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763Y1 -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763Y1
KR200243763Y1 KR2019980015173U KR19980015173U KR200243763Y1 KR 200243763 Y1 KR200243763 Y1 KR 200243763Y1 KR 2019980015173 U KR2019980015173 U KR 2019980015173U KR 19980015173 U KR19980015173 U KR 19980015173U KR 200243763 Y1 KR200243763 Y1 KR 200243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olenoid
valve body
coup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653U (ko
Inventor
최건일
Original Assignee
최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건일 filed Critical 최건일
Priority to KR2019980015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7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763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몸체내의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유입구과 유출구사이에 설치된 밸브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밧데리수단과, 상기 밧데리수단을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하고 밸브수단을 동작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현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수도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0)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밧데리수단(14)이 각각 착탈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2)의 밸브를 거치지 않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에는 이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수동밸브(16)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물을 유출시키거나 전원공급이 중단되었을 시 또는 회로 및 솔레노이드의 고장시에도 물을 유출시킬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착탈 가능케 되어 시공 및 유지보수가 쉽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
본 고안은 자동수도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밸브수도장치는 감지장치에 의해 밸브의 원격개폐작동을 할 수 있고 소형 밧데리를 구비하여 필요시에만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여서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게 되어 있다.
종래 가정, 공중화장실, 빌딩의 수도에 설치되어 있는 이러한 자동수도밸브장치는 몸체와, 전원부 및 밸브가 각각 별도로 분리설치되어 있으며, 감지장치에 사용자의 손이나 몸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유로가 개방되어 물이 유출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자동수도밸브장치는 수돗물의 절약과 위생적인 면에서 많은 수요자의 호평을 받고 있으나, 전원공급이 중단되거나 전자회로 또는 솔레노이드가 고장 나게 되면, 물을 유출시킬 수가 없게 되어, 항시 물을 사용해야 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커다란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자회로 또는 솔레노이드가 고장나면, 수리공을 불러야 하고, 수리가 될 때까지는 물을 쓰지 못하게 되어 많은 불편을 감수하고 있는 형편이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수도밸브장치는 몸체와, 전원부 및 밸브가 각각 별도로 분리설치되어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물을 유출시키거나 전자회로 또는 솔레노이드가 고장났을 시에 물을 유출시킬 수 있으며, 시공 및 유지보수가 쉬운 자동수도밸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도1에서 수동밸브를 제거하고 일부를 잘라 내부를 보인 자동수도밸브장치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밸브몸체의 좌측면도,
도4는 도2의 밸브몸체의 우측면도,
도5는 도1의 수동밸브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자동수도밸브장치의 유로흐름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몸체 12 : 솔레노이드
14 : 밧데리수단 16 : 수동밸브
23 : 바이패스구멍 24 : 제1구멍
26 : 제2구멍 28 : 제3구멍
본 고안에 의한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는,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몸체내의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유입구과 유출구사이에 설치된 밸브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밧데리수단과, 상기 밧데리수단을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하고 밸브수단을 동작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현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수도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밧데리수단이 각각 착탈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밸브를 거치지 않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에는 이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수동밸브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수도밸브장치는 밸브몸체(10)의 좌측에는 솔레노이드(12)가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밸브몸체(10)의 우측에는 밧데리수단(14)이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밸브몸체(10)의 상측에는 수동밸브(1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10)의 후측에는 온수가 유입하는 온수유입구(18) 및 냉수가유입하는 냉수유입구(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밸브몸체(10)의 외부로 물이 유출하는 도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상측부에는 상기 온수유입구(18) 및 냉수유입구(20)에서 유입한 물이 섞이는 혼합실(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혼합실(22)에는 그 중간부에는 상기 수동밸브(16)에 의해 개폐되는 바이패스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구멍(23)의 주변부에는 상기 온수유입구(18)에 연통하는 제1구멍(24)과 상기 냉수유입구(20)에 연통하는 제2구멍(26)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12)로 통하는 제3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의 