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15Y1 - 양방향급수전 - Google Patents

양방향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15Y1
KR200247315Y1 KR2019980012433U KR19980012433U KR200247315Y1 KR 200247315 Y1 KR200247315 Y1 KR 200247315Y1 KR 2019980012433 U KR2019980012433 U KR 2019980012433U KR 19980012433 U KR19980012433 U KR 19980012433U KR 200247315 Y1 KR200247315 Y1 KR 200247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main body
hole
central portion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542U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2019980012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1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5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5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15Y1/ko

Links

Landscapes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 파이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양방향 급수전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급수 방향을 좌측, 우측, 양측으로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급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 손잡이를 돌리되, 회전 구간을 짧게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급수 위치로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되, 항상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중앙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유입관, 중앙부의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지관, 중앙부의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지관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한 본체의 중앙부에 내장하되, 수로가 천공된 구면체, 상기 구면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의 상단부로 삽입시킨 손잡이 축, 상기 손잡이 축의 상단에 연결된 조작 손잡이로 이루어진 양방향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중앙부 속에 내장시킨 구면체는 그 내부의 수로가 직선형 관통구멍, 상기 관통구멍의 중앙과 연결된 좌측 경사구멍과, 우측 경사구멍으로 형성하여 급수 방향을 달리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한 본체의 상단부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다수의 반원요홈과 스톱퍼 핀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내부 수직홈에는 상기 반원요홈을 향해 스프링에 탄설된 볼을 형성하여 조작 손잡이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급수전
본 고안은 수도 파이프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양방향 급수전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 방향을 일측 한 방향으로 만, 또는 타측 한 방향으로만, 또는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급수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급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조작 손잡이를 가능한 효과적으로 조작하여 급수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전이라 하면 주지된 바와 같이 주방이나, 욕실이나, 화장실등의 장소까지 배관된 수도 파이프의 소관에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수시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대부분 하나의 급수 방향을 가지는 수도꼭지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급수전은 단순히 물의 차폐기능밖에 없기 때문에 근래에는 보다 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물의 방향을 두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급수전이 소개되었다.
예컨데, 욕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방향 급수전의 경우, 세면용으로 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세면용 지관으로 급수되게 하고, 세탁용으로 물을 사용하고자 할때는 세탁기용 지관으로 급수될 수 있도륵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급수전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도 1 및 도 2의 급수전은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1993년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25262호)으로써, 상측 조작 손잡이(2)를 도면상 우측으로 돌리면 우측 지관(13)으로 물이 급수되고, 좌측으로 돌리면 좌측 지관(12)으로 물이 급수되는 것이다.
더 자세히 말해서 조작 손잡이(2)를 돌리면 손잡이 축(4)이 회전하고, 손잡이 축(4)이 회전하면 손잡이 축 끝단의 돌기(41)가 요홈(35)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는 본체(1) 내부의 구면체(3)가 같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구면체(3) 내부에는 기역자 모양의 유통공(3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유통공(30)이 좌측 지관(12), 또는 우측 지관(13)에 일치되었을 경우 유입관(11)으로 들어온 물이 그 각각의 지관(12)(13) 방향으로 급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미비점이 있었다.
첫째, 물을 좌측 지관(12)또는 우측 지관(13)으로 급수할 수 있으나 양측 방향으로 동시에 지급할 수 없었으며, 둘째, 좌측 지관(12) 또는 우측 지관(13)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조작 손잡이(2)를 완전히 180°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불편하였으며, 셋째, 물이 어느 한쪽으로도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작 손잡이(2)를 중간의 위치에 놓아야하나 정확하게 중간의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안내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 고안의 미비점을 개량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급수 방향을 좌측, 우측, 양측으로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급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 손잡이를 돌리되, 회전 구간을 짧게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급수 위치로 조작 손잡이를 회전시키되, 항상 정위치에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중앙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유입관, 중앙부의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지관, 중앙부의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지관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한 본체의 중앙부에 내장하되, 수로가 천공된 구면체, 상기 구면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의 상단부로 삽입시킨 손잡이 축, 상기 손잡이 축의 상단에 연결된 조작 손잡이로 이루어진 양방향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의 중앙부 속에 내장시킨 구면체는 그 내부의 수로가 직선형 관통구멍, 상기 관통구멍의 중앙과 연결된 좌측 경사구멍과, 우측 경사구멍으로 형성하여 급수 방향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본체의 상단부에는 회전방향에 따른 다수의 반원요홈과 스톱퍼 핀을 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 손잡이의 내부 수직홈에는 상기 반원요흠을 향해 스프링에 탄설된 볼을 형성하여 조작 손잡이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면체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반원요홈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의 (가),(나),(다),(라)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조작 손잡이
