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159Y1 -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 Google Patents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159Y1
KR200247159Y1 KR2020010008613U KR20010008613U KR200247159Y1 KR 200247159 Y1 KR200247159 Y1 KR 200247159Y1 KR 2020010008613 U KR2020010008613 U KR 2020010008613U KR 20010008613 U KR20010008613 U KR 20010008613U KR 200247159 Y1 KR200247159 Y1 KR 200247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resent
tweezers
treatmen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복
Original Assignee
박수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복 filed Critical 박수복
Priority to KR2020010008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159Y1/ko

Links

Landscapes

  • Endoscop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자가 전자제품 등을 조립하다가 내부의 틈새나 어두워서 위치파악이 되지 않는 곳에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 별도의 도구(플레시)를 구비하지 않고도 핀셋의 손잡이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를 '온'시켜 빛을 발산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부품을 회수하는데 용이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부품의 회수율이 향상되어 경제성이 우수한 고안이다.
한편, 본 고안이 의료용으로 사용되면 인체의 어두운 부분인 귓속이나 구강내에 박힌 가시를 빼내는 등의 치료나 관찰을 할 경우에 스위치를 '온'시켜 치료부위를 명확하게 관찰한 다음 치료하게 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치료를 마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The reform pincette}
본 고안은 개선된 기능이 갖는 핀셋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핀셋의 일단에빛을 발산하는 장치를 내장시켜 전자제품 등 내부의 좁은 공간이나 인체내의 어두운 부분에 빛을 투과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의료용이나 산업용으로 핀셋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단순한 모양이나 형태를 작업환경에 맞게 변형시킨 핀셋이 제공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작업자가 특정 제품의 내부를 수리하거나 부품 등을 교체할 때 실수로 손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나 틈으로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핀셋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꺼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 틈은 대부분 빛이 조사되지 않는 곳이어서 부품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워 분실할 우려가 많으므로 작업자는 상시 별도의 플레시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하면 구비된 플레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빛을 발생시킨 다음 부품의 위치를 파악하고 나서 핀셋으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제품 조립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점차 전자제품 등이 소형화 되어감에 따라 그 구성 부품들도 소형화됨은 당연한 것으로서 상기 소형부품들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도 미세하게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부품에 표시된 문자를 오인하거나 식별하지 못하여 다른 부품의 위치에 고정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전자제품의 불량 및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그리고, 핀셋은 의료용으로도 많이 사용되었는바, 상기 핀셋은 인체의 특정부위를 소독하거나 민감한 부분을 치료할 때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어두운 구강내에 박힌 이물질(가시) 등을 제거하는 치료를 하거나 또는 귓속을 관찰하거나 소독할 때에 구강 및 귓속에 빛이 조사되지 않아 어두우므로 소독시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여 치료나 소독 및 관찰 등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두개의 아암이 손잡이와 일체로 된 핀셋을 형성하고 상기 두개의 아암 중 하나의 아암에 광섬유를 내장시켜 상기 아암의 일단에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의 일부를 소독하거나 관찰및 어두운 구강내 박힌 이물질(가시) 등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장비없이도 부품의 위치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산업용.의료용 핀셋을 제공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핀셋 20 : 손잡이부
21 : 충전지 22 : 스위치
30 : 제 1아암 31 : 장공
32 : 광섬유 40 : 전선
50 : 홀더 60 : 내시경호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두개의 아암이 일체로 된 핀셋에 있어서, 전원을 발생하는 소형 충전지와 상기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전구가 일체로 내장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되어 그 일단까지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전구의 빛을 전달하여 발산하는 광섬유가 일체로 내장된 제 1아암과; 상기 제 1아암과 대응되게 제 2아암이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핀셋(10)의 손잡이부(20)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22)를 '온'상태로 하면 상기 손잡이부(20)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된 충전지(21)에서 전원이 인가되어 전구(23)에 빛이 들어오게 되고, 제 1아암(30)의 내부에 형성된 장공(31)에 삽입된 광섬유(32)의 일단과 상기 전구(23)를 맞닿게 하여 빛을 비추면 상기 제 1아암(30)의 단부까지 설치된 광섬유(32)를 통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핀셋(10)의 손잡이부(20)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22)를 '온'시키면, 제 1아암(30)에 형성된 장공(31)에 삽입된 전선(40)을 통해 충전지(21)의 전원이 상기 제 1아암 (30)의 일측에 형성된 홀더(50)에 체결된 전구(23)에 인가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아암 (30)과 손잡이부(20)를 일체로 하여 장공(31)을 형성한 다음, 상기 장공(31)에 내시경호스(60)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내시경호스(60)의 일측을 연장하여 별도로 구비된 공지의 내시경주변장치(100)에 연결되도록 하여 특정 위치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미설명 부호 30'는 제 2아암이고, 24는 충전용 전원공급 어뎁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을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전자제품 등을 조립하다가 내부의 틈새나 어두워서 위치파악이 되지 않는 곳에 부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였을 때에 별도의 도구(플레시)를 구비하지 않고도 핀셋의 손잡이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를 '온'시켜 빛을 발산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부품을 회수하는데 용이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부품의 회수율이 향상되어 경제성이 우수한 고안이다.
한편, 본 고안이 의료용으로 사용되면 인체의 어두운 부분인 귓속이나 구강내에 박힌 가시를 빼내는 등의 치료나 관찰을 할 경우에 스위치를 '온'시켜 치료부위를 명확하게 관찰한 다음 치료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치료를 마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두개의 아암이 일체로 된 핀셋에 있어서,
    전원을 발생하는 소형 충전지(21)와 상기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22)와 상기 스위치(22)의 작동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전구(23)가 일체로 내장된 손잡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20)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1아암(30)과 상기 제1아암(30)과 대응되며 상기 손잡이부(20)와 일체로 된 제2아암(30')과;
    상기 제1아암(3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구(23)의 빛을 전달하여 발산하는 광섬유(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30)의 일측에 장홈(31)을 형성하며 상기 장홈(31)에 결합되고 상기 광섬유(32)가 내입되는 피복전선(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전선(40)을 투시되도록 한 내시경호스(60)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KR2020010008613U 2001-03-28 2001-03-28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KR200247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13U KR200247159Y1 (ko) 2001-03-28 2001-03-28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613U KR200247159Y1 (ko) 2001-03-28 2001-03-28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159Y1 true KR200247159Y1 (ko) 2001-10-10

