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844Y1 -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844Y1
KR200244844Y1 KR2020010015726U KR20010015726U KR200244844Y1 KR 200244844 Y1 KR200244844 Y1 KR 200244844Y1 KR 2020010015726 U KR2020010015726 U KR 2020010015726U KR 20010015726 U KR20010015726 U KR 20010015726U KR 200244844 Y1 KR200244844 Y1 KR 200244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anchor bolt
fastening mean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강주
Original Assignee
공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강주 filed Critical 공강주
Priority to KR2020010015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8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844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각종 피착물(被着物)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가스배출 및 다짐구멍을 갖는 상하부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설치 형태에 따라 앙카볼트의 설치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한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H형강 포스트 및 각종 포스트의 사이즈에 맞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미리 표준화 작업함으로서, 관리가 우수하여 정밀 시공을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건설현장의 공기 단축 및 재료비 증가에 대한 공사비 증가요인을 보완하여 경제성이 있도록 한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투입 및 다짐 또는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초구멍(110)과, 상기 기초구멍(110)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위치에 앙카볼트 고정구멍(120)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120) 주위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멍(130)을 구비한 기초플레이트(100)와; 상기 고정구멍(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고정구멍(210)과,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심측량핀(201)과, 상기 중심측량핀(201)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1개이상 형성되는 다짐용 구멍(220)과, 상기 중심측량핀(201)과 직교하는 0°, 90°방향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폭(간격)측정핀(202) 및 선형측정핀(203)과, 상기 제 1연결구멍(130)과 동일한 위치 형성되는 제 2연결구멍(230)을 갖는 상부플레이트(200)와; 상기 기초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앙카볼트 고정구멍(120)(210)을 통해 앙카볼트(300)가 삽입되어 너트(302)에 의해 고정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플레이트(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플레이트(100)(200)에 형성된 제 1 및 제2 연결구멍(130)(230)을 통해 연결볼트(40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plate using joints}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각종 피착물(被着物)의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시 투입 및 다짐 또는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겸용 다짐구멍을 갖는 상하부플레이트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설치 형태에 따라 앙카볼트의 설치위치를 변경가능토록 한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H형강 포스트 및 각종 포스트의 사이즈에 맞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미리 표준화 작업함으로서, 관리가 우수하여 정밀 시공을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건설현장의 공기 단축 및 재료비 증가에 대한 공사비 증가요인을 보완하여 경제성이 있도록 한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교량난간 또는 방음벽, 교좌장치, 낙석보호망, 가로등, 가드레일, 중앙 분리대, 표지판 등이나 건축물 특히 공장구조물, 혹은 기계기초물과 연직도가 요구되는 긴 포스트 구조물 설치시에는 앙카볼트물(1)이 설치된다.
상기 앙카볼트물(1)은 기초와 구조물을 연결하는 구조물(Structure)과 기초(Foundation)의 하중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앙카구조물은 기초에 매입시킨 후, 구조물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앙카볼트물(1)은 위치확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초철근(10)에 보조철근(11)을 용접 또는 철사 등으로 고정하여 프레임을 만든 후, 상기 프레임 모서리에 앙카볼트(20)를 용접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도 3와 같이 플레이트(30)에 구멍(31)을 뚫고, 상기 구멍(31)에 앙카볼트(20)를 알맞게 세팅 한 후 간격을 유지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전자의 경우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과의 결속이완 및 위치변동으로 앙카볼트의 수평, 수직도 오차가 크게 발생되고 있다.
둘째, 후자와 같은 플레이트 설치방법은 콘크리트의 다짐효과가 적고 플레이트 하면에 공극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품질 저하로 인하여 기초 저항능력이 감소된다.
셋째, 설치시 줄자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검측 시공함으로써 설치 오차가 발생되고 설치위치의 측량도 어렵다.
넷째, 플레이트와 기초상면 사이에 틈새가 커서 수평하중 작용 시 구조물에 하중 증대효과가 발생되어 구조물의 안전도가 저하된다.
다섯째, 앙카볼트의 설치오차를 구조물로부터 수렴하고자 구조물 즉, 난간, 방음벽, 낙석 방지책, 가드레일 등의 플레이트에 구멍을 크게 뚫고 설치하기 때문에 작은 하중에도 쉽게 앙카볼트가 빠지는 일이 비일비재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
여섯째, 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시공오차발생이 너무 커서 구조물을 축조 후 앙카볼트를 뭍기위해 기초 콘크리트몰탈을 깨는 사례가 많아 시공 후 미관이 불량하고 방수불량, 부식경로제공 등 구조물 본체에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일곱째, 기존구조물의 일부분을 깨고 접착제를 바르고 앙카볼트를 기존철근과 용접하고 있으나, 앙카볼트의 길이 확보가 곤란하여 구조물의 안정상의 문제 및 작업공정이 늘어나 공사비가 증가하는 요인이된다.