3 : 구면체 4 : 축
5 : 실 11 : 유입관
12,13 : 좌,우측 지관 14 : 상단부
15 : 중앙부 16 : 연결부
21 : 수직홈 22 : 스프링
23 : 볼 24 : 파이프
25 : 표시부 31 : 수로
32 : 관통구멍 33,34 : 경사구멍
35 : 요홈 41 : 돌기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구면체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고안은 본체(1)와, 구면체(3)와, 조작 손잡이(2)로 크게나눌 수 있다.
본체(1)는 중앙부(15)의 일측으로 연장된 유입관(11)과, 중앙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 지관(12)과, 중앙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우측 지관(13), 그리고 유입관의 반대쪽 상단부(1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한 좌측 지관(12)은 나사 연결부(16)로써 추가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나사 연결부(16)를 통해서 구면체(3)를 내장시킬 수 있다.
구면체(3)는 평면도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테프론 실(5)에 의해 받쳐지면서 상면에 요흠(3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상단부(14)에 끼워진 손잡이 축(4) 하단의 돌기(41)가 끼워져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4개의 구멍으로 수로(31)를 형성하고 있는 바, 그 중 하나는 중앙을 가로지르는 직선형 관통구멍(32)과, 상기 관통구멍의 중앙과 연결된 좌측 경사구멍(33)과, 역시 관통구멍의 중앙과 연결된 우측 경사구멍(3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관통구멍(32)으로부터 양쪽으로 각각 임의의 각도(θ°)를 유지하고 있고, 이 각도는 약 45° 가 바람직하다.
구면체(3)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 축(4)은 조작 손잡이(2)의 허브(20)속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 조작 손잡이(2)의 속에는 수직홈(21)이 형성되어 있어 볼(23)이 파이프(24)속에 끼워진 채 스프링(22)에 탄설되어 있고, 이때의 볼(23)은 조작 손잡이(2)를 돌려 주는데 따라서 본체(1)의 상단부(14) 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반원요홈(18)에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반원요홈(18)에 스프링에 의해 탄설된 볼(23)은 조작손잡이를 회전시켰을 때 반원요홈에 탄설된 볼(23)이 스프링(22)을 압축시키면서 반원요홈(18)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볼(23)은 구형(求形)임으로 스프링의 끝에서 회전할 수 있다. 빠져나온 볼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른 반원요홈상에 위치되었을 때 딱깔소리를 내며 요홈속으로 다시 탄력적으로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반원요홈(18)은 평면에 약간 파인 홈이기 때문에 조작손잡이(2)를 돌리면 그 회전력에 의해 요홈(18)으로부터 볼(23)이 쉽게 빠지게 됩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5는 조작 손잡이의 표시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 손잡이(2)와 구면체(3)는 같이 회동하므로 그 관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도 6a의 (가)에서와 같이 조작 손잡이(2)의 표시부(25)를 세로 방향으로 놓았을 때는 잠금상태이며, 이때는 관통구멍(32)은 물론 좌,우측 경사구멍(33)(34)등 모든 수로(31)가 좌,우측 지관(12)(13)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폐쇄된 상태이고, 수직홈(21)의 볼(23)은 하측 반원요홈(18)에 안착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6a의 (나)에서와 같이 조작 손잡이(2)의 표시부(25)를 반시계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만큼 회전시키면 세면용 급수 상태이며, 이때는 관통구멍(32)과 연결된 우측 경사구멍(34)이 우측 지관(13)과 연결되어 급수가 이루어 지고 있는 상태이고, 수직홈(21)의 볼(23)은 우측 첫 번째 반원요홈(18)에 안착된 상태이다.
또, 도 6b의 (다)에서와 같이 조작 손잡이(2)의 표시부(25)를 반시계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 2배 만큼 회전시키면 세면용 급수와 세탁용 급수가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며, 이때는 관통구멍(32)이 좌,우측 지관(12)(13)과 바로 연결되어 양방향 급수가 이루어 지고 있는 상태이고, 수직홈(21)의 볼(23)은 우측 두 번째 반원요홈(18)에 안착된 상태이다.
또한, 도 6b의 (라)에서와 같이 조작 손잡이(2)의 표시부(25)를 최초의 세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만큼 회전시키면 세탁용 급수만이 연결된 상태이며, 이때는 관통구멍(32)과 연결된 좌측 경사구멍(33)이 좌측 지관(12)과연결되어 급수가 이루어 지고 있는 상태이고, 수직홈(21)의 볼(23)은 좌측 첫 번째 반원요홈(18)에 안착된 상태인 것이다.
참고로 반원요홈(18)들의 양측 스톱퍼 핀(17)은 수직홈(21)의 양측 측편이 부딪혀 조작 손잡이(2)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출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구면체(3)에 형성한 수로(31)의 모양을 관통구멍(32)과, 이 관통구멍(32)의좌,우 양측으로 경사지게 천공된 경사구멍(33)(34)으로 형성하여 이들이 좌측 지관(12) 및 우측 지관(13)과 하나씩 연결되거나 혹은 관통구명(32)이 가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어느 한쪽씩, 또는 양방향을 동시에 급수할 수 있게된 것이며, 특히 급수 방향을 결정하여 조작하는 조작 손잡이(2)의 회전 범위도 약 45°∼ 90°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돌리기가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으며, 조작 손잡이(2)의 수직홈(21)에 탄설시킨 볼(23)이 각각의 위치에 따른 반원요홈(18)에 걸리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 손잡이의 회전량을 신경쓰지 않고 돌려도 항상 정위치에 놓이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15)의 일측으로 연장된 유입관(11), 중앙부의 좌측으로 연장된 좌측지관(12), 중앙부의 우측으로연장된 우측 지관(13)으로 이루어진 본체(1), 상기한 본체의 내부에 내장하되, 수로가 천공된 구면체(3), 상기 구면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의 상단부(14)로 삽입시킨 손잡이 축(4), 상기 손잡이 축(4)의 상단에 연결된 조작 손잡이(2)로 이루어진 양방향 급수전에 있어서,
    상기한 본체(1)의 중앙부 속에 내장시킨 구면체(3)는 그 내부의 수로(31)가 직선형 관통구멍(32), 상기 관통구멍(32)의중앙과 연결된 좌측 경사구멍(33)과, 우측 경사구멍(34)으로 형성하여 급수 방향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본체(1)의 상단부(14)에는 회전 방향에 따른 다수의 반원요홈(18)과 스톱퍼 핀(17)을 형성하고, 상기 조작 손잡이(2)의 내부 수직홈(21)에는 상기 반원요홈(18)을 향해 스프링(22)에 탄설된 볼(23)을 형성하여 조작 손잡이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급수전.
KR2019980012433U 1998-07-08 1998-07-08 양방향급수전 KR200247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33U KR200247315Y1 (ko) 1998-07-08 1998-07-08 양방향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33U KR200247315Y1 (ko) 1998-07-08 1998-07-08 양방향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42U KR20000002542U (ko) 2000-02-07
KR200247315Y1 true KR200247315Y1 (ko) 2002-08-08

