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68Y1 -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68Y1
KR200247968Y1 KR2020010018158U KR20010018158U KR200247968Y1 KR 200247968 Y1 KR200247968 Y1 KR 200247968Y1 KR 2020010018158 U KR2020010018158 U KR 2020010018158U KR 20010018158 U KR20010018158 U KR 20010018158U KR 200247968 Y1 KR200247968 Y1 KR 200247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racket
hinge
monito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칠홍
Original Assignee
드림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맥(주) filed Critical 드림맥(주)
Priority to KR2020010018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68Y1/ko

Links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구조 및 결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는 제 1 지지부, 제 2 지지부, 텐션부 및 힌지부를 구비한다. 제 1 지지부는 스탠드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브라켓, 제 1 브라켓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 1 브라켓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제 2 브라켓을 구비하며, 제 2 지지부는 모니터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제 3 브라켓, 제 3 브라켓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힌지부싱이 용접고정되는 제 4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내돌기의 하부가 밀착되는 환형가이드가 형성된 제 4 브라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는 텐션부 및 힌지부가 결합된다. 텐션부는 제 2 브라켓의 일측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텐션와셔 및 텐션와셔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부싱을 구비한다. 힌지부는 제 1 관통공. 제 2 관통공 및 제 3 관통공에 끼워지는 테이퍼축 및 테이퍼축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힌지부싱의 외부로 노출되어 힌지부싱의 일측면상에 일단이 일부분에 뭉개지면서 결합되는 수평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A monitor hinge assembly}
본 고안은 모니터와 스탠드를 연결시켜 모니터의 사용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모니터 및 스탠드에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테이퍼진 힌지부를 장착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 자동화 장비에 채용되는 음극선관(Cathode-ray tube; CRT), 즉 모니터는 컴퓨터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도형, 문자, 숫자 등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테이블이나 다른 지지면 상에서 고정위치에 놓이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 모니터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장치 유니트와 분리된 상태로 장치 유니트의 상부에 놓이도록 설계된다.
이때, 컴퓨터 사용자에게 항시 최적의 작업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신장 조건인 실내조명 조건을 고려하여 모니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니터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힌지 구조로는 힌지양측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회전력과 볼트의 체결력을 이용하는 방법, 탄성을 이용한 여러가지 와셔들을 조합하여 볼트의 체격력을 이용하는 방법 및 상기 스프링의 회전력과 상기 와셔들의 탄성력을 결합한 방법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전술한 힌지 구조들은 다수의 부품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간단하게조립할 수 없으며, 단시간에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들의 품질이 균일하기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 및 스탠드에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테이퍼진 힌지부를 장착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힌지 어셈블리 110 : 제 1 지지부
112 : 제 1 브라켓 116 : 제 2 브라켓
119 : 안내돌기 120 : 텐션부
122 : 텐션와셔 124 : 전단면
126 : 힌지부싱 140 : 제 2 지지부
142 : 제 3 브라켓 146 : 제 4 브라켓
148 : 환형가이드 150 : 힌지부
154 : 테이퍼축 156 : 수평축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스탠드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체결공이 형성된 제 1 브라켓, 제 1 브라켓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 1 브라켓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제 2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 1 지지부;
제 2 브라켓의 일측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에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텐션와셔 및 텐션와셔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 3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부싱을 구비하는 텐션부;
내측에는 모니터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제 3 브라켓, 제 3 브라켓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힌지부싱이 용접고정되는 제 4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내돌기의 하부가 밀착되는 환형가이드가 형성된 제 4 브라켓을 구비하는 제 2 지지부; 및
원판형상의 머리, 머리의 일측면 상에서 연장되어 제 1 관통공. 제 2 관통공 및 제 3 관통공에 끼워지는 테이퍼축 및 테이퍼축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힌지부싱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축을 구비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니터 및 스탠드에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테이퍼진 힌지부를 장착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100)는 모니터(M) 및 모니터(M)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모니터(M)를 지지하는 스탠드(S)의 상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힌지 어셈블리(100)는 제 1 지지부(110), 텐션부(120), 제 2 지지부(140) 및 힌지부(150)를 구비한다.
먼저, 제 1 지지부(100)는 스탠드(S)의 장착되는 제 1 브라켓(112) 및 제 2 브라켓(116)을 구비한다. 제 1 브라켓(112)은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체결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스탠드(S)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체결공(114)이 형성된다. 제 1 브라켓(112)의 일측에는 제 1 브라켓(112)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제 2 브라켓(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브라켓(116)에는 제 1 관통공(117) 및 안내돌기(119)가 형성된다. 제 1 관통공(117)은 제 2 브라켓(116)의 중앙부분에서 제 2 브라켓(116)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안내돌기(119)는 제 2 브라켓(116)의 상단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제 1 브라켓(1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지지부(110)의 일측에는 텐션부(120)가 배치된다.
