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42Y1 - Exhaust hood - Google Patents

Exhaust 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42Y1
KR200246442Y1 KR2020010018247U KR20010018247U KR200246442Y1 KR 200246442 Y1 KR200246442 Y1 KR 200246442Y1 KR 2020010018247 U KR2020010018247 U KR 2020010018247U KR 20010018247 U KR20010018247 U KR 20010018247U KR 200246442 Y1 KR200246442 Y1 KR 20024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countertop
exhaust hoo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훈
Original Assignee
박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훈 filed Critical 박재훈
Priority to KR2020010018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4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42Y1/en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대(40)에서 필요한 연소 공기를 내덕트(51)와 외덕트(52)를 통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배기후드(100)에 관한 것으로, 한 겨울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되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내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내 자체의 공기의 순환이 우선이 되어 실내 온도의 향상이란 부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반면 한 여름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되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외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에 의한 실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며, 조리대(40)에서의 연소로 인하여 실내에서 부족할 수 있는 산소의 공급을 외덕트(52)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된 공간일수록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고안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through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in the combustion air required by the counter 40, the exhaust hood 100 that can free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room according to the season (100) In the winter, when the amount of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n the countertop 40 is provided only in the indoor air in the winter, the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room itself is prioritized, and thus an additional advantage of improving the room temperature can be ob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roviding a necessary amount of air to be burned in the countertop 40 in the summer with only the outdoor air,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increase in the indoor temperature by the fresh air of the outdoor, and due to the combustion in the countertop 4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the supply of oxygen that can be insufficient through the outer duct 52 so that the importance of the more confined space is more important A.

Description

배기후드{EXHAUST HOOD}Exhaust hood {EXHAUST HOOD}

본 고안은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대에서의 연소로 인하여 실내에서 부족할 수 있는 산소의 공급을 외덕트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대에서 필요한 연소 공기를 내덕트와 외덕트를 통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로서 대체하여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hood,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the supply of oxygen that may be insufficient in the room due to combustion in the countertop through the outer duct, and to provide the combustion air necessary for the countertop in the duct and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hood that can freely adjust the temperature of a room according to a season by replacing it with indoor air or outdoor air through a duct.

일반적으로 조리(調理)는 식품재료를 먹기 좋고 맛있게 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듬고 썰고 장만하여 익히거나, 또는 절이거나 담가서 양념 등으로 맛을 내는 기술을 말한다.In general, cooking (調理) refers to the technique of trimming, slicing and preparing foods to cook foods or to soak and season them in order to make food ingredients good and delicious.

그리고, 조리는 소화되기 어려운 식품을 익혀주고, 주재료가 되는 식품에 다른 재료를 첨가하여 맛을 낸 뒤 인체에 유용한 영양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도 한다.In addition, cooking is intended to cook foods that are difficult to digest, add flavors to other foods as main ingredients, and provide useful nutrients to the human body.

조리법 중 특히 익히는 방법에는 끓이기·볶기·굽기·삶기·튀기기·지지기·조리기·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Among the recipes, there are various ways to cook, such as boiling, roasting, baking, boiling, frying, holding, cooking, and steaming.

가열하는 조리방법으로는 화(火)·수(水)·목(木)·금(金)·토(土)의 5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는 데, 화(火)는 직접 불에 쬐어 굽는 것으로 생선을 굽거나 감자를 굽는 것 등이 이 부류에 속하고, 수(水)는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종의 찌는 조리법이다. 또한, 목(木)은 목질(木質)을 통해서 가열하는 방법으로 열의 불량도체인 목질을 통해서 뜸을 들여가며 찌면 독특한 맛이 난다. 금(金)은 끓임·튀김·부침 등 철·구리·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냄비를 사용하여 만드는 요리방법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토(土)는 설구이냄비·곱돌솥·돌 등을 사용하는 요리법이다.There are five types of cooking methods that can be heated: fire, water, wood, gold, and earth. The fire is roasted by direct fire. Baking fish or baking potatoes belong to this category, and water is a steaming recipe that uses steam to heat it. In addition, wood (Wood) is a method of heating through wood (木質) is steamed through the wood through the poor conductor of heat, steaming and steaming has a unique taste. Gold refers to a cooking method made by using a metal pot such as iron, copper, and aluminum, such as boiling, frying, and ups and downs. Finally, earthenware is a cooking method using a roasting pan, a giblets, and stones.

