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616Y1 - 타격미트 - Google Patents

타격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616Y1
KR200245616Y1 KR2020010013402U KR20010013402U KR200245616Y1 KR 200245616 Y1 KR200245616 Y1 KR 200245616Y1 KR 2020010013402 U KR2020010013402 U KR 2020010013402U KR 20010013402 U KR20010013402 U KR 20010013402U KR 200245616 Y1 KR200245616 Y1 KR 200245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ow
measuring sensor
force measuring
mi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비트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트라마 filed Critical (주)비트라마
Priority to KR2020010013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16Y1/ko

Links

Landscapes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가 타격강도 및 타격위치를 감지하여 이들을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운동효과를 증진시키는 타격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타격미트의 타격부 내에 위치하여 타격에 의한 힘의 강도 및 타격부위를 감지하는 힘측정센서부와; 힘측정센서부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포트를 통해 전송받아 디지털값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 converter)와, 내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값을 신호처리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신호처리된 디지털값을 1개의 선택값으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선택값에 대응하는 출력상태를 출력장치에 작동하게 하는 드라이버를 갖는 컨트롤러부와; 드라이버의 작동에 의해 출력상태를 타격강도와 반응시간으로 각각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함으로써, 타격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타격미트{Hitting mitt}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가 타격강도 및 타격위치를 감지하여 이들을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운동효과를 증진시키는 타격미트에 관한 것이다.
타격운동을 하는 데 있어서는 사용자의 몸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품이 필요하다. 또한 반복적인 타격 연습을 위해 사용되는 훈련용품도 있다. 이러한 보호용품이나 훈련용품과 같은 타격운동 보조기구들은 사용자가 타격운동시 다치지 않도록 몸의 일부분을 감싸서 몸을 보호하는 역할과, 타격연습을 할 수 있도록 형상화되어 반복적인 타격연습을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타격미트는 훈련용품의 일종으로서, 태권도장이나 그밖의 훈련장에서 발차기 연습을 위해 빈번히 쓰이고 있다. 만약 타격미트를 사용하여 타격연습을 할 때 타격의 강도가 얼마나 되는지, 타격의 위치가 정확한지를 파악할 수 있거나, 또는 타격운동시 상대방의 공격에 빠르게 대처하고 상대방을 빨리 공격할 수 있도록 훈련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타격운동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타격운동 보조기구들은 단순한 보호기능이나 훈련기능을 수행할 뿐, 타격의 강도나 위치에 따라 일정한 값을 출력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얼마만큼의 강도로 타격을 했는지, 또는 타격의 위치가 정확한지 등을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격미트는 음향이나 표시등으로 타격지시를 내리고 그 지시에 얼마나 빨리 반응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상대방을 빠르게 공격하기 위한 훈련을 하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힘측정센서가 내장된 타격운동 보조기구를 통해 타격운동시 타격의 강도나 위치에 따라 음향이나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된 값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격운동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타격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타격강도와 반응시간을 디지털화하여 수치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타격강도를 조절하고 상대방을 빠르게 공격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타격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정면사진.
도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평면사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내부 부품의 구성도.
도3은 도2의 컨트롤러부의 블럭도.
도4는 도2의 힘측정센서의 구조도.
도5a와 도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내부 부품의 실물사진.
도6은 컨트롤러부의 ADC와 출력장치의 회로도.
도7은 타격미트의 전체 회로도.
