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735Y1 -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735Y1
KR200243735Y1 KR2020010015849U KR20010015849U KR200243735Y1 KR 200243735 Y1 KR200243735 Y1 KR 200243735Y1 KR 2020010015849 U KR2020010015849 U KR 2020010015849U KR 20010015849 U KR20010015849 U KR 20010015849U KR 200243735 Y1 KR200243735 Y1 KR 200243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glasses
synthetic resin
lens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환
Original Assignee
신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환 filed Critical 신명환
Priority to KR202001001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735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의 렌즈테와 다리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다리연결부의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과 수명연장 및 장식기능을 다양화를 이룩하려는 것으로, 내구성과 수명의 단축 및 다양한 디자인의 한계 등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렌즈테(2)와 다리(3)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1)에 있어서, 다리연결구(4)를 금속재로 된 것을 사용하여 렌즈테(2) 및 다리(3)와 연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다리연결구의 구성을 간단하게 개선함으로써 종래의 내구성의 부족과 나사산의 마모, 디자인의 한계 등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게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한층 다양하고 견고한 안경을 제공하여 안경의 품질향상과 안경산업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A connect part structure of the bows of a pair of spectacles}
본 고안은 안경의 렌즈테와 다리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다리연결부의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과 수명연장 및 장식기능을 다양화를 이룩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근래의 안경은 전체적인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렌즈테와 다리를 모두 합성수지로 구성하는 예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렌즈테에 다리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다리연결구 역시 합성수지로 구성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렌즈테와 다리는 사용이나 작용상에 직접적으로 힘을 받지는 않지만 다리연결구의 경우는 렌즈테와 다리를 연결하여 주면서 다리의 회동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견고한 지지력을 필요로하며, 또한 다리연결구에는 나사를 이용하여 렌즈테 또는 다리를 결합하므로 나사산이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성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다리연결구를 합성수지로 구성하였으므로 견고성이 부족하여 파손이 잦고, 강하게 나사를 체결하면 나사산이 망가져서 오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로 이어졌던 것이다.
또한 다리연결구는 안경의 전반적인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인데, 이를 합성수지로 구성할 경우에는 금속으로 얻을 수 있는 도금에 의한 질감이나 광택, 색채 등을 표현할 수가 없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안경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안출된 본 고안은 렌즈테와 다리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에서의 다리연결부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내구성과 수명의 단축 및 다양한 디자인의 한계 등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경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경
2: 렌즈테
3: 다리
4: 다리연결구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에 의한 안경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렌즈테(2)와 다리(3)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1)에 있어서, 다리연결구(4)를 금속재로 된 것을 사용하여 렌즈테(2) 및 다리(3)와 연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된 부호 5는 조임나사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다리연결구(4)가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자체적으로 내구성이 강화되고 다리연결구(4)에 조임나사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구멍을 형성하여 나사를 강하게 체결하더라도 나사산이 망가지는 경우가 잘 없게 되므로 안경의 수명이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다리연결구(4)를 금속재질로 구성됨에 의해 도금이나 광택처리 등과 같이 합성수지에서는 얻을 수 없은 금속만의 질감이나 색상, 광택 등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장식적인 기능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다리연결구의 구성을 간단하게 개선함으로써 종래의 내구성의 부족과 나사산의 마모, 디자인의 한계 등을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게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한층 다양하고 견고한 안경을 제공하여 안경의 품질향상과 안경산업의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1)

  1. 렌즈테(2)와 다리(3)가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안경(1)에 있어서, 다리연결구(4)를 금속재로 된 것을 사용하여 렌즈테(2) 및 다리(3)와 연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KR2020010015849U 2001-05-29 2001-05-29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KR200243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49U KR200243735Y1 (ko) 2001-05-29 2001-05-29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49U KR200243735Y1 (ko) 2001-05-29 2001-05-29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735Y1 true KR200243735Y1 (ko) 2001-10-17

Family

ID=7310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49U KR200243735Y1 (ko) 2001-05-29 2001-05-29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7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3735Y1 (ko) 안경의 다리연결부 구조
US20050151925A1 (en) Eyeglass assembly and coupling system
KR200252984Y1 (ko) 톱니형 고정부를 갖는 무테 안경다리 및 안경코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101798300B1 (ko) 안경다리 연결 구조체
KR200363919Y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보조 렌즈 부착식 안경의 자석 설치구조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0210356Y1 (ko) 안경 다리 연결구조
KR200347386Y1 (ko) 무테 안경의 렌즈와 프레임 결합구조
KR200332366Y1 (ko) 무테안경 조립용 고정구조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222156Y1 (ko) 안경다리
KR200238996Y1 (ko) 무테안경의 렌즈 고정 결합구조
KR20039529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0354839Y1 (ko)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조립 가능한 부품구조를 갖는 안경
JP3098942U (ja) 木製のハーフリム型フレーム
KR200259954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273953Y1 (ko)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0229456Y1 (ko) 렌즈에 구멍을 내지 않는 무테 안경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290025Y1 (ko) 목재커버를 갖는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