이러한 다양한 조리방법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볶고, 굽고, 삶고, 튀기고, 지지고, 쪄서 식품화시키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레인지와 같은 히팅수단이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Such various cooking methods include a countertop in which heating means, such as an electric heater or a gas stove, is disposed to boil, stir, bake, boil, fry, support, and steam food by applying high temperature heat to food.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히팅수단의 고열에 의하여 피조리품은 필연적으로 냄새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는 데, 이 냄새(SMELL)는 음식물이 익혀지면서 분산된 미립자가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면서 사람의 후각에 접촉하여 감각세포를 자극함에 따라 생기는 감각적인 느낌이라 할 수 있고, 이러한 냄새는 특히 우리가 전통적으로 끓여먹는 된장의 일종인 청국장(淸國醬)을 조리하는 과정에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At this time, the cooked products inevitably cause an odor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heating means placed on the countertop. The smell is SMELL as the food is cooked and the dispersed fine particles float in the air and touch the sense of smell of the person. It is a sensory feeling caused by stimulating cells, and this smell is especially acute when cooking Cheonggukjang (인 國 醬), which is a type of traditionally boiled miso.

그리고, 생선 또는 육류를 요리하거나 넓은 개념의 조리의 일종인 커피와 같은 기호식품을 끓일 때 그 냄새의 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And, when cooking fish or meat or boiling a favorite food such as coffee, a kind of broad-concept cooking, the intensity of the smell becomes even worse.

이렇게 피조리품의 가열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는 대부분 싫거나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키는 악기능을 수행하고,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작업자에게 집중적인 심리적·정신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생리학적 영향을 끼쳐 호흡리듬의 이상이나 기침, 자극취에 의한 혈압상승, 소화액분비나 수분섭취의 저하에 의한 식욕부진과 구역질·구토, 그리고 호르몬분비의 변화에 의한 후각감퇴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mells generated from the heating of the cooked foods are mostly disgusting or unpleasant odors, and perform a bad function causing disgust. In particular, the smells generated in an enclosed kitchen not only cause intensive psychological and mental effects on the worker, Severe physiological effects can cause abnormalities in breathing rhythms, coughing, increased blood pressure due to irritating odors, loss of appetite and nausea and vomiting due to lower digestive and water intake, and olfactory deterioration due to changes in hormone secretion. have.

또한, 악취는 불면증·안면방해·불안·짜증·히스테리 등과 같이 정신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구토 및 두통을 수반하기도 한다.Odor can also have adverse effects on mental health, such as insomnia, facial disturbances, anxiety, malaise, hysteria, and may involve vomiting and headaches.

따라서, 본 출원인은 피조리품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냄새를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is to propose an exhaust hood that can more easily discharge all the odor genera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workpiece using the flow of air.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안을 통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리대에서 필요한 연소 공기를 내덕트와 외덕트를 통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로서 대체될 수 있도록 하여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대의 연소로 인하여 실내에서 부족할 수 있는 산소의 공급을 외덕트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hrough the proposal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is to replace the combustion air required in the countertop as indoor air or outdoor air through the inner duct and the outer duct according to the seas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freely control and provide an exhaust hood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the supply of oxygen that can be insufficient in the room due to the combustion of the countertop through the outer duct.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비교 도시한 개략도.1 and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flow of air to explain the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의 온오프시를 비교 도시한 개략 측면도.Figure 6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on and off time of the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를 나타내는 저면도.Figure 7 is a bottom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배기후드 11 : 후드필터100: exhaust hood 11: hood filter