도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내부 부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격부 13 : 연결부
15 : 손잡이부 20 : 힘측정센서부
30 : 컨트롤러부 31 : 포트
33 : ADC 35 : 제어부
37 : 디코더 39: 드라이버
50 : 출력장치
51 : 타격강도 표시부 53 : 반응시간 표시부
61 : 푸쉬스위치 63 : 표시등
65 : 음성모듈 67 : 스피커
71: 전원 73 : 전원스위치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부품들을 천으로 감싸며, 타격부와, 연결부, 손잡이부를 갖는 타격미트에 있어서, 내부부품들은, 타격부 내에 위치하며, 타격에 의한 힘의 강도 및 타격부위를 감지하는 힘측정센서부와: 연결부에 위치하며, 힘측정센서부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수용하는 포트와; 포트를 통해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와; 내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값을 신호처리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신호처리된 디지털값을 1개의 선택값으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선택값에 대응하는 출력상태를 하기 출력장치에 작동하게 하는 드라이버를 갖는 컨트롤러부와: 손잡이부에 위치하며, 드라이버의 작동에 의해 출력상태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압력센서는, 타격부를 감싸는 덮개천 아래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되, 타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가압부와; 가압부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압력감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바닥이 타격부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가압부와 압력감지부를 관통하고, 가압부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부재와; 상단은 가압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탄성부재의 압축에 의해 압력감지부에 접촉하며, 압력의 정도에 따른 압력감지부에 접촉하는 면적변화에 따라 다른 전류값을 출력시키게 하는 격판과; 베이스에서 나와서 컨트롤러부에 연결되는 연결도선;을 포함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컨트롤러부는 보호를 위하여 몰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힘의 강도를 음향으로 출력하거나,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격지시를 음향으로 지시하기 위한 음성모듈과; 음성모듈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출력장치는,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힘의 강도를 2∼5자리의 10진수로 표시하는 타격강도 표시부와; 음향 또는 표시등에 의한 타격지시가 있은 후 타격을 가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0.1초 단위까지의 10진수로 표시하는 반응시간 표시부;를 포함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는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센서를 포함하고, 부분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는 서로 같은 민감도를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센서를 포함하고, 컨트롤러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내장된 부분센서의 위치에 따라 부분센서에 가해진 동일한 강도에 대하여 서로 다른 디지털 값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는 압저항 세라믹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격미트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정면사진을, 도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평면사진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내부 부품의 구성도를, 도3은 도2의 컨트롤러부의 블럭도를, 도4는 도2의 힘측정센서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타격운동 보조기구, 특히 훈련용품 중에 하나인 타격미트(5)는 타격부(10)와 연결부(13)와 손잡이부(15)로 나누어진다. 타격미트(5)의 내부 부품들을 천(16)으로 감쌌을 때 외부에 보이는, 숫자가 나타나는 부분이 출력장치(50)이다. 타격미트(5)의 내부 부품들은 천(16)의 내부에 내장되며, 천(16)은 타격미트(5)의 상부에서 끈(17)에 의해 지그재그로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5)를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타격부(10)를 타격하게 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타격미트(5)의 내부 부품들은 상세히 설명한다. 타격미트(5)는 바닥판(18)에 각각 설치된 힘측정센서부(20), 컨트롤러부(30), 음성모듈(65), 출력장치(50), 스피커(67) 및 푸쉬스위치(61), 표시등(63), 전원(71), 전원스위치(73)를 포함한다.
힘측정센서부(20)는 타격미트(5)의 타격부(10) 부분의 바닥판(18)에 위치한다. 힘측정센서부(20)는 가해지는 압력(하중)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켜 타격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이다. 힘측정센서부(20)는 바닥판(18)을 덮고 있는 덮개천(19)을 갖는다. 덮개천(19)은 바닥판(18)에 다수의 나사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 힘측정센서부(20)의 덮개천(19) 아래에는 힘측정센서부(20)의 가압부(21), 압력감지부(22), 베이스(23), 스프링(24), 격판(25) 및 연결도선(26)이 내장되어 있다.
가압부(21)는 덮개천(19)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타격에 의한 압력이 직접 가해지는 부분이다. 가압부(21)의 아래에는 압력감지부(22)가 위치하고, 압력감지부(22)의 아래에는 베이스(23)가 위치한다. 가압부(21)와 압력감지부(22)에는 이들을 관통하며 설치된 스프링(24)이 있다. 격판(25)은, 상단은 가압부(21)에 연결되고, 하단은 스프링(24)의 압축에 이해 압력감지부(22)에 접촉한다. 베이스(23)는 압력감지부(22)의 하부에 위치하며, 바닥이 바닥판(18)에 부착된다. 또한 컨트롤러부(30)에 연결되는 연결도선(26)이 베이스(23)로부터 나오게 된다.
