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95Y1 -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 Google Patents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95Y1
KR200243595Y1 KR2020010012878U KR20010012878U KR200243595Y1 KR 200243595 Y1 KR200243595 Y1 KR 200243595Y1 KR 2020010012878 U KR2020010012878 U KR 2020010012878U KR 20010012878 U KR20010012878 U KR 20010012878U KR 200243595 Y1 KR200243595 Y1 KR 200243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case
lever
slid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박경숙
Original Assignee
김종수
박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박경숙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2001001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95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용 현관문에 주로 사용되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을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핀의 눌림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래칫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빠르고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래칫의 방향전환에 따른 래칫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케이스(2)의 전방에 설치되는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데드볼트(21)와 래칫(11)을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조작과 개폐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의 래칫(11)에 결합되어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더(12)에는 상기 케이스(2)에 고정된 가이드핀(13)이 개구부(12c)를 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12b)과, 상기 가이드 홈(12b)의 양측에서 슬라이더(12)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핀(12a)(12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2)의 구동핀(12a)(12a')에 걸리는 구동단부(15b)가 결합공(15a)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된 구동레버(15)에는 돌출핀(16)이 스프링(16a)을 개제시킨 상태로 상기 구동단부(15b)의 상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의 케이스(2)에는 상기 돌출핀(16)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돌출되어 구동레버(15)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호상의 가이드 공(6)과, 상기 구동레버(15)의 회전반경을 단속하는 멈춤핀(17)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A structure for diverting ratchet direction in a lever type door lock}
본 고안은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용 현관문에 주로 사용되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을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핀의 눌림조작에 의하여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래칫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빠르고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래칫의 방향전환에 따른 래칫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의 현관문 등에 주로 사용되는 레버형 도어록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케이스(2) 전방면에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도어가 잠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공(15a)에 결합되는 레버(1)의 회전에 따라 래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켜 선실이나 현관문으로의 상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폐장치와, 키홀(23a)을 구비하는 데드볼트 캠(23)의 회전에 따라 데드볼트(21)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상태와 열림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형 도어록에 설치되는 개폐장치의 래칫(11)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래칫(11)의 경사면이 향하고,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래칫(11)의 평면부가 향하도록 하여, 도어를 닫을 경우에는 래칫(11)의 경사면이 문틈으로 용이하게 밀려 들어가서 별도의 레버(1)조작 없이도 도어를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도어를 열게 될 경우에는 래칫(11)의 평면부가 문틀에 걸리도록 하여 레버(1)를 회전시켜야만 도어를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레버형 도어록에 설치되는 래칫(11)의 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야 하기 때문에, 선박의 선실도어나 가정의 현관문 등에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을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도어록이 설치되는 각 도어의 개폐방향을 일일이 체크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방향에 따라 2 종류을 도어록을 항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래칫(11)의 설치방향과 도어의 개폐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록을 분해하여 래칫(11)을 케이스(2)로부터 빼낸 다음,래칫(11)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도어록을 재결합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록을 별도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래칫의 설치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92년 10월 6일자로 일본 계전산업 주식회사에서 발행된 '모델명 M-700EM 카드키 전기정(電氣錠) 취급설명서'의 제 11페이지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11)의 후방면에 한 쌍의 체결부(11a)를 형성하고, 레버형 도어록의 케이스(2) 일측면에는 상기한 래칫(11)의 체결부(11a)와 대응되는 한 쌍의 체결공(2a)를 형성함으로서, 상기의 래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을 통하여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하고, 래칫(11)의 체결부(11a)와 케이스(2)의 체결공(2a)을 나사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래칫(11)을 도어록의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래칫 전환구조는 래칫(11)을 도어록으로부터 분리 및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체결 방식을 사용함으로서, 래칫(11)의 체결부(11a)와 케이스(2)의 체결공(2a)이 나사(5)의 풀고 조임에 따라 쉽게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래칫(11)이 도어록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나사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흔들리게 되어 래칫(11)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도어록의 