12 : 배기팬 13 : 본체12 exhaust fan 13 body

21 : 힌지 22 : 가동판21: hinge 22: movable plate

23 : 흡기팬 24 : 덕트23: intake fan 24: duct

25 : 노즐 26 : 배출구멍25 nozzle 26 discharge hole

30 : 구동수단 31 : 모터30: driving means 31: motor

32 : 기어 33 : 톱니레일32: gear 33: toothed rail

40 : 조리대 51 : 내덕트40: countertop 51: duct

52 : 외덕트 60 : 조절부재52: outer duct 60: adjusting member

61 : 회동축 62 : 조절판61: rotating shaft 62: throttle

63 : 회동모터 64 : 제어 스위치63: rotating motor 64: control swit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내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하향의 배출구멍을 갖는 덕트에 연통되는 흡기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후드에 있어서,It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top for cooking food and has a built-in exhaust fan for discharging the indoor pollut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od filter and the duct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In the exhaust hood comprising an intake fan,

상기 흡기팬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내덕트 및 실외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외덕트에 연통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The intake fan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inner duct for receiving indoor air and the outer duct for receiving outdoor air as its basic features in technical construc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xhaust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rough this embodiment,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설명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비교 도시한 개략도로서 조리대(40)가 구비된 주방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단면하여 나타내고 있다.1 and 2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kitchen provided with the countertop 40 a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flow of air to explain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내장한 본체(13)가 조리대(40) 위에 표현되어 있다.For example, FIG. 1 is no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3 having an exhaust fan 12 for discharging indoor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via the hood filter 11 is disposed on the countertop 40. Is represented.

통상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고 있는 동안 배기팬(12)이 회전되면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공기는 도 1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일부는 후드필터(11)를 경유하여 외부로 빠져 나가고, 다른 일부는 본체(13)로부터 벗어나 실내 공기의 흐름을 타고 선회한 뒤 그대로 머물거나 다시 배기팬(12)을 통하여 빠져 나가게 된다.Typically, when the exhaust fan 12 is rotated while cooking food, air containing odor particulates coming from the countertop 40 is partially leaked out through the hood filter 11 as shown by the dotted arrows in FIG. 1. Exit, the other part is to turn away from the main body 13 to the flow of indoor air and to stay as it is or to exit through the exhaust fan 12 again.

배기팬(12)이 동작되기 이전에 공기의 흐름은 실내에 존재하는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시로 변화될 수 있고 창문이나 현관문을 열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결정되기도 한다.Before the exhaust fan 12 is operated, the flow of air may be chang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 object existing in the room, and when the window or the front door is opened,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from the outside.

반면, 배기팬(12)이 구동되면 후드필터(11)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의 공기를 끌어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력이 작용되어 대부분의 실내 공기가 본체(13)의후드필터(11)를 중심으로 유입되는 흐름궤도가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haust fan 12 is driven, a discharge force is applied to draw the surrounding air based on the hood filter 1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so that most of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hood filter 11 of the main body 13. The flow trajectory flowing into the center is implemented.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팬(12)의 구동에 의하여 후드필터(1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은 매우 제한적이어서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실내 공기를 전량 배출하지 못하고 실선과 같은 화살표의 흐름방향처럼 일부의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결과가 되어 환기에 대한 효율이 크게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hood filter 11 by the driving of the exhaust fan 12 is very limited, thereby discharging all of the indoor air containing odor fine particles coming from the countertop 40. It is pointed out that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is not very satisfactory because some polluted air has to stay indoors like the flow direction of the arrow like a solid line.

즉,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가 포함된 공기는 전방위로 공기의 흐름에 따라 퍼져 나가는 반면, 배기팬(12)의 구동에 의하여 후드필터(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력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오염된 공기를 전부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at is, the air containing the odor fine particles coming from the countertop 40 is sprea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to the front and forth, while the discharge force discharged through the hood filter 11 by the driving of the exhaust fan 12 is extremely limited. Then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accommodate all the contaminated air.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2000년 05월 09일자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2001년 04월 06일자로 기술평가 유지결정을 받은 배기후드(100)에서는 환기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조리대(40)의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넓게 펼쳐지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개선된 배기후드(100)를 제안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the exhaust hood 100, which was filed by the applicant on May 09, 2000, and received the decision of maintaining technology evaluation on April 06, 2001, has an upper part of the countertop 40 when ventilation is required. The exhaust hood 100 has been proposed to be wid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o improve its size when not in us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경유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구비한 본체(13)를 기본으로 한다.3 to 5,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top 40 for cooking food to discharge the indoor air polluted through the hood filter 11 to the outside It is based on the main body 13 having an exhaust fan 12 to be made.

