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440Y1 -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440Y1
KR200247440Y1 KR2020010018463U KR20010018463U KR200247440Y1 KR 200247440 Y1 KR200247440 Y1 KR 200247440Y1 KR 2020010018463 U KR2020010018463 U KR 2020010018463U KR 20010018463 U KR20010018463 U KR 20010018463U KR 200247440 Y1 KR200247440 Y1 KR 200247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water
water tank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맥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맥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맥스테크
Priority to KR2020010018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44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수원인 생수통을 소용량으로 하여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게 구성함과 동시에 생수의 냉각방식을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 구성하여 진동이나 소음이 없게 하고, 또한 소형으로 구성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온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내에 저장통(31)과 냉수통(32)으로 구성되는 내부통체(30)를 설치하고, 상기 내부통체(30)상에는 받침통(40)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통(40)에는 결합홀더 (41)(42)를 구성하여, 생수통(70)이 안치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냉수통(32)에는 열전소자(51)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봉(50)을 구성하고, 냉수통(32) 일측에는 공기통로용관(63)이 구성된 온수통(60)을 설치하되, 온수통(60)과 저장통(31)은 급수관(61)으로 연결구성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Hot and cold water eguipment}
본 고안은 열전소자와 히터를 이용한 냉온수기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수원인 생수통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 소음과 환경오염을 발생치않게 한 환경친화적인 냉온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온수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통체로 구성된 냉온수기 본체상에 대용량(18∼20ℓ)의 물통을 안치하여 취수원으로 사용케 한 구성이 있다.
따라서 냉온수기의 사용중 물통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물통의 중량이 무거운 관계로 여성이나 주부 및 노약자들의 경우 교체하기가 힘이들어 불편하였다.
또한 냉온수기에 장치된 냉수기의 작동을 프레온가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냉매를 컴프레서에 의해 강제순환시켜 냉각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냉매는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시켜 환경을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제품을 폐기시킬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므로 국내외적으로 사용에 대한 규제가 날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냉각방식은 컴프레서순환방식이므로 소음 및 진동이 있어 쾌적한환경이 요구되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냉온수기의 크기 또한 중.대형으로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취수원으로 사용되는 생수통의 교체가 용이하면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서 사용중 소음이나 진동이 없게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구조로하고, 또한 설치공간을 최소화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냉온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 내면상부에 냉수통과 저장통으로 구성된 내부통체를 구성하되, 상기 내부통체 윗쪽에는 소용량(약1.5∼2ℓ)의 PET생수통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받침통을 구성하고, 내부통체를 구성하는 저장통 일측 아랫쪽에는 온수통이 구성되게 하며, 상기 온수통내에는 히터를 설치하여 온수통내의 물이 가열될 수 있게 하고, 냉수통내에는 냉각봉을 설치하되, 열전소자를 통하여 열을 흡수되게 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열은 방열판과 냉각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온수통과 생수통에는 일정온도를 유지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냉온수통내의 냉온수가 항상 필요한 온도를 유지케 함과 동시에 전기소모를 줄여 유지비를 절감케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 1 : 본 고안 냉온수기의 요부단면구성도.
도 2 : 본 고안 냉온수기의 측단면구성도.
도 3 : 도1의 상태에서 생수통을 결합한 상태도.
도 4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내부통체의 단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받침통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냉온수기 (20)--본체
(30)--내부통체 (31)--저장통
(32)--냉수통 (33)--저장실
(34)--냉수저장실 (35)--통공
(36)--격판 (40)--받침통
(41)(42)--결합홀더 (43)(44)--협지관체
(45)(46)--돌출관 (47)(48)--유입공
(50)--냉각봉 (51)--열전소자
(52)--방열판 (53)--냉각판
(60)--온수통 (61)--급수관
(62)--히터 (63)--공기통로용관
(70)--생수통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냉온수기(10)의 단면구성도로서,통체(20)내상부에 저장통(31)과 냉수통(32)으로 구성된 내부통체(30)를 고정설치하되, 저정통(31)과 냉수통(32)에는 저장실(33)과 냉수저장실(34)이 구성되게 한다.
이때 냉수통(32)은 저장통(31)의 일측 저면에 일체형으로 돌출구성되게 하고, 저장통(31)과 냉수통(32)사이에는 통공(35)이 뚫린 격판(36)이 구성되어 있어 저장실(33)과 냉수저장실(34)이 서로 구획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내부통체(30)윗쪽에는 좌우 결합홀더(41)(42)로 구성된 받침통(40)을 안치하여 내부통체(30)상에 받침통(40)이 결합구성되게 하되, 결합홀더 (41)(42)하단에 위치한 협지관체(43)(44)가 저장통(31)에 구성된 저장실(33)내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각 협지관체(43)(44)내에는 유입공(47)(48)이 뚫린 돌출관 (45)(46)이 돌출 구성되어 있다.
