, 가죽, 천, 비닐이나 고급용지 등으로 만들어지고, 속끼움틀지는 종이 모서리의 4곳, 양쪽으로는 총 8곳에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천을 부착하여 상장의 모서리를 끼울 수 있게 만들어진다. 그런 다음, 속끼움틀지를 겉표지에 부착하면 상장 케이스가 만들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상장케이스를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장케이스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장케이스(100)는 겉표지(110)와 2장의 속끼움틀지(120)와 속끼움틀지(120)의 4모서리, 양쪽 총 8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는 8개의 천조각(130)과 두 속끼움틀지(120)를 연결하는 연결지(140) 및 연결지(140) 위쪽으로 배치되는 줄(15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에는 겉표지(110), 2장의 속끼움틀지(120), 8개의 천조각(130), 연결지(140) 및 줄(150)을 별도로 각각 만든 후, 속끼움틀지(120)의 4모서리, 양쪽 총 8모서리에 천조각(130)을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어서 풀로 모두 붙인 다음 연결지(140)로 두 속끼움틀지(120)를 연결하고, 줄(150)의 양단은 겉표지(110)와 연결지(140) 사이로 접어 넣은 상태에서 풀로서 겉표지(110)와 속끼움틀지(120)를 부착하여 상장 케이스(100)를 만들었다.
즉, 종래 상장 케이스(100)의 제조에는 그 준비할 재료의 종류가 많고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며, 특히 속끼움틀지(120)의 각 모서리에 8개의 천조각(130)을 각각 부착하여 이를 다시 연결지(140)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장 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단순화하여 상장 케이스의 생산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상장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의 전개도,
도 3은 도 2 속끼움틀지를 이용한 상장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 속끼움틀지를 이용한 상장 케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상장 케이스 210 : 겉표지
220, 220a : 속끼움틀지 221, 221a : 본체부
222, 222a : 슬릿 223, 223a : 제 1절첩부
224, 224a : 제 2절첩부 225, 225a : 삽입단
226, 226a : 제 1끼움홈 227, 227a : 제 2끼움홈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는 상장케이스의 겉표지에 부착되어 상장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에 있어서, 겉표지 내측에 부착하여 접을 수 있고, 상단과 하단의 좌우 중앙 부위에 각각 형성된 슬릿을 갖는 본체부, 본체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장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 1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1절첩부 및 슬릿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을 구비하여 슬릿 부근 본체부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각각 설치되고, 삽입단이 슬릿에 각각 삽입되어 접힌 상태에서 상장의 다른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절첩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 슬릿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부 상단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이, 본체부 하단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의 전개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220)는 본체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221)는 도 3에 표시된 겉표지(210)에 부착되어 접을 수 있어야 하며, 그 좌우 중앙부위 상단과 하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slit, 22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2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21)의 상단 중앙부에 한 쌍, 하단 중앙부에 한 쌍, 모두 두 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222)의 형상은 반드시 직선모양으로만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곡선모양으로 하여도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220)는 다수의 제 1절첩부(2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절첩부(223)는 본체부(221)의 네 모서리 부근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절첩된 상태에서 일측은 점선을 따라 접혀져 본체부(221) 배면으로 접어 넣을 수 있어야 된다. 이 제 1절첩부(223)는 상장의 바깥쪽 모서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장 케이스의 겉표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장의 바깥쪽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제 1끼움홈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는 도 3과 도 4를 보면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220)는 제 2절첩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절첩부(224)는 슬릿(222) 부근의 본체부(221)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있으며, 그 일단에 슬릿(222)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2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절첩부(224)는 접혀서 삽입단(225)이 슬릿(2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장의 안쪽 모서리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 2끼움홈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는 도 3과 도 4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제 1절첩부(223), 제 2절첩부(224), 삽입단(225), 슬릿(222)의 모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 속끼움틀지를 이용한 상장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 속끼움틀지를 이용한 상장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위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220)를 이용하여 상장 케이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이를 재단하기 위한 틀로 도 2 전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를 절단한다. 그런 다음 본체부(221) 4모서리의 제 1절첩부(223)는 접어서 본체부(221)에 각각 밀착시킨 상태에서 본체부(221) 바깥쪽으로 돌출 되는 부분은 다시 본체부(221) 뒤쪽으로 각각 접어 넣는다. 이에 따라 본체부(221)의 4모서리에 상장의 모서리를 삽입할 수 있는 제 1끼움홈(226)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제 2절첩부(224)를 접어서 본체부(22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그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삽입단(225)을 대응되는 슬릿(222)에 각각 삽입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221)의 중앙부위에 4개의 제 2끼움홈(227)이 각각 형성된다. 이 상태로 된 속끼움틀지(220)가 줄(250)과 함께 겉표지(210)에 부착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장용 케이스(200)가 완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220a)는 본체부(221a)에 슬릿(222a)을 좌우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제 2절첩부(224a)의 일측 모서리에 있는 삽입단(225a)을 슬릿(222a)에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그 외 제 1절첩부(223a), 제 1끼움홈(226a)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제 2끼움홈(227a)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는 반드시 종이로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박판의 합성수지나 천으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는 종래 종이 모서리 8곳에 천조각을 각각 붙이던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속끼움틀지는 사전 준비해야할 재료의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는 상장 케이스 제조에 따른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Claims (2)