이 본체(13)의 내부에는 배기팬(12)에 연통되면서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냄새 미립자를 지닌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대략 135°방향으로 설치된 후드필터(11)가 내장된다.Inside the main body 13, a hood filter 11 is installed in an approximately 135 ° direction inclin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ir having odor particulates coming from the countertop 40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fan 12. .

후드필터(11)를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조리대(40)의 위치가 대부분 건물의 벽에 밀착되어 설치된 것을 감안할 때 수평으로 설치되기보다는 실내 공기와 함께 음식물의 냄새를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hood filter 11 is installed to be inclin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minated air rising from the countertop 40 is that indoor counterparts are installed horizontally rather than horizontally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countertop 40 being installed close to the wall of the building. In order to more easily discharge the smell of food.

예를 들어 후드필터(11)가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건물의 벽과 구석진 공간에서 수직상태로 배치되는 결과가 되어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갈 수 있는 냄새 미립자에 대하여 폭 넓게 작용하지 못한다.For example, when the hood filter 11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result is that the hood filter 11 is disposed vertically in the wall and the corner space of the building, and thus does not act widely on the odor particulates that can spread out from the countertop 40.

반면, 후드필터(11)가 소정의 경사(바람직하게는 135°)를 이루면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냄새 미립자 전체에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판(22)과 조합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환기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od filter 11 form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preferably 135 °), the hood filter 11 may not only act on the whole odor microparticles spreading out from the countertop 40 but also in combination with the movable plate 22 to form the hopper as a whole. Since it can be implemented can be greatly improved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air.

상기 가동판(22)은 도 6에 도시된 배기후드(100)의 온오프시를 비교 도시한 측면도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힌지(21) 결합되며 구동수단(30)에 의하여 펼쳐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후드필터(11)로부터 대칭적으로 벌려져 전체적으로 호퍼형상을 실현하고 구동수단(30)에 의하여 좁혀질 경우에는 힌지(21)를 중심으로 역회전되면서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매우 간소한 구조를 구현한다.The movable plate 22 is coupled to the hinge 21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3 as shown in the side view showing the on-off time of the exhaust hood 100 shown in FIG. 6 and the driving means 30. If it is spread by the hinge 21 is rotated about the hinge 21 is symmetrically spread from the hood filter 11 to realize the hopper shape as a whole, and in the case of being narrowed by the drive means 30 inverted about the hinge 21 As it is rotated, it is concealed into the main body 13 to implement a very simple structure.

이때,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냄새 미립자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30)이 기동되어 가동판(22)이 펼쳐지면서 후드필터(11)와 더불어 호퍼형상으로 구현되는 구조는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오염된 공기를 보다 폭넓게 포집하는 작용으로 실현되고, 역으로 가동판(22)이 닫혀질 경우에는 본체(13) 속으로 은폐되어 전체적으로 그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주방 등과 같은 실내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유익함을 발휘한다.At this time, the drive means 30 is started to discharge the odor fine particles generated when cooking food to the outside, the movable plate 22 is unfolded, and the structure implemented in the hopper shape with the hood filter 11 is a countertop 40 It is realized by the action of collecting the contaminated air spreading all the way from the front and back more broadly, and conversely, when the movable plate 22 is closed, it is concealed into the main body 13 so that its size can be minimized as a whole. Not only is simplified, but it also shows the benefits of utilizing the interior space such as kitchen more widely.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본체(13)의 정면 상부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팬(23)을 더 구비하고, 이 흡기팬(23)에는 가동판(22)의 내면을 따라 설치된 덕트(24)가 연통된다.In addition,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take fan 23 that sucks air in the room abov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3, and the intake fan 23 i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22. The installed duct 24 communicate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배기팬(12)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출될 경우 흡기팬(23) 및 덕트(24)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의 공기가 조리대(40)로부터 올라오는 오염된 공기와 함께 가속 및 합류되어 후드필터(11)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궤도를 결정해주는 노즐(25)이 덕트(24)의 하단에 연통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exhaust fan 12, the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take fan 23 and the duct 24 is provided with the countertop 40. The nozzle 25 which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air to be accelerated and joined together with the contaminated air coming from the) and discharged toward the hood filter 11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duct 24.

