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458Y1 -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 Google Patents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458Y1
KR200245458Y1 KR2019970043207U KR19970043207U KR200245458Y1 KR 200245458 Y1 KR200245458 Y1 KR 200245458Y1 KR 2019970043207 U KR2019970043207 U KR 2019970043207U KR 19970043207 U KR19970043207 U KR 19970043207U KR 200245458 Y1 KR200245458 Y1 KR 200245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air
intake passage
valv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515U (ko
Inventor
안수종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43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4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2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 F02D9/16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the members being rotatable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기관상에 착설되는 스로틀 밸브에는 밸브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는데, 흡기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밸브 디스크가 흡기관의 흡기통로를 폐쇄하고, 흡기를 유입하는 경우에는 흡기관의 흡기통로상으로부터 밸브 디스크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흡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흡기 유입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일측에 회전가능한 중심축(70)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70)의 단부에 상기 흡기 통로(60)를 개폐하는 밸브 디스크(80)의 일면부의 일측이 부착되며, 상기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상에는 상기 밸브 디스크(80)가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90)이 공기나 연료의 유동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상에는 일단부가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액셀 케이블(71)이 권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
본 고안은 차량의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기관상에 착설되는 스로틀 밸브에는 밸브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는데, 흡기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밸브 디스크가 흡기관의 흡기 통로를 폐쇄하고, 흡기를 유입하는 경우에는 흡기관의 흡기 통로상으로부터 밸브 디스크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흡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흡기 유입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스로틀 밸브는 링키지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 또는 혼합기의 양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로서, 얇은 원판형 디스크(또는, 밸브 디스크)를 중앙에 설치한 축을 중심으로 밸브를 개폐하는 버터플라이 밸브와 밸브가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드 밸브가 있다. 또한, 자동 변속기 차량에서는 스로틀 밸브가 액셀러레이터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엔진의 부하에 알맞은 유압으로 변화시켜 주는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차량에서 이용되고 있는 스로틀 밸브 중 버터플라이 밸브형 스로틀 밸브는 중심축과 밸브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10) 또는 연료(11)가 유입되는 흡기 통로(20)상에 설치되며, 상기 흡기 통로(20)의 중심부에 중심축(30)이 종설되고, 상기 중심축(30)에는 밸브 디스크(40)가 착설되어 구성된다.
상기 밸브 디스크(40)가 착설되어 있는 중심축(30)은 액셀 케이블(51)에 의해 운전석 가까이에 있는 액셀 페달(50)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스로틀 밸브는 엔진(도면상에 미도시됨)에 공기 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10) 또는 연료(11)가 유입되는 흡기 통로(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흡기 통로(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10)나 연료(11)를 차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심축(30)상에 착설되어 있는 밸브 디스크(40)의 전면부를 공기(10) 또는 연료(11)가 유동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작동시켜 배치하면, 상기 밸브 디스크(40)가 흡기 통로를 폐쇄시킴으로써, 공기(10) 또는 연료(11)의 유입(또는 흡입)이 차단된다.
한편, 상기 흡기 통로(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10)나 연료(11)를 엔진(좀더 정확히 말하면, 엔진의 연소실)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기 통로(20)에 있는 밸브 디스크(40)를 작동시켜, 밸브 디스크(40)의 전면부가 공기(10)나 연료(11)가 유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흡기 통로(20)에 유동되는 공기(10)나 연료(11)의 흡입양이 최대가 되며, 밸브디스크(40)의 전면부가 공기나 연료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가 되도록 작동·배치시키면, 상기 소정의 각도에 따라 공기 또는 연료의 흡입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입되는 공기나 연료의 유입양 또는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밸브디스크(4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중심축(30)과 액셀 페달(50)이 액셀 케이블(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을 가속시키기 위해서 액셀 페달(50)을 밟으면, 액셀 케이블(51)이 당겨지면서 중심축(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중심축(30)상에 착설되어 있는 밸브디스크(4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흡기 통로(20)상의 유로 면적을 확장시키게 된다. 이렇게 유로 면적이 확장되면 될 수록 흡기 통로(2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또는 연료양이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로틀 밸브는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어도, 즉 밸브디스크(40)의 전면부가 유입되는 공기나 연료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도, 상기 밸브디스크(40)의 두께, 즉 밸브디스크(40)가 차지하는 공간만큼은 유로 면적이 작아질 수밖에 없어서, 그 만큼 흡입되는 공기나 연료의 양은 적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어도 밸브디스크(40)가 상기 흡기 통로(20)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나 연료가 밸브디스크(40)에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디스크(40)는 공기나 연료의 원활한 유동의 방해물이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사정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의 흡기관상에 착설되는 스로틀 밸브에는 밸브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는데, 흡기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밸브디스크가 흡기관의 흡기 통로를 폐쇄하고, 흡기를 유입하는 경우에는 흡기관의 흡기 통로상으로부터 밸브디스크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흡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흡기 유입량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는 공기나 연료가 흡입되는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70)의 단부에 상기 흡기 통로(6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80)의 일면부의 일측이 부착되며, 상기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상에는 상기 밸브디스크(8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90)이 흡기 통로(60)에 대해 밸브디스크(80)의 선회궤적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상에는 일단부가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액셀 케이블(71)이 권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스로틀 밸브의 설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밸브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흡기 통로 70 : 중심축
71 : 액셀 케이블 80 : 밸브 디스크
90 : 삽입홈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의 착설 정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나 연료가 흡입되는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70)의 단부에 상기 흡기 통로(6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80)의 일면부의 일측이 부착되며, 상기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상에는 상기 밸브디스크(80)가 중심축(70)을 정점으로 선회하여 삽입 가능한 삽입홈(90)이 공기나 연료의 유동방향, 즉 흡기 통로(6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상에는 일단부가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액셀 케이블(71)이 권선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는 하기와 같이 작용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상에 장착되어 있는 탄성부재(도면상에 미도시됨), 예를 들면 스프링 등에 의해 당겨져서 밸브디스크(80)가 흡기 통로(60)를 폐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10)나 연료(11)가 엔진의 연소실(도면상에 미도시됨)로 흡입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엔진의 연소실로 공기(10)나 연료(11)를 공급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액셀 페달을 밟으면,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액셀 케이블(71)이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셀 케이블(71)이 권선되어 있는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심축(70)이 회전하면 중심축(70)이 착설되어 있는 밸브디스크(또는 버터플라이 밸브디스크)(80)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밸브디스크(80)가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형 삽입홈(90)을 통해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10)나 연료(11)가 유입되는 흡기 통로(60)상으로부터 밸브디스크(80)를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즉, 공기(10)나 연료(11)가 유동되는 흡기 통로(60)에 장애물(즉, 밸브디스크)이 없어지게 된다.
