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820B1 -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820B1
KR102106820B1 KR1020190098580A KR20190098580A KR102106820B1 KR 102106820 B1 KR102106820 B1 KR 102106820B1 KR 1020190098580 A KR1020190098580 A KR 1020190098580A KR 20190098580 A KR20190098580 A KR 20190098580A KR 102106820 B1 KR102106820 B1 KR 102106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ooth
tube
fixing part
fix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김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윤 filed Critical 김재윤
Priority to KR102019009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0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outh props, tongue guards, tongue depressors or cheek 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80Dental aids fixed to teeth during treatment, e.g. tooth clamp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8Supports for equipment on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석션 튜브와 같은 구강내 기구를 보조자의 도움없이도 용이하게 구강내에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The device for fixing a apparatus in the mouth}
본 발명은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션 튜브와 같은 구강내 기구를 보조자의 도움없이도 용이하게 구강내에 고정할 수 있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치과 치료를 위해서는 유닛 체어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입을 벌리고, 환자의 머리 근처에 치과 의사가 앉은 상태에서 치과 치료를 하게 된다. 이 때, 의사의 옆에는 치료를 보조하기 위해 조수가 위치하게 된다. 조수는 석션기구를 환자의 입에 고정하여 구강 내부에서 발생되는 타액이나 절삭물 등의 적출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거나, 리플랙터를 고정하거나, 광중합기를 입속에 비추거나 부분조명을 비추는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의사는 손이 두 개 밖에 없으므로 치과 치료에 요구되는 다양한 핸드피스나 장비들을 환자의 입속에 고정하는 역할은 조수가 담당하게 된다.
그런데, 치과치료 과정과 치과 치료장비들의 사용방법을 숙지한 조수를 구하기가 어려워 조수가 없는 치과에서는 치과의사 혼자서 다양한 치료를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수가 있더라도 의사와 조수가 장기간 함께 일을 하지 않는 경우 치과 의사와 업무 분담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동선이 겹쳐 오히려 치료에 방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여러 명의 조수가 있는 경우 조수의 머리와 손 때문에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이것은 오히려 치료 속도가 늦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선행기술 1(한국등록특허공보 10-1615488)은 "치과용 멀티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형상이 가변되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는 브랜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치료유닛의 위치가 고정된다.
선행기술 2(한국등록특허공보 10-1907176)는 "석션 보조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소성 변형 가능한 케이블형 코일 구조체인 제1 조절구, 힌지 결합 부위에서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는 제2 조절구, 및 볼 베어링 방식의 결합 부위에서의 결합 방향 및 결합 각도의 조절을 하는 제3 조절구를 이용하여 석션 모듈의 설치 위치를 최종적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장비가 비교적 고가이면서 부피가 크고, 구강 내 사용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시술 중 의사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석션 튜브와 같은 구강내 기구를 보조자의 도움없이도 용이하게 구강내에 고정할 수 있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치아 고정부가 상기 상악 또는 상기 하악에 있는 치아 중 원심면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치아 고정부가 노출된 원심면을 더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치아의 순면, 설면, 또는 구개면과 접촉하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단이 갈라져 상기 치아 고정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접합도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아 고정부를 상기 치아의 교합면 상방에서 치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치아 고정부의 돌출부가 상기 치아의 치경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치아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 고정부의 곡률은 상기 튜브 고정부로 고정하고자 하는 튜브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 고정부에 끼움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튜브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치아 고정부의 다른 일부가 연장된 제2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각각이 서로 다른 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치아 고정부의 다른 일부가 연장된 제2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하나의 튜브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순면과 설면 또는 상기 순면과 구개면에 접촉하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접촉면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치아 고정부를 쉽게 치아에 끼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제2 고정부가 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함께 튜브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션 튜브와 같은 구강내 기구를 보조자의 도움없이도 용이하게 구강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고정부의 일단을 갈라지게 형성함으로써, 치아 고정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접합도를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치아 고정부의 돌출부가 치아의 치경부에 끼워짐으로써, 치아 고정부가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구강내 치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a)와 도 1(e)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치아고정부 일단이 갈라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석션튜브가 튜브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e)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석션튜브가 튜브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는 튜브 고정부(100) 및 치아 고정부(200)로 구성된다. 치아 고정부(200)는 돌출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 고정부(100)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튜브 고정부(100)가 치아 고정부(200)의 다른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튜브 고정부(100)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한다.
튜브 고정부(100)의 곡률은 튜브 고정부(100)로 고정하고자 하는 튜브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튜브를 튜브 고정부(100)에 끼움으로써 고정할 수 있다. 곡률은 선의 굽은 정도를 표현하는 수치로서, 곡률이 클수록 곡선이 더 굽어있는 것을 의미한다.