Family

ID=6950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433U KR200247315Y1 (ko) 1998-07-08 1998-07-08 양방향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77061A (zh) * 2020-06-02 2020-07-31 谭明新 一种基于vr技术的监管场所vr教育矫治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42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0123A (en) Ball-type faucet
US5961046A (en) Shower fixture with inner/outer spray ring
US7937784B2 (en) Parent-child showerhead
KR200247315Y1 (ko) 양방향급수전
US7080790B2 (en) Cartridge for sanitary appliances
US7124776B1 (en) Water faucet having different output effects
KR200334106Y1 (ko)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CN202555428U (zh) 一种功能水切换结构
KR200346807Y1 (ko) 원터치 레버식 냉온수 분배기
KR200217761Y1 (ko) 샤워기용 로타리셀렉터
JP2571534B2 (ja) 逆止弁付分水栓
TWI812388B (zh) 臭氧出水頭控制閥
KR19980065447U (ko) 절수기 헤드
JPH07229572A (ja) セラミック製ディスクを用いた三方弁
CN220910546U (zh) 一种带安全锁的暗装花洒盒
KR200187231Y1 (ko) 주방용 샤워헤드
KR200359117Y1 (ko) 두 개의 유출구가 형성된 급수전
KR200149323Y1 (ko) 수도밸브
KR200210884Y1 (ko) 절수형 비데샤워헤드
KR200141075Y1 (ko) 정수 및 온,냉수 전환 밸브 장치
JPH0353101Y2 (ko)
KR20230002471U (ko) 급수 방향 전환장치
JP2959012B2 (ja) 切換弁
JP2001132032A (ja) 吐水具
KR970001604Y1 (ko) 샤워기의 회전가능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