전체적인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록에 나사결합된 래칫(11)을 분해하여 래칫(11)의 방향을 전환시킨 다음, 래칫(11)을 다시 도어록에 나사결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한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방향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에 비하여 그다지 짧아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4)와 같은 별도의 도구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는 래칫(11)을 도어록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핀의 눌림조작에 의하여 래칫을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래칫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빠르고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고, 래칫의 방향전환에 따른 래칫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전방에 설치되는 케이스 플레이트의 외부로 데드볼트와 래칫을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조작과 개폐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의 래칫에 결합되어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더에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가이드핀이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서 슬라이더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구동핀에 걸리는 구동단부가 결합공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된 구동레버에는 돌출핀이 스프링을 개제시킨 상태로 상기 구동단부의 상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의 케이스에는 상기 돌출핀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돌출되어 구동레버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호상의 가이드 공과, 상기 구동레버의 회전반경을 단속하는 멈춤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된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에서 래칫과 슬라이더가 코킹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 및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버 2 : 케이스 3 : 케이스 플레이트
4 : 드라이버 5 : 나사 6 : 가이드 공
10 : 개폐장치 11 : 래칫 12 : 슬라이더
12a, 12a' : 구동핀 12b : 가이드 홈 12c : 개구부
13 : 가이드 핀 14 : 토션스프링 14a : 고정핀
15 : 구동레버 15a : 결합공 15b : 구동단부
15c : 지지단부 16 : 돌출핀 16a : 스프링
17 : 멈춤핀 20 : 잠금장치 21 : 데드볼트
22 : 데드볼트 플레이트 23 : 데드볼트 캠 23a : 키홀
24 : 토션스프링 25,25a : 멈춤핀 30 : 레버
31 : 막대부 32 : 레버지지봉 111 : 코킹부
121 : 요홈부 161 : 돌출단 162 : 지지턱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된 레버형 도어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도이고, 도 8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에서 래칫과 슬라이더가 코킹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평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된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케이스(2) 전방면에는 케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2)의 양측면에는 데드볼트 캠(23)의 키홀(23a)과 구동레버(15)의 결합공(15a)이 상하로 노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구동레버(15)의 결합공(15a)이 노출되는 케이스(2)의 일측면 부분에는 돌출핀(16)의 상단이 돌출 삽입된 원호상의 가이드 공(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의 양측면으로 노출되는 데드볼트 캠(23)의 키홀(23a)에는 도시되지 않은 키뭉치가 결합되어, 키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2)에 삽입된 데드볼트 캠(23)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레버(15)의 결합공(15a)에는 도어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레버(30)의 막대부(31)가 결합되어, 레버(30)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2)에 삽입된 구동레버(15)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데드볼트 캠(23)의 회전과 토션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데드볼트 플레이트(22)를 전,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킴으로서 데드볼트(21)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는 잠금장치(20)와, 구동레버(15)의 회전과 토션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2)를 전,후방으로 탄력구동시킴으로서 래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출몰시키는 개폐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2)와 개폐장치(10) 및 잠금장치(20)로 이루어지는 레버형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성 중에서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되는 부분은 상기의 개폐장치(10) 부분이며, 상기의 잠금장치(20)는 일반적인 레버형 도어록의 잠금장치와 동일한 구성과 작용관계를 가지는 것일 뿐만 아니라, 개폐장치(10)와는 별도의 구성과 작용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래칫 전환구조가 설치되는 개폐장치(1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장치(10)의 래칫(11)에 결합되어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더(12)의 후면에는 케이스(2)에 고정된 가이드 핀(13)이 개구부(12c)를 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12b)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2)의 가이드홈(12b) 양측에는 한 쌍의 구동핀(12a)(12a')이 슬라이더(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더(12)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의 개구부(12c)는 래칫(11)에 결합된 슬라이더(12)를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을 통하여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할 경우, 상기한 가이드 핀(13)이 가이드 홈(12b)의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가이드 홈(12b)의 후단부로부터 다소 넓은 간격으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2)의 돌출핀(12a)(12a')에 걸리게 되는 구동단부(15b)가 결합공(15a)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의 구동레버(15)에는 돌출핀(16)이 스프링(16a)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구동단부(15b)의 상면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핀(16)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구동레버(15)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호상의 가이드 공(6)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구동레버(15)의 지지단부(15c)가 걸리게 하여 구동레버(15)의 회전반경을 단속하는 멈춤핀(17)이 케이스(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의 