가압부(21)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스프링(24)의 압축으로 격판(25)이 압력감지부(22)의 바닥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에 의해 전류가 발생한다. 이 전류가 발생한 시점은 타격의 반응시간이 된다. 가압부(21)에 가해진 타격의 강도가 커질수록 격판(25)이 압력감지부(22)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더 큰 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타격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힘측정센서(20)를 달 수 있는 개수는 후술할 ADC(33)의 입력채널이 5개이기 때문에 5개까지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힘측정센서(20)를 1개만 다는 것으로 하였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부(30)는 타격부(10)와 손잡이부(15) 사이의 연결부(13)에 위치한다. 컨트롤러부(30)는 몰딩(29)으로 보호되어 있어, 사용자의 타격이 연결부(13)에 가해지더라도 타격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부(30)의 사양은 8비트 A/D 변환인 PIC16C74이나, 당연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부(30)는 포트(31), ADC(A/D converter,33), 제어부(35), 디코더(37) 및 드라이버(39)를 포함한다.
포트(31)는 힘측정센서부(20)와 ADC(33)를 연결한다. 포트(31)는 힘측정센서부(20)에서 감지한 아날로그 신호를 ADC(33)에 전송한다.
ADC(33)는 포트(31)와 제어부(35)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ADC(33)는 포트(31)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받아 표본화(sampling)와 양자화(quantization)와 부호화(encoding)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표본화(sampling) 속도는 1.25MHz, 5MHz, 20MHz의 4가지의 주파수가 있으며, 프로그램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A/D 변환시 걸리는 시간(TACQ)은 아래의 수학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TACQ = TAMP + TC + TCOFF
여기서, TAMP는 증폭기 세팅 시간(Amplifier Setting Time)을, TC는 축전기 충전 시간(Hold Capacitor Charging Time)을, 온도계수(Temperature Coefficient)를 나타낸다. 여기서, TC 및 TCOFF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 계산된다.
TC = CHOLD(RIC + RSS + RS)ln(1/2047)
= -120pF(1kΩ+ 7kΩ+ 10kΩ)ln(0.0004885)
= 16.47㎲
TCOFF = (Temperature - 25℃)(0.05㎲ /℃)
= (50℃ - 25℃)0.05㎲/℃)
여기서, 수학식 1의 TAMP는 2㎲이므로, TACQ는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된다.
TACQ = 2㎲ + 16.47㎲ + 1.25㎲
= 19.72㎲
물론, 이 값은 이론적인 값이며, 실제치는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와 CPU로 구성된다. 메모리는 제어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내장하는데, A/D 변환의 결과값을 저장하는 공간은 두 군데(타격강도와 반응시간)로 분리되어 있어, 변환이 완료되면 그 값이 명령에 따라 각각 저장된다. CPU는 ADC(33)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등의 신호처리를 한다.
디코더(37)는 제어부(35)에 연결된다. 디코더(37)는 제어부(35)로부터 전송된 디지털값(2진 코드)을 해독(decoding)하여 이에 대응하는 1개의 선택값으로 출력한다.
드라이버(39)는 디코더(37)에 연결된다. 드라이버(39)는 디코더(37)로부터 전송받은 하나의 선택값에 대응하는 출력상태를 출력장치(50)에 작동하게 한다.
다시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드라이버(39)는 출력장치(50)에 연결된다. 출력장치(50)는 타격미트(5)의 손잡이부(15)의 시작부위에 위치한다. 출력장치(50)는 드라이버(39)로부터 전송받은 출력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출력장치(50)는 7-시그먼트로 표현된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출력장치(50)는 타격강도 표시부(51)과 반응시간 표시부(53)의 두 가지 상태로 출력된다.
타격강도 표시부(51)는 힘측정센서부(20)에서 측정된 타격의 강도를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3자리 숫자(3개의 7-시그먼트)로 표시되며 그 값이 클수록 강도가 세고 최대값은 999로 한다. 그러나 이 값은 절대적인 값은 아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100 또는 500 등과 같이 최대값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또는 반복적인 타격연습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에 의해서 최대값을 설정할 수 있다.
반응시간 표시부(52)는 운동신경의 정도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타격지시 이후 실제로 타격이 가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0.0초에서 9.9초까지의 시간(2개의 7-시그먼트)으로 표시한다.