  1. 상장케이스의 겉표지에 부착되어 상장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내측에 부착하여 접을 수 있고, 상단과 하단의 좌우 중앙 부위에 각각 형성된 슬릿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네 모서리 부근에 각각 접을 수 있게 설치되고,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장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제 1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1절첩부; 및
    상기 슬릿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을 구비하여 상기 슬릿 부근 상기 본체부 가장자리에 접을 수 있게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삽입단이 상기 슬릿에 각각 삽입되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상장의 다른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끼움홈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 2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상단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이, 상기 본체부 하단의 좌우 중앙부 부근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한 쌍이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KR2020010018394U 2001-06-20 2001-06-20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KR200248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94U KR200248483Y1 (ko) 2001-06-20 2001-06-20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94U KR200248483Y1 (ko) 2001-06-20 2001-06-20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860A Division KR100492244B1 (ko) 2002-09-03 2002-09-03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83Y1 true KR200248483Y1 (ko) 2001-10-31

Family

ID=7310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94U KR200248483Y1 (ko) 2001-06-20 2001-06-20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001U (ja) 収納付スツール
US2302259A (en) Ornamental cover for flower pots
RU2218295C2 (ru) Пачка для удлиненных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US5893376A (en) Multi layered decorative fashion accessor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492244B1 (ko)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KR200248483Y1 (ko) 상장 케이스용 속끼움틀지
US2483236A (en) Decorative material for handbags
JP2011063920A (ja) 造花及びその作製方法
US2888816A (en) Decorative type candle adapter
KR200382721Y1 (ko) 속끼움틀 및 이를 구비하는 문서 보관용 폴더
US4708893A (en) Method for making fabric roses
CN203006152U (zh) 配置一体式支撑固定架构的电机包装盒
KR20110124514A (ko) 장식용 망사가 구비된 종이비누꽃
US4767650A (en) Fabric ros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492572Y1 (ko) 어깨끈을 구비한 민소매형 여성상의
JP3245910U (ja) 装飾用リボン
KR200332512Y1 (ko) 장식판지의 주름성형구
EP403242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korean traditional women's headpiece
JP3220591U (ja) ポケットチーフ
JPS6218189B2 (ko)
JP3198863U (ja) プリンセス立体カード
JP2000072131A (ja) 植物収容箱
KR102030624B1 (ko) 조각보의 바느질방법
KR20130010695A (ko) 증서 보관용 케이스의 속끼움 틀지 제조방법
JP5785730B2 (ja) 花輪用台座及びこれを用いた慶弔用花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6

Year of fee payment: 4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