이 노즐(25)은 후드필터(11)를 향하여 소정의 각도(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드필터(11)가 135°의 경사각을 이루어 설치된 점을 감안할 때 노즐(25)을 통하여 분사되는 실내 공기는 후드필터(11)에 직선형으로 통과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하여 오염공기의 배출효율을 더욱 좋게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25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an angle of 45 °) toward the hood filter 11, and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hood filter 11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angle of 135 °. Indoor air injected through the (25) realizes a structure that can be passed through the hood filter 11 in a straight line to improve the discharge efficiency of the polluted air.

한편, 구동수단(30)에 의하여 가동판(22)이 펼쳐져 후드필터(11)와 더불어 호퍼형상을 구현함에도 불구하고 조리대(40)로부터 전방위로 퍼져 나가는 냄새 미립자가 부분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를 재 흡입한 후 노즐(25)을 통하여 오염된 공기와 함께 합류 및 가속시켜 배출하는 흡기팬(23)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궤도가 별도로 형성되므로써 냄새 미립자가 거의 흡기팬(23) 및 배기팬(12)에 의하여 완전히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movable plate 22 is unfolded by the driving means 30 to implement the hopper shape together with the hood filter 11, the odor particulates spreading out from the countertop 40 in all directions may not be partially discharged.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 air flows by the intake fan 23 which re-intakes indoor or outdoor air and then merges and accelerates and discharges the air together with the contaminated air through the nozzle 25. By forming the track separately, the odor fine particles can be almost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intake fan 23 and the exhaust fan 12.

이때, 흡기팬(23)이 실내의 잔여 공기를 직접 흡입하여 후드필터(11) 및 배기팬(12)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함으로써 실내의 환기효율이 더욱 좋아질 뿐만 아니라 실내의 동일한 온도를 갖는 공기의 흐름을 직접 제어하므로써 온도차에 의하여 덕트(24) 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응결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습기 및 물방울에 의한 부식 또는 전기적인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intake fan 23 directly sucks the remaining air in the room, and is install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via the hood filter 11 and the exhaust fan 12 to improve the ventilation efficiency of the room as well as the same temperature in the room. By directly controlling the flow of air having a temperature that can overcome the condensation that may occur inside the duct 24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corrosion or electrical adverse effects due to moisture and water droplets in advance. .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7 is a bottom view of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내장한 본체(13)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의 배출구멍(26)을 갖는 덕트(24)에 연통되는 흡기팬(23)을 포함한다.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top 40 for cooking food body having a built-in exhaust fan 12 fo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od filter 11 ( 13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take fan 23 to communicate with the duct 24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26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흡기팬(23)은 본체(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내덕트(51) 및 실외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외덕트(52)에 연통된다.At this time, the intake fan 23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3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duct 51 for receiv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er duct 52 for receiving the outdoor air.

내덕트(51) 및 외덕트(52)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는 흡기팬(23)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후 덕트(24)를 경유하여 배출구멍(26)으로 분사되어 조리대(40)에서 필요한 연소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라는 측면에서 본 고안의 핵심이 된다.The indoor air or outdoor air provided via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intake fan 23, and then injected into the discharge hole 26 through the duct 24 to produce a countertop.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can provide the combustion air required in 40).

그리고,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한 겨울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시키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내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내 자체의 공기의 순환이 우선이 되어 실내 온도의 향상이란 부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반면 한 여름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시키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외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에 의한 실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when the amount of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n the countertop 40 in one winter season is provided only with indoor air,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room itself is prioritized to obtain an additional advantage of improving the room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air required to burn in the countertop 40 in the summer only by the outdoor air can be preferable because it can suppress the rise of the indoor temperature by the fresh air of the outdoor.