여덟째, 시공오차에 의한 앙카볼트의 정밀도가 저하되고 구조적 안전성 및사용성에 나쁜 영향이 발생된다.
아홉째, 방음벽, 난간 등 기준미달의 시공사례가 많아 발생된다.
열번째, 기초공사자와 구조물 공사 즉, 난간, 방음벽, 낙석방지책, 가드레일 등의 시공자가 이원화로 기초와 구조물의 연결부 시공정밀도가 나빠지고 있으며, 이는 앙카볼트 연결불량, 응력집중 등 구조물에서 가장 중요한 응력 전달기구에 결함을 초래하여 구조물의 발목부를 취약하게 만드는 현상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H형강 포스트 및 각종 포스트의 사이즈에 맞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표준화시킴으로서, 관리가 우수하여 정밀 시공을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상시 수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은, 기초공사 시와 기초철근 조립시 앙카볼트 작업을 병행할 수가 있어 기초공사와 앙카공사의 이원화를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사용함으로, 현장에서의 위치와 선형 및 간격을 측정할 수가 있어 앙카볼트의 정확한 위치확보가 가능하고,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한, 플레이트에 연결볼트 구멍을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서, 철근의 간섭 및 현장조건 등을 수렴하여 상,하부플레이트의 접합을 편리하게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플레이트 판에 다수개의 구멍을 설치함으로서, 콘크리트의 응결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처리와 공극발생의 요인을 제거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투입 및 다짐 또는 양생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초구멍과, 상기 기초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위치에 앙카볼트 고정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 주위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한 기초플레이트와; 상기 고정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고정구멍과,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심측량핀과, 상기 중심측량핀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는 다짐용 구멍과, 상기 중심측량핀과 직교하는 0°, 90°방향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폭(간격)측정핀 및 선형측정핀과, 상기 제 1연결구멍과 동일한 위치 형성되는 제 2연결구멍을 갖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기초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앙카볼트 고정구멍을 통해 앙카볼트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플레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 및 제2 연결구멍을 통해 연결볼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량핀에 형광물질이 도포되며, 상기 측량핀 및 연결볼트의 상단에 절단용 링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난간 또는 방음벽, 교좌장치, 낙석보호망, 가로등, 가드레일, 중앙 분리대 등에 앙카볼트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2는 종래 앙카볼트물을 나타낸 도,
도 3은 종래 앙카볼트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도,
도 4은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 도,
도 5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기초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나낸 도,
도 6b는 도 6a의 A부 요부확대도를 나타낸 도,
도 7은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8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폭(간격)측정 및 선형측정을 하기 위한 측정핀을 나타낸 도,
도 8b는 본 고안 기초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를 일부발췌하여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앙카구조물 100 : 기초플레이트
110 : 기초구멍 120,210 : 고정구멍
130,230 : 연결구멍 200 : 상부플레이트
201 : 중심측량핀 202 : 폭(간격)측정핀
203 : 선형측정핀 204,401 : 절단용 링홈
220 : 다짐용 구멍 300 : 앙카볼트
301 : 수나사부 302 : 너트
400 : 연결볼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 및 타의 목적들,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결합된 사시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기초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의 상부플레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나낸 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부 요부확대도를 나타낸 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8a는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폭(간격)측정 및 선형측정을 하기 위한 측정핀을 나타낸 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 기초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볼트를 일부발췌하여 나타낸 도이다.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는 기본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초플레이트(100)와, 이 기초플레이트(100)로 부터 앙카볼트(300)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00)와, 콘크리트타설시 상기 기초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볼트(400)로 구성됨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초플레이트(100)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투입 및 다짐 또는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기초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기초구멍(110)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위치에는 앙카볼트 고정구멍(120)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멍(120) 주위에는 제1 연결구멍(130)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부플레이트(200)는 부식에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을 주재료로하거나 혹은 강도가 높은 비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플레이트(200)에는 상기 기초플레이트(100)의 고정구멍(120)과 동일한 위치에 제 2고정구멍(21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중심측량핀(20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중심측량핀(201)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1개이상의 다짐용 구멍(220)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측량핀(201)과 직교하는 0°방향에 폭(간격)측정핀(202)이 90°방향에 선형측정핀(20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연결구멍(130)과 동일한 위치에는 제 2연결구멍(230)이 형성된다.