치아 고정부(200)는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쌈으로써, 치아에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예를 들면, 석션 튜브)를 고정한다.
치아 고정부(200)가 상기 상악 또는 하악에 있는 치아 중 어금니와 같이 원심부면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 노출된 원심부면을 더 둘러싸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치아의 순면, 설면, 또는 구개면과 접촉하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단이 갈라져 치아 고정부(200)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접합도를 개선할 수 있다.
치아 고정부(200)를 상기 치아의 교합면 상방에서 치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순면과 설면 또는 상기 순면과 구개면으로 돌출된 돌출부(201)가 치경부에 끼워짐으로써, 치아 고정부(200)가 치아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c)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튜브 고정부(100)의 제1 고정부(110)와 치아 고정부(200)의 다른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2개의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는 도 1(c)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튜브 고정부(100)의 제1 고정부(110)와 치아 고정부(200)의 다른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제2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1개의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와 도 1(d)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는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 2개의 튜브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와 다른 점이다.
도 1(c)는 2개의 튜브 고정부(110, 120)를 이용하여 2개의 튜브를 고정할 수 있고, 도 1(d)는 2개의 튜브 고정부(110, 120)를 이용하여 1개의 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는 튜브 고정부(100)의 제1 고정부(110)와 제2 고정부(12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하악의 경우에는 순면과 설면, 상악의 경우에는 순면과 구개면에 접촉하는 치아 고정부(200)의 접촉면이 벌어짐으로써, 치아 고정부(200)를 쉽게 치아에 끼울 수 있다.
도 1(e)는 치아 고정부(200)의 어느 한 부분이 튜브 고정부(100)의 일부(120)가 되어 치아 고정부(200)와 튜브 고정부(100)의 기능을 동시에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e)를 참조하면, 치아 고정부(200)의 일단이 튜브 고정부(100)의 제2 고정부(120)가 되고, 제2 고정부(120)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110)와 함께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사용되는 구강내 치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치아들이 하악인 경우에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과 원심면과 근심면이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치아들이 상악인 경우에는 설면 대신 구개면으로 대체된다.
치아의 순면은 입술쪽을 향한 면을 가리키고, 설면은 혀쪽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교합면은 입을 다물 때 마주보는 치아(윗니-아랫니)끼리 맞닿는 면을 의미한다. 상악의 경우에는 하악의 순면과 설면 대신에 순면과 구개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구강내 정중선을 가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정중선과 가까운 치아면을 근심면, 상기 정중선과 먼 치아면을 원심면이라고 한다.
가장 외곽이 있는 어금니의 원심면은 다른 치아와 맞대어 있지 아니하고, 노출되어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치아고정부(200)가 교합면, 순면, 및 설면(또는 구개면) 외에도 어금니의 원심면을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치아의 교합면, 설면, 및 순면이 치아 고정부(200)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교합면에서 치은 방향으로 치아 고정부(200)를 누름으로써,치아 고정부(200)의 돌출부(201)가 치아와 잇몸(치은)이 만나는 치경부와 맞닿아 결합되고 있다.
도 4는 도 1(a)와 도 1(e)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치아고정부 일단이 갈라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치아고정부 일단이 갈라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도 1(e)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치아고정부 일단이 갈라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치아 고정부(200)는 교합면, 순면, 및 설면(또는 구개면)과 접하고, 순면과 접하는 면과 설면과 접하는 면의 일단이 3갈래로 연장되어 있다. 3갈래로 연장되어 있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단은 하나의 면으로 연장된 치아 고정부(200)보다 치아 주변에 접촉되는 접촉면의 접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에서는 치아 고정부(200)의 순면과 접하는 면과 설면과 접하는 면의 일단이 3갈래로 연장되어 있으나 2갈래 또는 4갈래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치아 고정부(200)의 어느 한 부분이 튜브 고정부(100)의 일부(제2 고정부, 120)가 되어 치아 고정부(200)와 튜브 고정부(100)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다.