물론, 이와 같은 실내 및 실외로부터 흡기팬(23)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량은 내덕트(51) 및 외덕트(52) 사이에 설치된 조절부재(60)에 의하여 그 조절이 가능하고, 이 조절부재(60)는 실시예로서 내덕트(51) 및 외덕트(52) 사이에 설치된 회동축(61)과, 이 회동축(61)을 중심 축으로 하여 내덕트(51) 및 외덕트(52)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실내 또는 실외의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62)을 포함한다.Of cours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by the intake fan 23 from the indoor and outdoor can be adjusted by the adjusting member 60 provided between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and the adjusting member 60 is a rotation shaft 61 provided between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as an embodiment, and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with the rotation shaft 61 as the center axis. It includes a control plate 62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air indoors or outdoors while rotating in the direction.

더욱 구체적으로, 조절판(62)이 회동축(61)을 중심 축으로 하여 내덕트(51) 방향으로 밀착될 경우에는 내덕트(51)는 폐쇄되고 외덕트(52)는 개방되어 순순히 실외의 공기만이 유입되고, 반대로 조절판(62)이 외덕트(52) 방향으로 밀착될 경우에는 외덕트(52)는 폐쇄되고 내덕트(51)는 개방되어 실내의 공기만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덕트(51) 또는 외덕트(52) 사이에서 조절판(62)의 위치에 따라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비율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throttle plate 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uct 51 with the pivot shaft 61 as the center axis, the inner duct 51 is closed and the outer duct 52 is opened so that the outdoor air When only the inflow, the control plate 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uct 52, the outer duct 52 is closed and the inner duct 51 is opened so that only indoor air can be introduced. In addition, the inflow rate of the outdoor air or indoor ai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rol plate 62 between the inner duct 51 or the outer duct 52.

더불어, 상기 조절부재(60)는 회동축(61)에 연결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회동모터(63)를 더 포함하고, 이 회동모터(63)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64)를 더 구비하여 조절판(62)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사용상의 용이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member 60 further includes a rotation motor 6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61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and a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on motor 63. Further provided with (64) to be able to adjust the control panel 62 manually or automatically to increase the ease of use.

한편, 가동판(22)을 움직이는 구동수단(30)은 대체적으로 버튼식 또는 원격식 제어가 가능하고 이 구동수단(30)은 모터(31)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하여 실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means 30 for moving the movable plate 22 is generally capable of button or remote control, and this drive means 30 is realized by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31.

예를 들면, 구동수단(30)은 본체(13)의 정면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모터(31)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기어(32)와, 가동판(22)의 측면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기어(32)에 맞물리는 톱니레일(33)의 연동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으며 벨트식 또는 로프식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e means 30 is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3, the gear 32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by the motor 31, and the circular arc on the side of the movable plate 22 It can be realized by interlocking of the toothed rail 33 is formed in the shape to be engaged with the gear 32, it can be employed in various ways, such as belt type or rope type.

즉, 사용자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30)을 온시키면 모터(31)가 정회전되어 기어(32)에 맞물린 톱니레일(33)을 밀면서 가동판(22)이 가로방향으로 펼쳐져 조리대(40) 위에 호퍼형상으로 넓게 배치되고, 반면 사용자가 구동수단(30)을 오프시키면 모터(31)가 역회전되어 기어(32)에 맞물린 톱니레일(33)을 끌어들이면서 가동판(22)을 본체(13) 속으로 은폐시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driving means 30 to ventilate the indoor air, the movable plate 22 is un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motor 31 rotates forward and pushes the toothed rail 33 engaged with the gear 32. On the countertop 40, a wide hopper shape is disposed, while when the user turns off the driving means 30, the motor 31 is rotated in reverse to draw the toothed rail 33 engaged with the gear 32. ) Can be concealed into the body 13 to minimize its siz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기후드(100)에 의하면 조리대(40)에서 필요한 연소 공기를 내덕트(51)와 외덕트(52)를 통하여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계절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유익함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xhaust hoo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air required by the countertop 40 may be utilized as indoor air or outdoor air through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according to the sea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re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oom.

즉, 한 겨울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되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내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내 자체의 공기의 순환이 우선이 되어 실내 온도의 향상이란 부가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고, 반면 한 여름철에 조리대(40)에서 연소되기 위한 필요 공기량을 실외의 공기만으로 제공할 경우에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에 의한 실내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providing the necessary amount of air to be burned in the countertop 40 in the winter only with indoor air, the circulation of the air in the room itself is prioritized, and thus, an additional advantage of improving the room temperature may be obtained. In the case where the necessary air amount to be burned by the countertop 40 is provided only by the outdoor air, there is an advantage of suppressing the increase in the indoor temperature caused by the fresh air in the outdoor.