돌출핀(16)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공(6)으로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돌출단(161)과, 케이스(2)의 내측면에서 돌출핀(161)을 지지하는 넓은 직경의 지지턱(16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62)의 하부에 스프링(16a)을 개재시켜 구동레버(15)의 구동단부(15b)속으로 삽입함으로서, 케이스(2)와 구동레버(15)의 사이에서 돌출핀(16)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이드 공(6)을 통하여 돌출핀(16)이 케이스(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멈춤핀(17)은 구동레버(15)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15)의 지지단부(15c)가 멈춤핀(17)에 걸리게 될 경우, 구동레버(15)의 구동단부(15b) 선단이 슬라이더(12)에 형성된 구동핀(12a)(12a')의 이동궤도를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서 케이스(2)에 고정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의 작용관계를 래칫 전화구조가 설치되는 개폐장치의 작용관계와 함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는 래칫(11)의 후면부에 걸려 있는 토션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칫(11)이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의 닫힘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닫힘조작 상태에서 구동레버(15)의 결합공(15a)에 결합되는 레버(30)를 사용하여 구동레버(15)를 도면상에서 우회전(시계방향)시키게 되면, 돌출핀(16)이 삽입된 원호상의 가이드 공(6)을 따라 구동레버(15)가 우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구동단부(15b)가 구동핀(12a)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더(12)가 가이드 핀(13)을 따라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래칫(11)이 케이스(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됨으로서, 도 4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열림조작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구동레버(15)의 결합공(15a)에 결합되는 레버(30)를 놓게 되면, 래칫(11)의 후면부에 걸려 있는 토션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칫(11)이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래칫(11)에 결합된 슬라이더(12)가 가이드 핀(13)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됨으로서, 슬라이더(12)의 구동핀(12a)이 구동레버(15)의 구동단부(15b)를 밀게 되어 구동레버(15)가 가이드 공(6)을 따라 최초의 위치로 복원됨과 동시에 슬라이더(12)에 결합된 래칫(11)이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면으로 돌출되어 도 4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도어의 닫힘조작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의 열림조작과 닫힘조작을 수행하는 개폐장치(10)의 래칫(11) 방향을 전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핀(16)의 돌출단(161)이 가이드 공(6)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돌출단(161)의 상면을 손가락이나 끝이 뾰족한 도구 등을 사용하여 눌리게 되면, 돌출핀(16)의 지지턱(162)이 스프링(16a)을 압축하여 하방으로 내려가게 됨으로서 도 5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돌출핀(16)의 돌출단(161)이 케이스(2)의 내측면으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레버(15)를 도면상에서 좌회전시키게 되면, 돌출핀(16)의 돌출단(161)이 가이드 공(6)에 걸리지 않고 케이스(2)의 내측면을 따라 들어가게 됨으로서, 구동레버(15)의 지지단부(15c)가 멈춤핀(17)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구동레버(15)의 구동단부(15b)가 구동핀(12a)의 이동궤도에서 벗어난 상태가 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으로 돌출된 래칫(11)을 잡아당기게 되면, 래칫(11)과 슬라이더(12)가 케이스 플레이트(3)를 통하여 케이스(2)의 내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레버(15)의 지지단부(15c)가 멈춤핀(17)에 걸릴 때 까지 구동레버(15)를 좌회전시킨 다음,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2)의 내부로부터 분리하여도 되지만, 돌출핀(16)의 돌출단(161)이 가이드 공(6)에 걸리지 않도록 돌출핀(16)만을 눌림조작한 상태에서 래칫(11)을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으로 잡아 당기더라도, 슬라이더(12)의 구동핀(12a)이 구동단부(15b)를 밀면서 구동레버(15)를 좌회전으로 자유회전시키게 됨으로서,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2)로부터 분리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11)의 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전환시킨 다음,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다시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래칫(11)의 후면부에 토션스프링(14)의 일단이 걸리게 됨과 동시에 슬라이더(12)의 후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2c)를 통하여 가이드 핀(13)이 가이드 홈(12b)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2)의 내부로 계속 삽입하여, 도 6의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칫(11)과 슬라이더(12)가 케이스(2)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레버(15)를 도면상에서 우회전시키게 되면, 구동단부(15b)에 삽입된 돌출핀(16)의 돌출단(161)이 가이드 공(6)을 통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됨으로서 구동레버(15)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레버(1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케이스(2)의 내부로 밀어넣은 래칫(11)을 놓게 되면, 토션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칫(11)이 케이스 플레이트(3)의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슬라이더(12)의 구동핀(12a')이 구동레버(15)의 구동단부(15b)에 걸리게 되어, 도 4의 (가)에 도시된 초기상태로복원됨으로서 개폐장치(1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에서 래칫(11)과 슬라이더(12)가 코킹(Caulking)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에 대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래칫 전환구조에서 래칫(11)과 슬라이더(12)가 코킹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은 도 8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12c)와 가이드 홈(12b)이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 홈(12b)의 양측으로는 한 쌍의 구동핀(12a)(12a')이 각각 상하로 돌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12)의 선단부를 래칫(11)의 폭보다 다소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더(12)의 선단부 양측에는 요홈부(121)를 형성하며, 상기와 같이 요홈부(121)가 형성된 슬라이더(12)의 선단부를 래칫(11)의 후방으로 삽입하여 요홈부(121)에서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일체로 코킹(Caulking: 두 물체를 정이나 기타 도구로 때려 박아서 일체로 결합하는 방식)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코킹결합하여 형성하는 