타격지시는 시각적, 청각적, 혹은 혼합적으로 할 수 있다. 시각적인 타격지시는 훈련 보조자가 손잡이부(15)에 있는 푸쉬스위치(61)를 눌러서 표시등(63)에 불이 들어오면 사용자가 이것을 보고 타격을 가하는 방법이다.
청각적인 타격지시는 훈련 보조자가 푸쉬스위치(61)를 누르면 음성모듈(65)에서 발생시킨 음성이 스피커(67)을 통해 나오면 사용자가 이것을 보고 타격을 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푸쉬스위치(61)를 눌렀을 때 스피커(67)에서 '발차기 시작'이라는 음성이 나오고, 이 음성을 듣고 사용자가 타격을 가한다. 스피커967)은 손잡이부(15)에 내장되며 이때 스피커(67)에서 나오는 음성은 변경이 가능하다.
혼합적인 타격지시는 위의 시각적인 타격지시와 청각적인 타격지시가 혼합된 것으로서, 푸쉬스위치(61)를 누르면 표시등(63)에 불이 들어옴과 동시에스피커(67)에서 '발차기 시작'과 같은 음성이 나와서 타격지시를 하는 방법이다.
푸쉬스위치(61)는 타격지시 기능 외에도 출력장치(50)를 초기화시키는 기능도 한다. 즉, 푸쉬스위치(61)를 누르면 타격강도 표시부(51) 및 반응시간 표시부(53)의 7-시그먼트의 각 자리가 0으로 초기화된다.
다시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타격미트(5)는 전원(71), 전원스위치(73)를 포함한다. 전원(71)은 출력장치(50)와 마찬가지로 타격미트(5)의 손잡이부(15)에 위치한다. 전원(71)은 통상의 9V 건전지를 이용한다. 또한, 타격미트(5)의 윗부분에는 전원스위치(73)가 있어서 타격미트(5)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스위치(73)를 끔으로써 건전지의 낭비를 피할 수 있게 한다.
도5a와 도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내부 부품의 사진을, 도6은 컨트롤러부(30)의 ADC(33)와 출력장치(50)의 회로도를, 도7은 타격미트(5)의 전체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5a와 도5b는 도2 및 도4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번호를 표시하였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6과 도7의 회로도는 통상 회로도면에 사용하는 부호들을 사용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 부호들은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되 도1 내지 도4를 주로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5)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훈련 보조자가 푸쉬스위치(61)를 누르면 출력장치(50)의 각 7-시그먼트들이0으로 초기화되면서, 표시등(63)에 불이 들어오고 스피커(67)에서 '발차기 시작'과 같은 음성으로 타격을 지시한다. 타격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타격미트(5)의 타격부(10)를 가격하면 힘측정센서부(20)가 타격강도를 감지하여 타격강도에 대응하는 일정한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 힘측정센서부(20)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는 포트(31)를 거쳐 ADC(33)에 전송된다. ADC(33)는 포트(31)로부터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그램된 샘플링 속도로 표본화하고, 양자화하고 부호화하여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힘측정센서부(20)가 전류발생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ADC(33)에서 변환된 디지털값은 제어부(35)에 전송된다. 제어부(35)는 ADC(33)에서 전송받은 디지털값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필터링을 통해 제거한다.
제어부(35)에서 처리된 디지털값은 디코더(37)에 전송된다. 디코더(37)는 제어부(35)로부터 전송된 디지털값(2진 코드)을 해독(decoding)하여 이에 대응하는 1개의 선택값을 생성한다. 디코더(37)에서 생성된 선택값은 드라이버(39)에 전송되고, 출력장치(50)는 선택값에 따른 출력상태를 출력한다. 출력상태는 타격강도와 반응시간으로 표시되는데, 이들은 3개의 7-시그먼트로 표현되는 타격강도 표시부(51)와 2개의 7-시그먼트로 표현되는 반응시간 표시부(53)에 각각 출력된다. 반응시간은 타격지시 이후 실제로 타격을 가하게 되는 시간을 힘측정센서(20)가 감지하여 측정한다.