더불어, 조리대(40)에서의 연소로 인하여 실내에서 부족할 수 있는 산소의 공급을 외덕트(52)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밀폐된 공간일수록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ly of oxygen that may be insufficient in the room due to the combustion in the counter 40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hrough the outer duct 52, it can be seen that the importance of the more sealed space.

Claims (4)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대(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후드필터(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2)을 내장한 본체(13)와, 상기 본체(13)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하향의 배출구멍(26)을 갖는 덕트(24)에 연통되는 흡기팬(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기후드(100)에 있어서,A main body 13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unter 40 for cooking food and having an exhaust fan 12 for discharging indoor contaminat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od filter 11, and the main body 13 of the main body 13. In the exhaust hood (100) comprising an intake fan (23) installed along an inner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a duct (24) having a downward discharge hole (26), 상기 흡기팬(23)은 상기 본체(13)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내덕트(51) 및 실외의 공기를 받아들이는 외덕트(52)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The intake fan 23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3, the exhaust hood 100,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duct 51 for receiv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er duct 52 for receiving the outdoor air.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덕트(51) 및 외덕트(52)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 및 실외의 공기 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The exhaust hood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member (60) installed between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in the room and the outside of the ai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절부재(60)는The adjusting member 60 is 상기 내덕트(51) 및 외덕트(52) 사이에 설치된 회동축(61)과,A rotating shaft 61 provided between the inner duct 51 and the outer duct 52; 상기 회동축(61)을 중심 축으로 하여 상기 내덕트(51) 또는 외덕트(52)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조절판(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배기후드(100).Exhaust hood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plate (62)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duct (51) or the outer duct (52) with the pivot axis (61) as a central axi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회동축(61)에 연결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회동모터(63)와,A rotation motor 6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61 to rotate forward and reverse; 상기 회동모터(63)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6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후드(100).Exhaust hood 100,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ng motor (63).
KR2020010018247U 2001-06-19 2001-06-19 Exhaust hood KR2002464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47U KR200246442Y1 (en) 2001-06-19 2001-06-19 Exhaust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47U KR200246442Y1 (en) 2001-06-19 2001-06-19 Exhaust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442Y1 true KR200246442Y1 (en) 2001-10-17

Family

ID=7305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47U KR200246442Y1 (en) 2001-06-19 2001-06-19 Exhaust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4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584B1 (en) * 2019-10-23 2020-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Kitch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584B1 (en) * 2019-10-23 2020-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Ventilating Kitch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3477B2 (en) Air flow cooking device
US8948579B2 (en) Infrared radiation cooker
IE47952B1 (en) Appliance for cooking of heating foodstuff
KR101303685B1 (en) A hot air heating roaster
KR20090010615A (en) Functional heating device for cooking
KR200451873Y1 (en) Yakiniku cooker
KR200246442Y1 (en) Exhaust hood
KR100440173B1 (en) Roaster which has folded structure of roast plate
KR100336901B1 (en) Exhaust hood
CN207285933U (en) A kind of convection type food cooker
KR200232536Y1 (en) Rotation meat roaster
CN212697483U (en) Stove is smoked to sugar convenient to operation
KR200198107Y1 (en) Roaster
KR20130016044A (en) Multifunctional smokeless barbecue grill
JPS6113541B2 (en)
CN112998514A (en) Multifunctional food cooking utensil
CN208658978U (en) A kind of cooker and dining table
KR200169893Y1 (en) Meat roasted
KR200174139Y1 (en) The roaster for roast of charcoal fire
KR101513272B1 (en) Far infrared ray emitting meat roaster
KR102380484B1 (en) Upward and lateral mixing type air supply and exhaust hood
KR0140449Y1 (en) Roaster
KR200393095Y1 (en) Food cooking device
KR200310047Y1 (en) Air vent of exhaustion hood for kitchen
CN212261173U (en) Multi-temperature-zone gas barbecu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