저장통(31)일측하단에 구성된 냉수통(32)내면에는 냉각봉(50)을 설치하되, 냉각봉(50)하단부에는 열전소자(51)를 설치하여 냉각봉(50)의 열을 흡수배출되게 하며, 상기 열전소자(51)아랫쪽에는 방열판(52)과 냉각팬(53)을 차례로 설치하여 열전소자(51)의 열을 다시 방열판(52)이 흡수분산되게 한 다음 냉각팬(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때 냉수통(32)내에 구성된 냉각봉(50)은 그 내면에 히터파이프가 삽입구성되어 있어 열전달이 신속하고, 또한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면형상을 요철형으로 구성되게 하여 표면적을 가능한 넓게 하는 것이 냉각효율을 높이는데에 바람직하며 외면에는 테프론코팅 또는 세라믹 코팅을 하여 냉각속도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위생적으로 인체에 무해하게 하였다.
냉수통(32)일측에는 스테인레스재질로 구성된 온수통(60)을 구성하여 급수관(61)을 통하여 내부통체(30)의 저장통(31)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저장통(31)의 생수가 급수관(61)을 통하여 온수통(60)하단으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온수통 (60)내면에는 전기히터(62)를 설치하여 온수통(60)내의 생수가 가열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온수통(60)상단에는 공기통로용관(63)을 돌출 구성하되, 상기 공기통로용관 (63)은 저장통(31)내에 돌출구성된 돌출관(37)내에 위치되게 하므로서 온수통(60)내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한 구성의 냉온수기(10)상단에 구성된 받침통(40)의 좌우결합홀더 (41)(42)에는 도3에서와 같이 소용량(약 1.5∼2ℓ)의 생수통(70)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좌우결합홀더(41)(42)에 생수통(70)이 결합되면 생수통(70)내의 생수는 결합홀더(41)(42)하단에 구성된 유입공(47)(48)을 통하여 저장통(31)의 저장실(33)로 유입되고, 저장실(33)에 유입된 생수는 다시 냉수통(32)과 온수통(60)으로 각각 유입되어 냉수 혹은 온수로 처리된다.
이때 냉온수통(32)(60)내측에는 온도감지센서(도시않됨)를 설치하여 냉온수통(32)(60)내의 생수가 설정된 온도로 항상 유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부호 (80)은 유출공, (81)은 취출구, (82)는 전자회로기판(PCB)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수기(10)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냉온수기(10)상단에 구성된 받침통(40)의 좌우결합홀더(41)(42)에 소용량의생수통(70)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저장실(33)과 냉수저장실(34) 및 온수저장실(64)에 생수가 공급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좌우결합홀더(41)(42)에 생수병(70)을 결합하게 되면 협지관체(43)(44)의 내면중앙에 구성된 돌출관(45)(46)의 유입공(47)(48)을 통하여 생수가 저장실(33)로 보충된다.
저장실(33)에 보충된 생수는 다시 격판(36)의 통공(35)을 통하여 냉수통(32)에 구성된 냉수저장실(34)로 공급되고, 동시에 급수관(61)을 통하여는 온수통(60)의 온수저장실(64)로 공급된다.
이때 온수통(60)상단에는 공기통로용관(63)이 설치되어 있어 급수관(61)을 통하여 저장실(33)의 생수가 온수통(60)으로 유입되면 온수통(60)내의 공기가 공기통로용관(63)을 통하여 저장실(33)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온수통(60)내로 생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냉온수기(10)내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냉수통(32)에 채워진 생수가 냉각봉(50)에 의해 냉각되고, 온수통(60)에 채워진 생수는 전기히터(62)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냉수통(32)에 채워진 생수의 냉각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열전소자(51)가 작동하여 냉각봉(50)의 열을 흡수하게 되면 냉각봉(50)은 열이 빼앗긴 만큼 냉각하게 되고, 따라서 냉수통(32)에 채워진 생수가 냉각된다.
냉각봉(50)의 열을 흡수한 열전소자(51)는 다시 열을 방열판(52)으로 인가하게 되고, 방열판(52)으로 인가된 열은 냉각팬(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동작의 반복으로 냉각봉(50)이 냉각되어 냉수통(32)내의 물은 항상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온수통(60)내에 채워진 생수는 온수통(60)내에 설치된 전기히터 (62)에 의해 가열된다.