이렇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이 상기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일측에 착설되며, 상기 중심축(70)의 단부는 밸브디스크(80)의 전면부 외곽부분에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밸브디스크(80)를 흡기 통로(60)로부터 벗어나게 함으로써(즉, 흡기 통로를 완전히 개방함으로써), 흡기 통로(60)상에는 최대한도의 공기(10) 또는 연료(11)가 흡입된다.
물론, 운전자가 밟는 액셀 페달의 가압 정도, 즉 액셀 케이블(71)을 당기는 정도에 따라, 삽입홈(90)에 삽입되는 밸브디스크(80)의 영역의 크기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흡기 통로(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나 연료양이 결정될 수 있다.
제3도상의 미설명 부호 (72)는 액셀 케이블(7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흡기 유입이 양호한 스로틀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흡기 통로(60)상에 흡입되는 공기나 연료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밸브디스크(80)가 상기 흡기 통로(60)를 폐쇄하고, 흡입되는 공기나 연료를 유입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흡기 통로(60)상으로부터 밸브디스크(80)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흡기 통로(60)를 개방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기나 연료를 흡입하는 경우에는 흡기 통로(6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즉 흡기 통로(60)상의 내주면부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90)을 통해 밸브디스크(80)를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나 연료의 유동에 대한 방해물이 없어지기 때문에(즉 유로의 면적을 최대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 최대한의 공기나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에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흡기 통로(60)의 개방 시에 공기나 연료의 유로상에 장애물이 제거되어 원활하게 공기나 연료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엔진의 연소실에 공기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흡기 통로상에 장착되는 차량의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일측에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70)의 단부에 상기 흡기 통로(60)를 개폐하는 밸브디스크(80)의 일면부의 일측이 부착되며, 상기 흡기 통로(60)의 내주면부 상에는 상기 밸브디스크(80)가 삽입가능하도록 삽입홈(90)이 흡기 통로(60)에 대해 밸브디스크(80)의 선회궤적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중심축(70)상에는 일단부가 액셀 페달에 연결되어 있는 액셀 케이블(71)이 권선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로틀 밸브.
KR2019970043207U 1997-12-30 1997-12-30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KR200245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07U KR200245458Y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207U KR200245458Y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15U KR19990030515U (ko) 1999-07-26
KR200245458Y1 true KR200245458Y1 (ko) 2001-12-17

Family

ID=5389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207U KR200245458Y1 (ko) 1997-12-30 1997-12-30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4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15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221B2 (en) Butterfly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flow characteristics
CA2211072A1 (en) Combustion appliance valve assembly
JP4221913B2 (ja) 燃料噴射装置
EP1221545A3 (en) Carburettors for two-stroke engines
CA2250644A1 (en) Spring biased rotary air valve
KR101278688B1 (ko) 급발진 방지용 스로틀 밸브
US4052490A (en) Carburetor with manually adjustable fuel supply
KR200245458Y1 (ko) 차량의흡기유입이양호한스로틀밸브
US20030070654A1 (en) Throttle apparatus
US5675969A (en) Exhaust gas control devic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1069398A (en) Air switching diverter valve
US4174610A (en) Power cruise diverter valve
US6893002B2 (en) Lockout valve
US4161241A (en) Dashpot apparatus including a flexible diaphragm piston
KR0140683Y1 (ko) 끼워 맞춤식 스로틀 밸브
JP3546497B2 (ja) スワールコントロールバルブ
EP0417172B1 (en) Heater control valve
JPH0420988Y2 (ko)
US3998194A (en) System for control of exhaust gas recirculation
JPH0420987Y2 (ko)
JP2000073786A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H0219656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KR920007247B1 (ko) 혼합기 흡입 조절장치
JPS6172838A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4192432B2 (ja) 気化器の低速燃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