앙카볼트(300)는 도 6a 또는 6b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나사부(301)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301)에는 기초플레이트(100)가 기초철근(2)의 상면에 놓인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302)에 의해 체결되고, 또 다른 너트(302)의 조절에 의해 기초플레이트(100)와 상부플레이트(200)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앙카볼트(3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초철근(2)에 용접된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바와같이, 모든 측량핀(201)(202)(203)의 상단은 첨단부를 이루고 상부플레이트(200)와의 경계면에는 절단용 링홈(204)이 형성된다. 아울러 모든 측량핀 전체에는 야간작업시 어두운 곳에서도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록 형광물질이 도포되거나 혹은 반사지 또는 야광페인트가 도포된다.
한편, 연결볼트(40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양 플레이트(100)(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 플레이트(100)(200)에 형성된 제 1 및 제2 연결구멍(130)(230)을 통해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볼트로써, 상부에는 절단용 링홈(401)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망치등으로 쉽게 쳐내어, 구조물과의 간섭을 없애도록 하였다.
상기에서 본 고안 기초플레이트(100) 및 상부플레이트(200)는 기본적으로 사각형상을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필요에 따라 다각형상 또는 원형으로 제작 가능하며, 양플레이트(100)(200)를 연결하기 위한 제 1 및 제2 연결구멍(130)(230)은 앙카볼트(300) 주변에 다수개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비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는 시공전에 미리 공장에서는 기초플레이트(100), 상부플레이트(200), 앙카볼트(300) 및 연결볼트(400) 등을 규격화하여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상부플레이트(200)에 측량핀을 설치한다.
다음 기초플레이트(100), 상부플레이트(200), 앙카볼트(300) 및 연결볼트(400) 등을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현장으로 운반한다.
다음 현장에 도착하여 설치할 곳을 측량하여 도 6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설치한다.
예를들면, 너트(302)를 조여 기초플레이트(100)를 기초철근(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앙카볼트(300)의 일단을 기초철근(2)에 용접한다.
다음 상부프레이트(200)를 기초플레이트(100)로 부터 알맞은 위치 선정후 거푸집(3)을 설치하고 기초공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부플레이트(2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볼트(400)를 이용하여 기초플레이트(100)에 연결고정한다.
다음 콘크리트가 굳으면 측량핀(201)(202)(203) 및 연결핀(400)을 제거하여 초기 기초설치물을 완성한다.
물론, 상기 기초설치물과 연계하여 설치되는 또 다른 기초설치물의 상부플레이트(200)에 설치된 측량핀(201)(202)(203)에 의해 폭(간격)과 기학적으로 설치된다.
예를들면, 선형적으로 설치할 경우 중심측량핀(201)에 선형측정핀(203)을 맞춤으로서, 곡선(기학적구조) 또는 직선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폭(간격)을 맞출경우 중심측량핀(201)에 폭(간격)측정핀(202)을 맞춤으로서, 간격을 맞출 수가 있게 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바와같이 교량난간, 방음벽, 교좌장치, 낙석보호망, 가로등, 가드레일, 중앙 분리대, 표지판 등의 상부구조물의 베이스 플레이트(3)를 설치하므로써 공정이 종료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예시된 도면을 위주로 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는 교량난간, 방음벽, 교좌장치, 낙석보호망, 가로등, 가드레일, 중앙 분리대, 표지판 등이나 건축물 특히 공장구조물, 기계기초물과 연직도가 요구되는 긴 포스트 구조물 설치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사용으로 앙카볼트의 정확한 위치확보가 가능하고 시공성이 매우 좋다.
둘째, 플레이트에 측량핀을 설치함으로서, 현장에서 위치와 선형 및 간격을 측정할 수가 있어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플레이트에 연결볼트 구멍을 적절하게 설치함으로서, 철근의 간섭 및 현장조건 등을 수렴하여 상,하부플레이트의 접합을 편리하게 하였다.
넷째, 플레이트 판에 다수개의 구멍을 설치함으로서, 콘크리트의 응결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처리와 공극발생의 요인을 제거하였다.
다섯째, 측량핀 및 연결볼트에는 설치 후, 절단이 가능하도록 링홈을 형성함으로서, 구조물의 베이스 플레이트 설치 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여섯째, 플레이트와의 접합은 용접시공을 원칙으로 하되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위치선정용 구멍과 보조용 구멍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시공할 수가 있다.
일곱째, H형강 포스트 및 각종 포스트의 사이즈에 맞도록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를 표준화함으로서, 관리가 우수하여 정밀 시공을 할 수가 있다.
