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56Y1 - 투웨이 브로워 - Google Patents

투웨이 브로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56Y1
KR200248456Y1 KR2020010018038U KR20010018038U KR200248456Y1 KR 200248456 Y1 KR200248456 Y1 KR 200248456Y1 KR 2020010018038 U KR2020010018038 U KR 2020010018038U KR 20010018038 U KR20010018038 U KR 20010018038U KR 200248456 Y1 KR200248456 Y1 KR 200248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compression chamber
annular
housing
annula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2020010018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56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좌우로 분할되는 하우징(11,12)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축 지지용 축받이(13)와, 하우징내의 환형 압축실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기구(14) 및 압축공기 토출구(15)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구동축(21)을 하우징의 축받이(13)에 지지하는 원판형의 임펠러(20)와, 임펠러(20)의 외연 양면에 환형의 배열로 설치되고 동시에 압축실내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익편(22,23)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압축실을 둘로 격리하기 위하여 임펠러(20)의 외륜에 형성하는 환형 실링돌조(1)와, 좌우 하우징(11,12)의 플랜지 연결부에 형성하여 좌우 하우징(11,12)의 조립시 상기 입펠러 외륜의 환형 실링돌조(1)를 수용하는 홈으로 조립되고 동시에 회전하는 실링돌조(1)와 접촉되어 환형의 압축실을 좌우 두 개의 압축실로 격리하기 위한 환형 실링홈(2)과, 상기 조립된 환형 실링홈(2)에 상기 환형 실링돌조(1)가 조립되어 임펠러(20) 양면의 두 익편(22,23)을 하나씩 수용하는 임펠러 좌우의 격리된 환형 압축실(3,4)로서 구성한 투웨이 브로워이다.