Family

ID=7309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613U KR200247159Y1 (ko) 2001-03-28 2001-03-28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1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42B1 (ko) 2007-02-23 2008-05-30 양건태 가시 또는 곱 제거장치
KR101430821B1 (ko) 2012-10-02 2014-08-14 강준규 전등식 핀셋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42B1 (ko) 2007-02-23 2008-05-30 양건태 가시 또는 곱 제거장치
KR101430821B1 (ko) 2012-10-02 2014-08-14 강준규 전등식 핀셋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8502B2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CN108697495A (zh) 具有电子信号互锁控制的发射短波长可见光的牙刷
US5382162A (en) Autoclavable dental scaler handpiece sheath
EP1855603A4 (en) EFFECTOR ORGAN FOR SURGICAL INSTRUMENT,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EFFECTOR ORGAN
JP4621512B2 (ja) 口腔用光照射器
US8636727B2 (en) Portable irradiating arrangement
EP1913864A1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US11872089B2 (en) Lighting devices for attachment to a handheld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20170156834A1 (en) Ultrasound Scaler Tip and Ultrasound Scaler
US8038439B2 (en) Medical handpiece with a lighting device
US20020058230A1 (en) Illuminated dental examination and treatment device
KR200247159Y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핀셋
JP5393507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5529525B2 (ja) 光照射用チップ、光照射用ヘッド及び光照射器
DE602004025572D1 (de) Eine vorrichtung zum ergreifen und/oder abtrennen
KR101821563B1 (ko) 자동 동작 치과 진료 장치
DE60305287D1 (de) Dentalkopfeinheit zur Messung der Wurzelkanallänge und Halterung mit elektrischem Kontakt dafür
KR200450627Y1 (ko) 수술기용 조명 기구
CN211355736U (zh) 一种手外科用显微镊
JP7496703B2 (ja) 起上台及び内視鏡
JP3078279U (ja) 歯科用チェックライト
JP2021159293A (ja) 起上台及び内視鏡
JPH0531126A (ja) モニター機能付歯科用治療器具
JPS62211054A (ja) 生体組織切除装置
KR102394185B1 (ko) 신속한 증거물 수집 및 교차 오염 방지능이 우수한 핀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