좌측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유출구(21)에 연통하는 솔레노이드측 유출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출구(30)의 주변에는 상기 제3구멍(28)에 연통하는 솔레노이드측 유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0)의 좌측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의 본체 및 케이스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나사구멍(34)(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몸체(10)의 우측면에는 상기 밧데리수단(14)의 건전지를 수용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건전지 호울더(3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건전지 호울더(38)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어수단이 결합되는 호울더(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우측면의 가장자리에는 밧데리수단(14)의 케이스가 결합되도록 다수의 나사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12)는 전자석, 코일등을 가진 공지의 솔레노이드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 전자석 및 플런저(44)가 수용된 솔레노이드 본체(46)와, 상기 본체(46)를 감싸는 케이스(48)와, 상기 케이스(48)의 좌측단부를 덮는 커버(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몸체(10)의 유출구(3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의 본체(46)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수단(52)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수단(52)은 상기 유출구(30)의 밸브시이트에 다이어프램(54)이 안착되고, 상기 다이어프램(54)에는 상기 플런저(44)의 단부가 밀착하여 유로가 개폐되는 밸브시이트를 구비하며 다이어프램을 잡아주는 다이어프램 호울더(5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 호울더(56)의 중앙에는 상기 유출구(21)로 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이어프램(54)과 다이어프램 호울더(56)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밧데리수단(14)은 케이스(58)의 내부에 건전지(60)가 수용되어 그 개구부는 커버(62)에 의해 막힌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58)에는 사용자의 현존을 감지하여 상기 밧데리수단(14)의 케이스(58)를 상기 솔레노이드(1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밸브수단(52)을 동작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감지수단(64)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호울더(40)에는 상기 감지수다에서 감지된 신호를 처리하여 솔레노이드(12)에 전달하도록 제어판(6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64)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수광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미국특허번호 제4,309,781호에 개시된 적외선 센서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신호가 감지거리내에 있는 사용자에 닿아 반사된 후 수광센서를 통하여 들어오면 사용자를 감지했음을 인식한다.
상기 수동밸브(16)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의 바이스패스구멍에 개폐되는 플런저(68)와, 상기 플런저(68)의 외측에 회전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제1구멍(24) 또는 제2구멍(26)을 선택적으로 막는 콘트롤부재(70)와, 상기 콘트롤부재(70)의 회전시키도록 상기 콘트롤부재(70)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핸들부재(7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런저(68)의 상부에는 손으로 잡고 플런저(68)를 용이하게 당기고 밀도록 손잡이(74)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온수유입구(18) 및 냉수유입구(20)에 각각 통하는 제1구멍(24) 및 제2구멍(26)에는 밸브부시(76)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부재(70)의 외측에는 상기 콘트롤부재(7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78)가 밸브몸체(10)의 개구부 사이에 끼워져 있다.
상기 플런저(68)의 외주면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부재(80)가 원주면를 따라 요입되게 끼워져 있고, 콘트롤 부재(70)의 외주면에도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부재(82)가 원주면를 따라 요입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콘트롤 부재(70)의 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구멍(24)(26)에 정렬되게 구멍이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하여, 물이 상기 제3구멍(28)을 거쳐 솔레노이드(12)로 통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요부를 단순화한 개략도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10)에는 상기 밸브수단(52)을 거치지 않고 상기 혼합실(22)에서 바로 유출구(21)로 통하는 바이패스구멍(23)을 가진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며, 이 바이패스유로에는 이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상기 수동밸브(16)의 플런저(6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냉수유입구(18) 및 온수유입구(20)에 각각 통하는 제1구멍(24) 및 제2구멍(26)에는 회전에 따라 제1, 제2구멍(24)(26)을 선택적으로 막는 콘트롤부재(7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구멍(23)의 일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로 통하는 제3구멍(28)이 형성되며, 상기 제3구멍(28)은 솔레노이드 밸브측 유입구(32)에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32)을 통한 물은 솔레노이드 플런저(44) 및 다아어프램 호울더(56)에 의해 개폐되는 유출구(30)로 흘러 마지막 유출구(21)로 통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6의 단순화한 도면은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자동수도밸브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콘트롤부재(70)를 회전 조작하여 온수유입구(18) 및 냉수유입구(20)로 통해 적당량의 온수 및 냉수가 혼합실(22)에 유입되게 한다. 이때 도5의 패킹부재(82)의 마찰력에 의해 콘트롤부재(70)는 수압을 견디며 조작위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68)로 바이패스구멍(23)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자동수도밸브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한다.