텐션부(120)는 텐션와셔(122) 및 힌지부싱(126)을 구비한다. 먼저, 텐션와셔(122)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제 2 브라켓(116)의 일측면 상에 밀착된다. 이러한 텐션와셔(122)의 중앙부분은 적정 토크(torque)가 유지 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오목하게 전단면(124)이 형성되며, 전단면(124)의 중앙부분에는 제 2 관통공(12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힌지부싱(126)은 원판형상의 제 1 플랜지(128) 및 제 1 플랜지(128)의 일측 중앙부분에서 제 1 플랜지(12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부로 연장되는 제 2 플랜지(130)를 구비한다. 이러한 힌지부싱(126)에는 제 3 관통공(132)이 형성된다. 제 3 관통공(132)은 제 1 플랜지(128)의 일측면에서 제 2 플랜지(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제 3 관통공(132)은 제 1 플랜지(128)의 일측면에서부터 제 2 플랜지(130)의 타측면 까지 소정의 경사(T)를 가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 2 지지부(140)는 모니터(M)에 장착되는 제 3 브라켓(142) 및 제 4 브라켓(146)을 구비한다. 제 3 브라켓(142)은 제 1 브라켓(112)과 대응하는 형상을가지며 내측에는 체결나사에 의해서 모니터(M)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2 체결공(144)이 형성된다. 제 3 브라켓(142)의 일측에는 제 3 브라켓(142)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된 제 4 브라켓(14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4 브라켓(146)에는 제 4 관통공(147) 및 환형가이드(148)가 형성된다. 제 4 관통공(147)은 제 4 브라켓(146)의 중앙부분에 형성되고 힌지부싱(126)의 제 2 플랜지(130)가 결합되어 용접고정된다. 환형가이드(148)는 제 4 브라켓(146)의 상단에 소정의 원주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 2 브라켓(116)의 안내돌기(119)의 하부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지지부(110), 텐션부(120) 및 제 2 지지부(140)는 힌지부(150)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된다.
힌지부(150)는 머리(152), 테이퍼축(154) 및 수평축(156)을 구비한다. 머리(152)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판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머리(152)의 일측면 상에는 테이퍼축(154)이 수평하게 연장되고, 테이퍼축(154)의 끝단에는 수평축(156)이 다시 연장된다. 이러한 테이퍼축(154)은 머리(152)에서부터 수평축(156)의 일단까지 소정의 경사(t)를 가지며 방사상 작아지게 연장된다. 이때, 테이퍼축(154)과 수평축(156)은 제 1 관통공(117), 제 2 관통공(125)을 지나 제 3 관통공(132)에 결합되며, 수평축(156)의 끝단 일부분은 제 3 관통공(132)의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수평축(156)의 끝단 중앙부분에는 수평축(156)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결합공(158)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공(158)은 외부압력에 의해서 결합공(158)의 외부면이 압착되면서 힌지부싱(126)의 제 2 플랜지(130)의 타측에 밀착된다.
이때, 테이퍼축(154)의 소정의 위치에는 힌지부싱(126)과의 마찰에 의해서 테이퍼축(154)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테이퍼축(154)의 원주면을 따라서 오일홈(155)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축(154)의 경사(t)는 제 3 관통공(132)의 경사(T)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일정한 토크(torque)를 가지며 마찰될 수 있게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100)의 결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지지부(110)의 제 1 브라켓(112)을 스탠드(S)에 장착시킨 상태 하에서 제 2 지지부(140)의 제 3 브라켓(142)을 모니터(M)에 장착시킨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제 1 지지부(110)의 제 2 브라켓(116) 및 제 2 지지부(140)의 제 4 브라켓(146) 사이에 텐션부(120)를 배치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먼저 힌지부싱(126)의 제 2 플랜지(130)를 제 4 관통공(147)에 삽입한 상태에서 용접고정시킨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힌지부싱(126)이 제 2 지지부(140)에 결합되면, 작업자는 힌지부(150)를 결합시킨다. 이때, 힌지부(150)의 테이퍼축(152) 및 수평축(156)은 제 1 관통공(117), 제 2 관통공(125) 및 제 3 관통공(132)에 삽입되며 수평축(156)의 끝단의 일부분은 제 2 플랜지(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수평축(156)이 제 2 플랜지(130)의 외부로 노출되면 작업자는 결합공(158) 내로 일정한 공구를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외부압력을 가하면 결합공(158)의 외부면은 제 2 플랜지(130)의 타측면측으로 뭉개지면서 밀착된다. 그 결과, 제 1 지지부(110), 텐션부(120) 및 제 2 지지부(140)는 힌지부(150)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며, 제 2 브라켓(116)의 안내돌기(119)의 하부는 제 4 브라켓(146)의 환형가이드(148)에 밀착되어 작업자가 모니터(M)의 각도를 변환할 때 환형가이드(148)를 따라서 안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100)는 스탠드(S) 및 모니터(M)에 장착되는 제 1 지지부(110) 및 제 2 지지부(140)를 구비하고, 제 1 지지부(110) 및 제 2 지지부(140) 사이에 배치되는 텐션부(120)를 구비하며, 텐션부(120)를 제 1 지지부(110) 및 제 2 지지부(140)에 한정하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부(150)를 구비함으로써, 구조 및 결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힌지부(150)를 결합할 때 볼트 및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의 힘으로 압축하기 때문에 품질의 균일성 및 양산조립성을 간편화할 수 있고, 텐션부(120)의 텐션와셔(122)의 중앙부분에 오목한 전단면(124)을 형성함으로서 적정 토크가 유지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수직한 판형상을 가지며 내측에는 스탠드(S)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1 체결공(114)이 형성된 제 1 브라켓(112), 상기 제 1 브라켓(112)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제 1 관통공(117)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제 1 브라켓(1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돌기(119)가 형성된 제 2 브라켓(116)을 구비하는 제 1 지지부(110);