실시예 2
도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타격미트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의 구성 중 제어부(35)를 제외한 컨트롤러부(30)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가 실시예 1과 주로 다른 부분은 힘측정센서(20)의 종류와 출력장치(50)의 출력형태이다.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도면 중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힘측정센서부(20)는 압저항 세라믹 센서(Piezoresistive Ceramic Sensor)인 MER 시리즈이다.
MER 시리즈인 힘측정센서부(20)는 세라믹 베이스(Ceramic Base)에 압저항 센서를 부착하고, 압저항 센서의 상부에 세라믹 격판이 위치한다. 힘측정센서부(20)에서 압력은 세라믹 격판(Ceramic Diaphragm) 전면에 직접 닿고, 뒷면은 전기저항 측정기(Wheatstone Bridge)와 연결된 Screen-printed Resistor에 의해 압력을 감지한다. 세라믹 격판(Ceramic Diaphragm)은 얇고 자유로이 휠 수 있는 형태로 제작 가능하므로 타격부(10) 내에 설치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힘측정센서부(20)를 압저항 세라믹 센서로 하여 내구성을 측정한 결과, 1,800,000회의 타격회수 내에서 허용오차 ±10%의 범위 내에서 동작가능함이 밝혀졌다.
힘측정센서부(20)는 2개 이상의 부분센서로 구성되며 각 부분센서는 동일한 강도로 타격하는 경우 동일한 아날로그값을 받아 들이도록 동일한 민감도를 갖는 센서로 구성된다.
제어부(35)는 ADC(33)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디지털값에 대하여, 이들 값이 서로 다른 부분센서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서로 다른 값으로 처리한다. 이는 동일한강도의 타격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내장된 부분센서를 가격한 경우, 서로 다른 출력값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출력장치(50)는 시각적, 청각적 및 혼합적으로 구성된다. 출력장치(50)가 시각적이라 함은 영상출력이 가능함을 말하고, 청각적이라 함은 음향출력이 가능함을 말하며, 혼합적이라 함은 영상출력과 음향출력이 혼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말한다.
출력장치(50)가 영상출력장치인 경우 출력형태는 영상이고, 음향출력장치인 경우 출력형태는 음향이고, 혼합출력장치인 경우 출력형태는 영상 및 음향이다.
영상출력장치는 7-시그먼트, LCD, LED 등을 사용한다. 음향출력장치는 스피커(67)를 사용한다. 출력장치(50)는 제어부(35)에서 디지털값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타격강도가 일정 강도 이상이 되어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영상출력장치는 제어부(35)에서 처리된 서로 다른 디지털값에 대하여 서로 다른 출력상태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상태는 단순히 발광되는 것과, 캐릭터로 발광의 형상을 만들어 주는 것과, 타격 강도에 따른 수치를 출력하는 것과, 타격 강도에 따라 발광상태를 달리하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타격 강도에 따른 수치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장치(50)에 표시되는 타격강도의 절대값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출력장치는 제어부(35)에서 처리된 서로 다른 디지털값에 대하여 음향의 종류를 달리하거나, 음향의 세기를 달리하는 것 등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의 상기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힘측정센서부(20)가 2개 이상의 부분센서로 구성될 때, 각각의 부분센서는 서로 동일한 민감도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부분센서는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부분센서에 동일 강도의 타격이 가해지더라도 각각의 부분센서는 서로 다른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므로, 제어부(35)는 ADC(33)로부터 전송된 디지털값이 어느 부분센서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된 것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없다.
힘측정센서부(20)는 압력센서나 압저항 세라믹 센서(Piezoresistive Ceramic Sensor)인 MER Series인 것으로 하였으나, 실리콘 센서나 통상의 세라믹 센서, 가속도 센서, 일반적인 압력센서 등 힘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도 어떤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일실시예에서는 힘측정센서부(20)가 힘의 강도를 아날로그 신호로 감지하여 ADC(33)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힘측정센서부(20)가 디지털값으로 힘의 강도를 측정한다면 별도의 ADC(33)를 두지 않고 힘측정센서부(20)에서 측정된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제어부(35)에 전송하여 신호처리할 수 있다.