즉, 사용자의 몸이나 손이 감지수단(64)에 의해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는 제어판(66)에 전달되고, 이 제어판(66)은 제어신호를 솔레노이드(12)로 보낸다. 이때 전원은 건전지(60)에서 공급되지만, 어댑터를 매개로 가정용 전원을 공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12)는 그 플런저(44)가 작동하여 다이어프램(54) 및 다이어프램호울더(56)의 작동에 의해 유출구(30)가 열린다. 솔레노이드 의 밸브작동은 공지의 일반적인 작동에 의한다.
따라서, 혼합실(22)내의 물은 상기 제3구멍(28)을 통하여 솔레노이드측 유출구(30)를 통과하여 최종 유출구(21)를 통해 유출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다음에, 솔레노이드(12) 및 제어판의 전자회로가 고장나거나 밧데리수단(14)에서 전원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는 제5도의 손잡이(74)를 잡고 플런저(68)를 상측으로 당기면, 바이패스구멍(23)이 열리고 혼합실(22)내의 물은 이 바이패스구멍(23)을 통한 바이패스통로를 통해 최종 유출구(21)로 유출하게 되어 사용자가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5의 패킹부재(80)의 마찰력에 의해 플런저(68)는 수압을 견디며 조작위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수도 밸브장치에 의하면, 솔레노이드가 고장 나거나 제어판의 전자회로가 고장나거나 솔레노이드에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물을 유출시킬 수가 있게 되어, 항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가 고장나더라도, 수리공을 불러 고칠 때 까지 수동으로 물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항시 물을 사용하는 곳의 불편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수도밸브장치의 몸체와, 전원부 및 밸브가 각각 별도로 분리설치되어 있으므로, 시공 및 유지보수가 쉽다.

Claims (1)

  1.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몸체내의 유로를 개폐를 조절하도록 유입구와 유출구사이에 설치된 밸브수단과, 상기 밸브수단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를 작동하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된 밧데리 수단과, 상기 밧데리 수단을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하고 밸브수단을 동작하여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현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구비한 자동수도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12)의 밸브를 거치지 않고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통하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에는 이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수동밸브(16)가 결합되어 있되,
    상기 밸브몸체(10)의 양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2)와 밧데리수단(14)이 각각 착탈가능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자동수도밸브장치.
KR2019980015173U 1998-08-12 1998-08-12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KR200243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73U KR200243763Y1 (ko) 1998-08-12 1998-08-12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73U KR200243763Y1 (ko) 1998-08-12 1998-08-12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53U KR20000004653U (ko) 2000-03-06
KR200243763Y1 true KR200243763Y1 (ko) 2002-08-08

Family

ID=6952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173U KR200243763Y1 (ko) 1998-08-12 1998-08-12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991B1 (ko) * 2015-01-29 2016-06-22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077B1 (ko) * 2002-03-18 2005-03-18 조한진 상수도 개폐밸브의 자동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991B1 (ko) * 2015-01-29 2016-06-22 (주)케이에스피아이피 전자식 절수형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53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549B2 (en) Faucet system for sanitary fixtures
US7014166B1 (en) Faucet device operatable either manually or automatically
JP5384069B2 (ja) 自動水栓
US10036150B2 (en) Automatic faucet
US6871835B2 (en) Flow control valve with automatic shutoff capability
US11655620B2 (en) Multi-control automatic faucet
KR200243763Y1 (ko) 수동조작이가능한자동수도밸브장치
JP4708969B2 (ja) 自動水栓
US5309941A (en) Auto water supply control valve
JPH0637247Y2 (ja) 自動水栓システム
JP2006169949A (ja) 自動水栓
JP2002250564A (ja) 元止め式電気温水器及び流路切替弁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JP2008031784A (ja) 水圧制御装置および水洗便器用洗浄弁ユニット
KR200402556Y1 (ko) 터치센서를 이용한 절수장치
KR20034964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수도전
KR100870209B1 (ko) Led를 이용한 정수기꼭지 조명 및 개폐장치
JP4663101B2 (ja) 自動水栓
KR102424321B1 (ko) 투웨이 방식 센서를 구비하는 직수 양변기
US20220243438A1 (en) Sensing faucet assembly
KR200325282Y1 (ko) 누수차단 절수형 위생 급수대
JP5918524B2 (ja) 湯水混合水栓
CA1247498A (en) Faucet system
JPH0768713B2 (ja) 自動水栓
JP2003082720A (ja) 自動水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