것은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2)의 내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래칫(11)과 슬라이더(12)가 일반적인 핀결합이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면,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케이스(3)의 내부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 핀 또는 나사결합된 부분이 케이스 플레이트(3)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래칫(11)의 표면에 오목한 코킹부(111)만이 형성되고, 래칫(11)의 표면 외부로는 돌출되는 부분이 없는 코킹결합에 의하여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케이스(2)의 내부로부터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핀(16)의 눌림조작에 의하여 래칫(11)을 슬라이더(12)와 함께 케이스(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나사의 풀고 조임에 의하여 래칫(11)의 설치방향을 전환시켰던 종래의 래칫 전환구조에 비하여 래칫(11)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매우 손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되고,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래칫(11)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칫(11)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구동레버(15)측에 설치된 돌출핀(16)만을 눌림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래칫(11)의 방향전환에 따른 래칫(11)의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고, 특히 래칫(11)과 슬라이더(12)를 코킹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래칫(11)을 케이스(2)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래칫(11)에 가해지는 사소한 충격까지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래칫과 도어록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는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핀의 단순한 눌림조작에 의하여 래칫을 슬라이더와 함께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래칫의 설치방향을 도어의 개폐방향에 맞추어 매우 손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래칫의 설치방향을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래칫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구동레버측에 설치된 돌출핀만을 눌림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래칫의 방향전환에 따른 래칫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래칫과 슬라이더를 코킹결합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래칫을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소한 충격까지 방지하여 래칫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이로 인하여 도어록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2)의 전방에 설치되는 케이스 플레이트(3)의 외부로 데드볼트(21)와 래칫(11)을 출몰시켜 도어의 잠금조작과 개폐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의 래칫(11)에 결합되어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되는 슬라이더(12)에는 상기 케이스(2)에 고정된 가이드핀(13)이 개구부(12c)를 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12b)과, 상기 가이드 홈(12b)의 양측에서 슬라이더(12)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구동핀(12a)(12a')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12)의 구동핀(12a)(12a')에 걸리는 구동단부(15b)가 결합공(15a)을 중심으로 연장 형성된 구동레버(15)에는 돌출핀(16)이 스프링(16a)을 개제시킨 상태로 상기 구동단부(15b)의 상면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의 케이스(2)에는 상기 돌출핀(16)의 상단이 탄력적으로 돌출 삽입되어 구동레버(15)의 회전을 안내하는 원호상의 가이드 공(6)과, 상기 구동레버(15)의 회전반경을 단속하는 멈춤핀(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2)의 선단부 양측에는 요홈부(121)를 형성하여, 상기의 래칫(11)이 슬라이더(12)의 요홈부(121)에서 슬라이더(12)와 일체로 코킹(Caulking)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KR2020010012878U 2001-05-03 2001-05-03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KR200243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78U KR200243595Y1 (ko) 2001-05-03 2001-05-03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878U KR200243595Y1 (ko) 2001-05-03 2001-05-03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078A Division KR100397510B1 (ko) 2001-04-14 2001-04-14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95Y1 true KR200243595Y1 (ko) 2001-10-12

Family

ID=7310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878U KR200243595Y1 (ko) 2001-05-03 2001-05-03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97B1 (ko) * 2007-07-12 2009-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다이내믹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597B1 (ko) * 2007-07-12 2009-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드라이브 샤프트의 다이내믹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6236A (en) Front gate and latch assembly for the guide body of an industrial fastener driving tool
US6834432B1 (en) Pocket knife with lock design
US20060232078A1 (en) Reversible latch bolt
US8720860B2 (en) Hammer with leverage No. II
KR20070044484A (ko) 압축 래치 메커니즘
US4911485A (en) Latch structure
JP4597370B2 (ja) 急速組付及び分解装置
CA2127851A1 (en) Easy fastener jam removal tool
TWI633232B (zh) 多點緊固式鎖系統及使用該鎖系統的防爆門
KR200243595Y1 (ko)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KR100397510B1 (ko) 레버형 도어록의 래칫 전환구조
US20080072716A1 (en) Tool structure
KR100686609B1 (ko) 도어 록 장치
CN108729767B (zh) 一种智能锁锁体
CA3118011A1 (en) Handle of manual operation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EP0342293A1 (en) Hinge
US6435061B1 (en) Ratchet screwdriver
US6851341B2 (en) Locking drive tool
JP2002242140A (ja) 遮断バー取付装置
US8528441B2 (en) Handle for latching mechanism
US20150183094A1 (en) Replaceable jaw members for pliers
KR101789685B1 (ko) 래치볼트 분리형 도어락 모티스
CN216517344U (zh) 一种暗执手
KR200245845Y1 (ko) 연료캡 개방레버와 트렁크 리드 레버의 결합 구조
KR200227975Y1 (ko) 레버형 도어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