    상기 제 2 브라켓(116)의 일측에 배치되며 중앙부분에는 제 2 관통공(125)이 형성된 텐션와셔(122) 및 상기 텐션와셔(122)의 일측에 배치되며 내부에는 제 3 관통공(132)이 형성된 힌지부싱(126)을 구비하는 텐션부(120);
    내측에는 모티터(M)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제 2 체결공(144)이 형성된 제 3 브라켓(142), 상기 제 3 브라켓(142)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중앙부분에는 상기 힌지부싱(126)이 용접고정되는 제 4 관통공(147)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안내돌기(119)의 하부가 밀착되는 환형가이드(148)가 형성된 제 4 브라켓(146)을 구비하는 제 2 지지부(140); 및
    원판형상의 머리(152), 상기 머리(152)의 일측면 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관통공(117). 상기 제 2 관통공(125) 및 상기 제 3 관통공(132)에 끼워지는 테이퍼축(154) 및 상기 테이퍼축(154)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힌지부싱(126)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평축(156)을 구비하는 힌지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와셔(122)의 중앙부분은 적정 토크(torque)가 유지 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오목하게 전단면(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싱(126)은 원판형상의 제 1 플랜지(128) 및 상기 제 1 플랜지(128)의 일측 중앙부분에서 상기 제 1 플랜지(128)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 4 관통공(147)에 용접고정되는 제 2 플랜지(130)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관통공(132)은 상기 제 1 플랜지(128)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제 2 플랜지(130)의 타측면으로 방사상 작아지도록 소정의 경사(T)를 가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축(154)은 상기 머리(152)에서부터 상기 수평축(156)측으로 방사상 작아지도록 소정의 경사(T)를 가지며 연장되고, 상기 제 3 관통공(132)의 상기 경사(T)와 상기 테이퍼축(154)의 상기 경사(t)는 일정한 토크를 가질수 있도록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축(154)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제 3 관통공(132)과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테이퍼축(154)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면을 따라서 오일홈(1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156)의 끝단 중앙부분에는 수평축(156)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체결공(158)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체결공(158)은 상기 체결공(158) 내로 일정한 공구를 삽입시킨 상태 하에서 외부압력을 가하면 상기 체결공(158)의 외부면은 상기 제 2 플랜지(130)의 타측면측으로 뭉개지면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KR2020010018158U 2001-06-18 2001-06-18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KR200247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58U KR200247968Y1 (ko) 2001-06-18 2001-06-18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58U KR200247968Y1 (ko) 2001-06-18 2001-06-18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968Y1 true KR200247968Y1 (ko) 2001-10-31

Family

ID=7310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58U KR200247968Y1 (ko) 2001-06-18 2001-06-18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8999B2 (en) 2003-08-01 2007-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4382A (en) Angle adjusting mechanism
CA2375304C (en) Tilter for positioning electronic devices
US8919716B2 (en) Tilter for positioning an electronic device
KR20030055779A (ko)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JP6881872B1 (ja) 潤滑装置およびそれを有するロボットアーム
JP2021195998A (ja) 支持機構、及びこの支持機構を備えた支持装置
JP2021195998A5 (ko)
KR102272732B1 (ko) 윤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봇 아암
KR200247968Y1 (ko) 모니터 힌지 어셈블리
US5091670A (en) Ultrasonic motor
JP2023531689A (ja) 取り付け脚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200234588Y1 (ko) 엘씨디모니터용 힌지
KR100456291B1 (ko) 2개의 회전축선을 구비한 힌지 장치
KR100543878B1 (ko) 조작반의 임의 회전각도 조절을 위한 힌지어셈블리
KR200392504Y1 (ko)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 구조
KR20080068255A (ko) 레벨링 볼트
KR20000054173A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CN217208638U (zh) 一种可万向旋转调节的显示器连接底座
EP4170220A1 (en) Display stand
JP7274730B2 (ja) 支持機構並びにこの支持機構を備えた支持装置
KR200184244Y1 (ko) 디스크 타입의 마찰힌지장치
KR100432320B1 (ko)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KR20030056775A (ko) 박형 영상표시기기의 힌지 어셈블리
CN113246173B (zh) 润滑装置及具有该润滑装置的机械手臂
JP2002122105A (ja) 機器取付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