여덟째, 플레이트를 표준화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상시 수급이 가능하다.
아홉째, 기초공사시와 기초철근 조립시 앙카볼트 작업을 병행할 수가 있어 기초공사와 앙카공사의 이원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열번째, 공장에서 절단기에 의해 미리 가공되어 현장에 바로 조달됨으로서, 건설현장의 공기 단축 및 재료비 증가에 대한 공사비 증가요인을 보완하여 경제성이 있고, 재래식 공사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가 있다.
열한번째, 규칙적인 열과 간격에 의해 난간, 방음벽, 낙석방지책, 가드레일 등의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우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Claims (3)

  1. 중앙부에 콘크리트 타설시 투입 및 다짐 또는 콘크리트 양생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기초구멍과, 상기 기초구멍을 중심으로 하여 근접위치에 앙카볼트 고정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멍 주위에 형성되는 제1 연결구멍을 구비한 기초플레이트와;
    상기 고정구멍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 2고정구멍과, 중심부에 설치되는 중심측량핀과, 상기 중심측량핀을 중심으로 하여 적어도 1개이상 형성되는 다짐용 구멍과, 상기 중심측량핀과 직교하는 0°, 90°방향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폭(간격)측정핀 및 선형측정핀과, 상기 제 1연결구멍과 동일한 위치 형성되는 제 2연결구멍을 갖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기초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앙카볼트 고정구멍을 통해 앙카볼트가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플레이트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플레이트에 형성된 제 1 및 제2 연결구멍을 통해 연결볼트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핀에 형광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핀 및 연결볼트의 상단에 절단용 링홈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KR2020010015726U 2001-05-28 2001-05-28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KR200244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26U KR200244844Y1 (ko) 2001-05-28 2001-05-28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726U KR200244844Y1 (ko) 2001-05-28 2001-05-28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844Y1 true KR200244844Y1 (ko) 2001-10-15

Family

ID=7306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726U KR200244844Y1 (ko) 2001-05-28 2001-05-28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84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59B1 (ko) * 2001-11-07 2009-09-22 알스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 트랙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임시 타이 플레이트
KR101401326B1 (ko) * 2012-07-27 2014-05-29 한국정밀기계(주) 초대형 공작기계 장비용 레벨링 블록의 공기빼기장치
KR102455356B1 (ko) * 2021-12-01 2022-10-17 주식회사 세온에너지 태양광 패널 설치용 앙카볼트 시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359B1 (ko) * 2001-11-07 2009-09-22 알스톰 콘크리트 슬래브 상에 레일 트랙을 구성하는 방법 및 그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임시 타이 플레이트
KR101401326B1 (ko) * 2012-07-27 2014-05-29 한국정밀기계(주) 초대형 공작기계 장비용 레벨링 블록의 공기빼기장치
KR102455356B1 (ko) * 2021-12-01 2022-10-17 주식회사 세온에너지 태양광 패널 설치용 앙카볼트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779B2 (ja) 乗降場構成体および乗降場設置方法
JP5065341B2 (ja) プレキャスト柱と基礎の接続方法と仮受架台。
CN206562667U (zh) 一种快速就位的柱脚锚栓结构
KR200244844Y1 (ko) 체결수단을 이용한 플레이트
KR100653283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 방법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4825A (ja) 鋼板巻立て耐震補強用鋼板の隙間調整方法
CN210127028U (zh) 龙门吊端头井轨道梁及龙门吊端头井轨道的安装组件
JP3188247B2 (ja) 単管フープ足場及びその仮設工法
JP2002332645A (ja) 地上走行クレ−ンレ−ルの基礎構造および基礎の敷設方法
KR19990073084A (ko) 동바리를받히지않는교량상판콘크리트용거푸집공사방법
CN206554273U (zh) 一种预组装钢柱脚锚栓结构
KR100611722B1 (ko) 도로 및 교량용 난간지주의 설치구조
KR100458945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JPH0352803Y2 (ko)
KR1003470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및 보강장치
KR200188355Y1 (ko) 교량보수용 답판 지지체
KR100339440B1 (ko) 강합성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JP3244102U (ja) スチールハウスの基礎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ンカーセット
CN217298631U (zh) 一种墩侧装配式施工平台
JPH07247557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基礎及び柱型及び地中梁
CN106801470A (zh) 一种快速就位的柱脚锚栓结构
TW419555B (en) Reverse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of erecting steel beam on steel column
JPH082164Y2 (ja) 橋梁床版の補修構造
KR102186078B1 (ko)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한 교대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