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674Y1 -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 Google Patents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674Y1
KR200247674Y1 KR2020010019886U KR20010019886U KR200247674Y1 KR 200247674 Y1 KR200247674 Y1 KR 200247674Y1 KR 2020010019886 U KR2020010019886 U KR 2020010019886U KR 20010019886 U KR20010019886 U KR 20010019886U KR 200247674 Y1 KR200247674 Y1 KR 200247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treatment
tongue
teeth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한
Original Assignee
김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한 filed Critical 김혁한
Priority to KR2020010019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674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병원에서 의사가 치아를 진료시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치아의 설면이나 협면의 안쪽부분을 파악하거나 치아의 치료에 방해되지 않도록 혀를 당기거나 미는 데 사용되는 치과용 진료거울에 있어서 거울을 양면으로 설치하여 치아의 내외면을 보다 편리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Dentistry double sided medical mirror}
본 고안은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병원에서 의사가 치아를 진료시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치아의 설면이나 협면의 안쪽부분을 파악하거나 치아의 치료에 방해되지 않도록 혀를 당기거나 미는 데 사용되는 치과용 진료거울에 있어서 거울을 양면으로 설치하여 치아의 내외면을 보다 편리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환자의 치아를 관찰하거나 치료할 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구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료거울을 들수 있는 데 이러한 진료거울은 가느다란 손잡이에 나사결합되는 지지대와 전기지지대의 끝단에 절곡상태로 부착된 원형의 거울받침대와 거울받침대의 내측 절곡면에 장착된 거울로 이루어져 치아를 진료시 절곡된 거울면으로 치아의 협면이나 설면을 관찰하고 치료에 방해되지 않도록 혀를 당기거나 밀어 잡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진료거울은 거울이 일면으로서 절곡된 거울받침대의 내측면에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도 3과 같이 치아의 안쪽 내면 즉, 혀가 위치하는 하악설면(下顎舌面)을 치료시 진료거울의 거울면으로 치료에 방해되지 않도록 혀를 밀어 내어 잡게 되는 데, 이때, 진료거울을 절곡된 거울받침대의 끝단이 밑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거울면은 혀쪽으로 위치하고 거울이 부착되지 않은 뒷면이 치아의 설면을 향하게 됨에 따라 이때에는 혀만 잡을 수 있을 뿐 하악설면의 관찰을 동시에 할 수 없어 진료와 치료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없는 사용상의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의 끝단에 장착되는 거울을 양면으로 설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혀를 당기거나 밀면서 치아면도 동시에 관찰 할 수 있는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손잡이에 나사결합된 지지대의 끝단에 원형링형태의 거울테두리를 설치하여 이에 양면거울을 끼워 장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지지대 3 : 거울
4 : 거울테두리 5 : 양면거울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손잡이(1)에 나사결합된 지지대(2)의 끝단에 거울(3)을 절곡되게 장착함에 있어서, 지지대(2)의 끝단에 원형링형태의 거울테두리(4)를 소정각도로 절곡되게 부착하고 이에 양면거울(5)을 장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손잡이(1)가 나사결합된 지지대(2)의 끝단에 원형링 형태의 거울테두리(4)를 부착하고 이에 양면거울(5)을 장착하여서 되는 것이므로 거울이 양면으로 형성되어 치아면의 협면과 설면 등을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는 데 예를 들면, 하악설면의 관찰이나 치료시에 혀를 진료거울로서 종래와 같이 거울테두리(4)의 끝단이 밑으로 향하도록 위치시켜 혀를 밀어 잡을 때에도 하악설면을 바깥면에 설치된 거울면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치아의 진료와 치료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진료거울의 거울을 양면으로 형성하므로서 치아의 내외면 즉 협면, 설면, 교합면등 치아 내면 전체를 보다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어 진료와 치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손잡이(1)에 나사결합된 지지대(2)의 끝단에 거울(3)을 절곡되게 장착함에 있어서, 지지대(2)의 끝단에 원형링형태의 거울테두리(4)를 소정각도로 절곡되게 부착하고 이에 양면거울(5)을 장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KR2020010019886U 2001-07-02 2001-07-02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KR200247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886U KR200247674Y1 (ko) 2001-07-02 2001-07-02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886U KR200247674Y1 (ko) 2001-07-02 2001-07-02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674Y1 true KR200247674Y1 (ko) 2001-10-31

Family

ID=7310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886U KR200247674Y1 (ko) 2001-07-02 2001-07-02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6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591B1 (en) Dental prop, throat dam and retractor
KR200395570Y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끝단 덮개
DE69734802D1 (de) Stützkörper zum gebrauch in einer orthodontischen Vorrichtung
DE58906498D1 (de) Vorrichtung zur kieferorthopädischen Zahnbehandlung.
HUP0101020A2 (hu) Eltérő száj- és fogméretekhez illeszthetően kialakított szerkezet fogszabályozási és egyéb célokra
KR100618556B1 (ko) 치열교정용 지지체
CA2349435C (en) Hand-held dental transilluminating device
CA2098963A1 (en) Dental appliance
KR200247674Y1 (ko) 치과용 양면 진료거울
WO2018017331A1 (en) Denture retaining bar and system
KR101043060B1 (ko) 교정용 고정장치
KR200437642Y1 (ko) 치열교정용 스크류
KR200359447Y1 (ko) 구강 내 치과용 광 공급 장치
KR102106820B1 (ko)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KR200244992Y1 (ko) 치아 교정용 기구
JP2021030074A (ja) マイクロミラーが備えられた歯科用リトラクター
KR200274842Y1 (ko) 치과용구 세트
ES2294011T3 (es) Anclaje ortodontico en el maxilar.
JP2002163901A (ja) 無影灯
KR101833808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원 및 이를 위한 교정 서포터
JP4143572B2 (ja) 可撤式の矯正装置
JP2010274082A (ja) デンタルミラー
JPH0634606U (ja) 歯列矯正用美的ブラケット保護具
JP4162636B2 (ja) 口腔内照明器具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