또한 상기 생수통(34)과 온수통(60)내에는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생수통(34) 및 온수통(60)내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였으며, 상기 온도감지센서는 전자회로기판(82)과 연결하여 동작이 제어 또는 작동토록 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온도감지센서와 전자회로기판(82)의 작동으로 온수통(60) 및 생수통(32)내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므로서 전기의 낭비를 방지케 하여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냉온수기(10)의 냉수통(32)과 온수통(60)외면에는 단열재(도시않됨)를 감싸지게 구성하여 보냉보온효과가 있도록 하여 사용케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또한 냉각봉(50)은 표면이 요철형으로 구성하여 냉수통(32)에 채워진 생수와의 접촉면적을 가능한 많게 하여 냉각효율을 증진시키게 하며, 동시에 냉각봉(50)외면에는 테프론코팅 및 세라믹코팅을 하여 위생적이면서 냉각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냉각봉(50)은 그 내면에 히터파이프가 삽입 구성되어 있어 열의 흡수전달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냉온수기(10)는 취수원인생수통(70)의 용량이 1.5∼2ℓ정도의 소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부나 여성 혹은 노약자 누구나 쉽게 생수통을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할 뿐아니라 열전소자(51)에 의한 냉각방식이므로소음과 진동이 거의 없어 일반가정이나 사무실, 연구소 등의 장소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냉온수기(10)를 이용하여 냉수 혹은 온수를 취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2에서와 같이 냉온수기(10)전면에 설치된 취출구(81)에 컵을 위치시킨 다음 취출구(81)의 레버를 누르면 온수 혹은 냉수가 취출된다.
이때 취출구(81)를 통하여 취출되는 물의 량만큼 저장실(33)에 충진된 생수가 온수통(60) 및 냉수통(32)으로 충진되며, 온수통(60)의 생수공급은 급수관(61)을 통하여 하단부로 공급되며, 냉수통(32)의 생수공급은 냉수저장실(34)과 저장실 (33)을 구획하고 있는 격판(36)의 통공(35)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온수통(60)의 급수관(61)이 하단에 위치한 이유는 생수가 윗쪽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가열되게 하는 것이고, 냉수저장실(34)과 저장실(33)을 구획하는 격판(36)은 냉수저장실(34)의 냉각된 생수가 저장실(33)의 생수와 혼합되지 않고 구별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냉온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취수원인 생수통을 소용량으로 하여 남여노소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냉온수기의 구성을 소형으로 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며, 또한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방식으로 소음이나 진동없이 정숙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냉온수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0)내에 냉수통(32)과 저장통(31)으로 구성된 내부통체(30)를 설치하고, 상기 냉수통(32)과 저장통(31)사이에는 통공(35)이 뚫린 격판(36)을 설치하여 냉수저장실(34)과 저장실(33)이 구획되게 하고, 상기 내부통체(30)상부에는 결합홀더(41)(42)로 구성된 받침통(40)을 결합구성하되, 결합홀더(41)(42)하단에는 유입공(47)(48)이 형성된 돌출관(45)(46)을 구성하고, 상기 결합홀더(41)(42)에는 소용량의 생수통(70)을 안치하여 생수통(70)내의 생수가 저장실(33)로 공급되게 하고, 냉수통(32)내면에는 열전소자(51)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봉(50)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51)하단에는 방열판(52)과 냉각팬(53)을 설치하여, 열전소자(51)의 열을 방열케 구성하고, 냉수통(32)측부에는 온수통(60)을 구성하여 급수관(61)으로 저장통(31)의 저장실(33)과 연결되게 하고, 온수통(60)상부에는 공기통로용관(63)을 구성하여, 온수통(60)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KR2020010018463U 2001-06-20 2001-06-20 냉온수기 KR200247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63U KR200247440Y1 (ko) 2001-06-20 2001-06-20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463U KR200247440Y1 (ko) 2001-06-20 2001-06-20 냉온수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069A Division KR20020096512A (ko) 2001-06-20 2001-06-20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440Y1 true KR200247440Y1 (ko) 2001-10-17

Family

ID=7310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63U KR200247440Y1 (ko) 2001-06-20 2001-06-20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4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2621A (es) Metodo y aparato para producir agua.
US20110016930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1898639B1 (ko) 냉수 공급장치의 수통구조
RU2003121641A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10021128A (ko) 냉장고
CN111996770A (zh) 衣物护理机及衣物护理机的自清洁控制方法
KR100677880B1 (ko) 스팀발생장치
KR200247440Y1 (ko) 냉온수기
KR20020096512A (ko) 냉온수기
KR100487872B1 (ko) 냉온 정수기 구조
CN103292557A (zh) 冰箱热水器一体机
JP2007523317A (ja) 飲料水供給装置用クー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この種のクーリングユニットを含む飲料水供給装置
JPH08253296A (ja) 飲料用冷水ディスペンサ
CN201344626Y (zh) 用于循环式空气源热泵热水器的水箱
KR100217209B1 (ko) 차량용 냉온수기 겸 냉온장고
KR20110084889A (ko) 세척 기구
KR100915322B1 (ko) 액체포장용기용 냉각장치
KR200288720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수기
CN219222830U (zh) 一种具有液冷式制冷机构的电热水器
KR200328373Y1 (ko) 냉온수분배기
KR19980057737A (ko) 냉각시스템 및 냉정수기
CN212408832U (zh) 一种家庭取暖用空气热能泵
KR19980019009U (ko) 냉온수기 결합형 가습기
CN215289397U (zh) 箱式热水晾干一体机
CN217075693U (zh) 一种半导体制冷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