전원(71)과 출력장치(50)는 손잡이부(15)에 위치하고, 컨트롤러부(30)는 연결부(29)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위치를 달리할 수도 있다. 특히, 출력장치(50)를 타격미트(5)와 분리하여 무선통신에 의해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격미트(5)와 출력장치(50) 각각은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한편, 컨트롤러부(30)까지 타격미트(5)의 외부에 설치하고 타격미트(5)에는 힘측정센서(20)와 무선통신수단만 둘 수도 있다.
타격미트(5)는 전원(71)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선에 연결된 외부전원를 이용할 수도 있다.
타격용품은 타격미트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 타격용품은 헤드기어, 호구, 샅보대, 아대 등의 보호용품이거나, 에어백, 글로브, 발차기용, 스파링용 운동보조기구 등의 훈련용품일 수도 있다. 이때, 힘측정센서(20)와 컨트롤러부(30) 및 출력장치(50)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기어나 호구에 있어서 힘측정센서부(20)는 전면에 위치하고 컨트롤러부(30)와 출력장치(50)는 뒤로 묶는 끈 부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파링용 운동보조기구 같은 경우는 힘측정센서부(20)를 몸체 내부에 내장하고, 컨트롤러부(30)와 출력장치(50)는 타격운동 보조기구의 외부에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가 내장된 타격운동 보조기구를 통해 타격운동시 타격의 강도나 위치에 따라 음향이나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된 값을 인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타격운동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타격강도와 반응시간을 디지털화하여 수치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타격강도를 조절하고 상대방을 빠르게 공격하는 훈련을 할 수 있는 타격미트를 제공한다.

Claims (9)

  1. 내부부품들을 천으로 감싸며, 타격부와, 연결부, 손잡이부를 갖는 타격미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부품들은,
    상기 타격부 내에 위치하며, 타격에 의한 힘의 강도 및 타격부위를 감지하는 힘측정센서부와:
    상기 연결부에 위치하며, 상기 힘측정센서부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수용하는 포트와; 상기 포트를 통해 전송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값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와; 내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디지털값을 신호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신호처리된 디지털값을 1개의 선택값으로 변환하는 디코더와; 상기 선택값에 대응하는 출력상태를 하기 출력장치에 작동하게 하는 드라이버를 갖는 컨트롤러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라이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출력상태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타격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센서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
  3. 제 2항에 있어,
    상기 압력센서는,
    타격부를 감싸는 덮개천 아래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되,
    타격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압력감지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바닥이 타격부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압력감지부를 관통하고, 상기 가압부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압축되는 탄성부재와;
    상단은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에 의해 상기 압력감지부에 접촉하며, 압력의 정도에 따른 상기 압력감지부에 접촉하는 면적변화에 따라 다른 전류값을 출력시키게 하는 격판과;
    상기 베이스에서 나와서 상기 컨트롤러부에 연결되는 연결도선;을 포함하는 타격미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보호를 위하여 몰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힘의 강도를 음향으로 출력하거나,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격지시를 음향으로 지시하기 위한 음성모듈과;
    상기 음성모듈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하는 타격미트.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힘측정센서부에서 측정한 힘의 강도를 2∼5자리의 10진수로 표시하는 타격강도 표시부와;
    음향 또는 표시등에 의한 타격지시가 있은 후 타격을 가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0.1초 단위까지의 10진수로 표시하는 반응시간 표시부;를 포함하는 타격미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센서부는 서로 다른 민감도를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센서부는 서로 같은 민감도를 갖는 2개 이상의 부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내장된 상기 부분센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부분센서에 가해진 동일한 강도에 대하여 서로 다른 디지털 값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힘측정센서부는 압저항 세라믹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미트.