Description

투웨이 브로워 {TWO WAY BLOWER}
이 고안은 브로워의 개량고안으로서, 환형 압축실을 좌우로 격리시킨 투웨이 브로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브로워는 좌우로 분할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축 지지용 축받이와, 축받이를 중심으로 배열되는 환형의 압축실과, 압축실의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기구 및 압축공기 토출구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구동축을 하우징의 축받이에 지지하는 원판형의 임펠러와, 임펠러의 외연 양면에 환형 배열로 설치되어 압축실내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익편으로서 구성한 것이었다.
상기 인용된 브로워의 성능은 아래와 같다.
인용된 종래 브로워의 성능 :
토출구 구경 : 50mm
임펠러구동속도 : 3500/RPM
구동 동력 : 3마력
토출 풍량 : 1.5~1.8㎥/min
토출 압력 : 0.5kg/㎠
발생소음 : 80~90 데시벨
상기와 같은 브로워는 산업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처리, 아파트단지에서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처리 따위의 오폐수처리 플랜트나 기타의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다.
위에서 인용된 종래의 브로워는 환형 압축실 내에 임펠러를 조립하여 압축실이 임펠러의 좌우로 배치되고, 임펠러의 양면에 익편이 배열되어 있기는 하지만 임펠러 좌우의 압축실이 엄격하게 격리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므로, 임펠러 양면의 익편은 하나의 통합된 환형 압축실에서 흡입 공기를 압축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소비 동력에 비하여 토출 풍량과 토출 풍압이 적고 소음의 발생이 큰 것이었다.
이 고안은 브로워에서 환형의 압축실을 좌우 두 압축실로 엄격하게 격리하고, 임펠러 양면의 익편을 각각 격리된 압축실에서 공기를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단위 동력에 대한 토출 풍량과 토출 풍압을 증대하고 동시에 발생 소음 강도를 감소시키는 브로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이 고안 일부 부품을 제거한 조립상태 측면도
도2는 이 고안 임펠러와 하우징의 조립상태 종 단면도
도3은 이 고안 하우징의 분해상태 종단면도
도4는 이 고안 임펠러의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실링돌조 2:실링홈 3,4:압축실
이 고안을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좌우로 분할되는 하우징(11,12)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축 지지용 축받이(13)(도면에서 베어링은 생략됨)와, 하우징내의 환형 압축실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기구(14) 및 압축공기 토출구(15)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구동축(21)을 하우징의 축받이(13)에 지지하는 원판형의 임펠러(20)와, 임펠러(20)의 외연 양면에 환형의 배열로 설치되고 압축실내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익편(22,23)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압축실을 둘로 엄격히 격리하기 위하여 임펠러(20)의 외륜에 형성하는 환형 실링돌조(1)와,
좌우 하우징(11,12)의 플랜지 연결부에 형성하고, 좌우 하우징(11,12)의 조립시 상기 입펠러 외륜의 환형 실링돌조(1)를 수용하는 홈으로 조립되고, 동시에 회전하는 실링돌조(1)와 접촉되어 환형의 압축실을 좌우 두 개의 압축실로 격리하기 위한 환형 실링홈(2)과,
상기 조립된 환형 실링홈(2)에 상기 환형 실링돌조(1)가 조립되어 임펠러(20) 양면의 두 익편(22,23)을 하나씩 수용하는 임펠러 좌우의 격리된 환형압축실(3,4)로서 구성하였다.
이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펠러(20)가 회전할 때 좌우 두 익편(22,23)의 작용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14)를 통해 압축실내에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가 임펠러(20)의 좌우로 분산되어 좌우 익편(22,23)을 따라 환형 압축실을 지나면서 압축되고, 압축된 공기가 토출구(15)에서 토출되어 다른 장치에 공급됨은 종래의 브로워와 같다.
이 고안은 흡입구(14)에서 흡입된 공기가 실링홈(2)에 삽입된 실링돌조(1)와 임펠러(20)로서 엄격히 격리된 압축실(3,4)로 각각 분산되고, 격리된 일측 압축실(3)에 분산 도입된 공기는 일측 익편(22)에 의하여 일측 압축실(3)을 지나면서 압축되고, 타측 압축실(4)에 분산 도입된 공기는 타측 익편(23)에 의하여 타측 압축실(4)을 지나면서 압축되고, 두 압축실(3,4)에서 각각 압축된 공기는 토출구(15)에서 합류되어 토출된다.
이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브로워의 성능 시험표는 표1, 표2, 표3과 같다.
<표 1>
성능 : 토출구 구경 : 50mm
임펠러구동속도 : 3500/RPM
구동 동력 : 3마력
토출 풍량 : 2.5~3㎥/min
토출 압력 : 07~0.8kg/㎠
소음강도 : 약 70데시벨
<표 2>
성능 : 토출구 구경 : 65mm
임펠러구동속도 : 3500/RPM
구동 동력 : 5마력
토출 풍량 : 약 3.6㎥/min
토출 압력 : 08~1kg/㎠
소음강도 : 70~75데시벨
<표 3>
성능 : 토출구 구경 : 80mm
임펠러구동속도 : 3500/RPM
구동 동력 : 5.5마력
토출 풍량 : 약 5.1㎥/min
토출 압력 : 1~1.1kg/㎠
소음강도 : 80~90데시벨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종래의 브로워에 비하여 토출 풍량과 토출 압력은 크게 증가되고, 소음 강도는 크게 감소하였다.
이 고안의 상기 개선된 성능시험 결과는 압축실을 임펠러 좌우로 엄격히 격리시킴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로서, 종래의 브로워에서 임펠러 좌우의 공기가 작은 틈새를 통하여 하나의 압축실을 공유할 때 압축실내의 공기의 유체저항이 커지고, 난류 점성이 커지는 것이었으나, 이 고안에서 임펠러 좌우의 압축실을 격리했을 때 압축실 내의 공기의 유체저항이 감소하고, 난류 점성이 감소함에 의해서 토출 풍량과 풍압은 증가하고, 소음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브로워에서 환형의 압축실을 좌우 두 압축실로 격리하고, 임펠러 양면의 익편을 각각 격리된 압축실에서 공기를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단위 동력 대비 토출 풍량과 토출 풍압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발생 소음 강도를 감소시키는 브로워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좌우로 분할되는 하우징(11,12)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구동축 지지용 축받이(13)와, 하우징내의 환형 압축실 양단에 연결 설치되는 흡기구(14) 및 압축공기 토출구(15)와,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구동축(21)을 하우징의 축받이(13)에 지지하는 원판형의 임펠러(20)와, 임펠러(20)의 외연 양면에 환형의 배열로 설치되어 압축실내에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익편(22,23)으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압축실을 둘로 격리하기 위하여 임펠러(20)의 외륜에 형성하는 환형 실링돌조(1)와,
    좌우 하우징(11,12)의 플랜지 연결부에 형성하고, 좌우 하우징(11,12)의 조립시 상기 임펠러 외륜의 환형 실링돌조(1)를 수용하는 홈으로 조립되고, 동시에 회전하는 실링돌조(1)와 접촉되어 환형의 압축실을 좌우 두 개의 압축실로 격리하기 위한 환형 실링홈(2)과,
    상기 조립된 환형 실링홈(2)에 상기 환형 실링돌조(1)가 조립되어 임펠러(20) 양면의 두 익편(22,23)을 하나씩 수용하는 임펠러 좌우의 격리된 환형 압축실(3,4)로서 구성한 투웨이 브로워.
KR2020010018038U 2001-06-16 2001-06-16 투웨이 브로워 KR200248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38U KR200248456Y1 (ko) 2001-06-16 2001-06-16 투웨이 브로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38U KR200248456Y1 (ko) 2001-06-16 2001-06-16 투웨이 브로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56Y1 true KR200248456Y1 (ko) 2001-10-31

Family

ID=7310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038U KR200248456Y1 (ko) 2001-06-16 2001-06-16 투웨이 브로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PR369901A0 (en) Improved pump
WO2006124509A3 (en) Integrated electric motor driven compressor
WO2002055883A3 (en) Turbo-molecular pump
KR100901386B1 (ko) 다단 터보블로워
KR950008989A (ko) 터보진공펌프
US20020097929A1 (en) Turbo compressor
TW200730729A (en) Drain pump
KR200248456Y1 (ko) 투웨이 브로워
AU3595401A (en) Arrangement for multi-stage heat pump assembly
EP1857683A3 (en) Centrifugal fan, particularly for extractor hoods and fume extractors
WO2005035979A3 (en) Pump
SE0102678D0 (sv) Masspump
JP4325001B2 (ja) 多段遠心圧縮機
KR200462839Y1 (ko) 송풍기
US7520737B2 (en) Positive-displacement fluid machine
RU2202051C2 (ru) Шнеко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CN108999792B (zh) 一种叶轮空气泵
KR101938320B1 (ko) 2단 원심압축기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0320207B1 (ko) 터보 압축기
ATE295481T1 (de) Kreiselpumpe
KR100390489B1 (ko) 터보 압축기의 가스누설 저감구조
KR100279608B1 (ko) 터보 압축기
RU2004105307A (ru) Насос-компрессор
RU2000110051A (ru) Турбонасосны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агрегат
RU2002113396A (ru) Погружно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с торцовым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имся уплотн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