즉, 치아 고정부(200)의 일단이 튜브 고정부(100)의 제2 고정부(120)가 되고, 제2 고정부(120)는 치아 고정부(200)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110)와 함께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치아 고정부(200)와 튜브 고정부(100)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는 부분의 일단(120)이 여러 갈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 고정부(200)의 다른 일단 역시 여러 갈래로 분리되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치아 고정부(200)가 2갈래 또는 4갈래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1(a)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석션튜브가 튜브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e)에 도시된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석션튜브가 튜브 고정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가 치아에 고정되면서도 구강내 석션 튜브와 같은 기구들을 고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의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튜브 고정부(100)는 교합면 위쪽에 형성되어 석션 튜브가 교합면 위쪽에서 고정되는 반면, 도 6의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의 튜브 고정부(100)는 교합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석션 튜브가 교합면의 아래쪽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튜브 고정부(100)의 형성 위치는 교합면 위쪽이 될 수도 있고 아래쪽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의 순면, 설면, 또는 구개면과 접촉하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단이 갈라져 상기 치아 고정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접합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4.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고정부를 상기 치아의 교합면 상방에서 치은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치아 고정부의 돌출부가 상기 치아의 치경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치아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5. 삭제
  6.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치아 고정부의 다른 일부가 연장된 제2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각각이 서로 다른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7.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치아 고정부의 다른 일부가 연장된 제2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하나의 튜브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순면과 설면 또는 상기 순면과 구개면에 접촉하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접촉면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치아 고정부를 쉽게 치아에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9. 하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설면을 둘러싸고, 상악의 경우 치아의 교합면, 순면, 및 구개면을 둘러싸는 치아 고정부; 및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단이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제2 고정부가 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치아 고정부의 일부가 연장된 제1 고정부와 함께 튜브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KR1020190098580A 2019-08-13 2019-08-13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KR102106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80A KR102106820B1 (ko) 2019-08-13 2019-08-13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580A KR102106820B1 (ko) 2019-08-13 2019-08-13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820B1 true KR102106820B1 (ko) 2020-05-06

Family

ID=7073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580A KR102106820B1 (ko) 2019-08-13 2019-08-13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4911A1 (de) * 2021-03-30 2022-10-15 Thurner Christian Klamm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95U (ko) * 1975-06-20 1976-01-23
JPS6226099Y2 (ko) * 1983-02-07 1987-07-03
KR100686607B1 (ko) *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KR101216154B1 (ko) *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JP3184230U (ja) * 2013-03-29 2013-06-20 春美 伊藤 歯科用吸引管に取付け可能な歯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595U (ko) * 1975-06-20 1976-01-23
JPS6226099Y2 (ko) * 1983-02-07 1987-07-03
KR100686607B1 (ko) *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KR101216154B1 (ko) *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JP3184230U (ja) * 2013-03-29 2013-06-20 春美 伊藤 歯科用吸引管に取付け可能な歯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4911A1 (de) * 2021-03-30 2022-10-15 Thurner Christian Klammer
AT524911B1 (de) * 2021-03-30 2023-10-15 Thurner Christian Klam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0203C (en) Removable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Mantzikos et al. Case report: forced eruption and implant site development
Park et al. Simultaneous incisor retraction and distal molar movement with microimplant anchorage.
Lee et al. Uprighting mandibular second molars with direct miniscrew anchorage
Wilmes et al. Esthetic Class II treatment with the Beneslider and aligners
Wilmes et al. Upper-molar intrusion using anterior palatal anchorage and the Mousetrap appliance
JPS6384548A (ja) 歯列弓拡張用歯列矯正装置
KR102209805B1 (ko) 교정용 디지털 터보 브라켓
US7625206B2 (en) Method of orthodontic treatment
KR102106820B1 (ko) 구강내 기구 고정장치
Wilmes et al. Mini-implant-borne Pendulum B appliance for maxillary molar distalisation: design and clinical procedure
Giray et al. Two-year follow-up of a patient with oligodontia treated with implant-and tooth-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a case report.
Ye et al. Status of lingual orthodontics.
Razdolsky et al. Movement of ankylosed permanent teeth with a distraction device
NOJIMA et al. The use of an osseointegrated implant for orthodontic anchorage to a Class II Div 1 malocclusion
Abu-Hussein et al. Management of lower second premolar impaction
Sandler et al. Unerupted premolars—an alternative approach
Ansari et al. Management of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in Non-Complaint Patient using Powerscope-A Case Report
Lee et al. Orthodontic Correction of Class II Division 2 Malocclusion
Badr et al. Camouflage treatment of posterior bite collapse in a patient with skeletal asymmetry by using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CN213430681U (zh) 一种带有牵引附件的隐形牙套
WILMES et al. Asymmetric Noncompliance Upper Molar Distalization in Aligner Treatment Using Palatal TADs and the Beneslider
Wu et al. Application of miniscrew anchorage to assist scissors-bite correction
Shekarian et al. Treatment of a horizontally impacted permanent incisor in a 9-year-old girl: A Case Report
Cho et al. Bimaxillary Total Arch Intrusion in Lingual Orthodontics for Hyperdivergent Class II Face with Asymmetry and Lip Protr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