KR2020010013402U 2001-05-08 2001-05-08 타격미트 KR200245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402U KR200245616Y1 (ko) 2001-05-08 2001-05-08 타격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402U KR200245616Y1 (ko) 2001-05-08 2001-05-08 타격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616Y1 true KR200245616Y1 (ko) 2001-10-15

Family

ID=7310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402U KR200245616Y1 (ko) 2001-05-08 2001-05-08 타격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1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05B1 (ko) 2008-08-25 2011-11-25 조응호 격투기 타격 용구
KR101221189B1 (ko) * 2010-05-31 2013-01-10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목표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훈련 시스템, 센싱 시스템, 훈련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센싱 방법
KR101355657B1 (ko) * 2012-01-20 2014-01-29 주식회사 소닉월드 컨트롤러 분리형 전자 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스포츠 제공 시스템
KR101465334B1 (ko) * 2013-05-15 2014-11-25 조영우 발차기 미트
KR20170041186A (ko) 2014-06-05 2017-04-14 루두스 머터리얼스 리미티드 신체 훈련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시 유용한 방법들
KR102044905B1 (ko) 2018-12-13 2019-11-14 주식회사 엠앤엠 발차기 연습용 미트
US10668349B2 (en) 2015-09-17 2020-06-02 Ludus Materials Ltd. Martial arts equip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249747B1 (ko) * 2020-08-18 2021-05-11 주식회사 오티에스아이앤씨 무술 훈련용 전자 타격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05B1 (ko) 2008-08-25 2011-11-25 조응호 격투기 타격 용구
KR101221189B1 (ko) * 2010-05-31 2013-01-10 주식회사 에치티아이 목표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훈련 시스템, 센싱 시스템, 훈련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센싱 방법
KR101355657B1 (ko) * 2012-01-20 2014-01-29 주식회사 소닉월드 컨트롤러 분리형 전자 미트 및 이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스포츠 제공 시스템
KR101465334B1 (ko) * 2013-05-15 2014-11-25 조영우 발차기 미트
KR20170041186A (ko) 2014-06-05 2017-04-14 루두스 머터리얼스 리미티드 신체 훈련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시 유용한 방법들
KR101993065B1 (ko) * 2014-06-05 2019-06-25 루두스 머터리얼스 리미티드 신체 훈련 시스템 및 그와 함께 사용시 유용한 방법들
US10603561B2 (en) 2014-06-05 2020-03-31 Ludus Materials Ltd. Physi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US10668349B2 (en) 2015-09-17 2020-06-02 Ludus Materials Ltd. Martial arts equip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11660518B2 (en) 2015-09-17 2023-05-30 Ludus Materials Ltd. Martial arts equip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044905B1 (ko) 2018-12-13 2019-11-14 주식회사 엠앤엠 발차기 연습용 미트
KR102249747B1 (ko) * 2020-08-18 2021-05-11 주식회사 오티에스아이앤씨 무술 훈련용 전자 타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26712A1 (en) Wrist worn monitoring device
US4534557A (en) Reaction time and applied force feedback
JP2012529933A (ja) トレーニング補助装置
KR200245616Y1 (ko) 타격미트
US4699379A (en) Athletic monitoring device
US5170002A (en) Motion-controlled musical tone control apparatus
CA2370688C (en) Sports training apparatus and sports training system
US8449410B1 (en) Sports grip sensor
US20060230640A1 (en) Shoe having physical measuring device
ATE168542T1 (de) Heimtrainer mit bio-feedback
JP2009106323A (ja) 運動フォーム評価装置および運動フォーム評価プログラム
US6612968B1 (en) Equipment for practicing sport fencing
KR101093669B1 (ko)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TWI256015B (en) Computer keyboard capable of measuring the pressure pressed on the key of the keyboard
WO1999010052A1 (en) Boxing monitoring device
KR20130000922U (ko) 센서미트
US8430798B2 (en) Compressible toy having micro electrical mechanical system pressure sensing module
KR20100037988A (ko) 퍼팅 감각 연습용 퍼터
KR20050015554A (ko) 전자호구의 타격에 따른 점수 송신장치 및 그 송신방법
JP3043300U (ja) 空気圧を利用した運動器具
KR20020056432A (ko) 타격운동 보조기구
KR200271126Y1 (ko) 타격 미트
GB2328605A (en) Boxing Monitoring Device
GB2453312A (en) Touch counting physical training apparatus
KR20100131646A (ko) 태권도용 전자호구와 미트의 타격에 따른 송수신 전광판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