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60Y1 -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 Google Patents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60Y1
KR200243560Y1 KR2020010010696U KR20010010696U KR200243560Y1 KR 200243560 Y1 KR200243560 Y1 KR 200243560Y1 KR 2020010010696 U KR2020010010696 U KR 2020010010696U KR 20010010696 U KR20010010696 U KR 20010010696U KR 200243560 Y1 KR200243560 Y1 KR 200243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n
chair
ba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종
Original Assignee
동성사무기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사무기기(주) filed Critical 동성사무기기(주)
Priority to KR2020010010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60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좌판이 글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락감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프레임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에 의해 좌판이 고정되는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을 통해 연장편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와, 상기 연장편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연장편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의 고정프레임 바닥면에 고정브라켓을 돌설하고 이에 작동로드를 축설한 후 작동로드와 접촉되는 공압조절바를 갖는 가스실린더를 설치하되, 가스실린더의 실린더로드 단부를 삼각링크중심핀에 연결된 연결간과 연결구속시켜 등받이프레임의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의자 사용환경을 크게 고양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GAS CONTROL TYPE BASE FOR A CHAIR WHICH IS ADJUSTED ANGLE OF BACK OF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하면서 좌판이 글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함과 안락감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직립하는 다리에 고정 결합되는 좌판부를 형성하고 이 좌판부의 뒤쪽으로 등받이를 연장형성하도록 하여 구성되는데, 사무용 의자나 버스 및 기차 등에 설치되는 의자 그리고 가정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의 의자는 상기 좌판부 및 등받이가 통상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좌판부와 등받이가 사용자의 착좌상태에 따라 유동될 수 있는 구조의 의자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본 고안은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경향에 부응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27735호 '등받이 록킹장치와 좌판부 부상장치를 구비한 의자' 및 동 등록번호 제135183호 '등받이 조절장치가 부착된 의자용 링크기구'를 더욱 개선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후단부에 등받이 프레임(31)의 하단이 고정결합되고, 선단부에는 삼각링크(35)의 일측과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삼각링크핀(13)이 연결설치되며, 중앙부가 고정프레임(10)의 좌우측벽에 고정되는 중앙핀(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링크(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하여, 등받이 프레임(31)에 지지된 등받이가 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힘을 가하면 등받이 프레임(31)의 하단에 결합된 슬라이드링크(30)의 후단부가 슬라이드링크 중앙핀(1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드링크(30)에 연결링크핀(51)으로 연결구속되어 있는 연결링크(50)의 하측이 하강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되며, 동시에 베이스(20)에 연결링크핀(52)으로 연결구속되어 있는 상기 연결링크(50)의 상측은 하강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뒤쪽이 앞쪽보다 낮은 높이상에 위치되는 상태로 경사지게 놓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링크(30)의 전반부는 슬라이드링크 중앙핀(11)을 중심으로 회동상승하여 슬라이드링크(30) 선단부에 삼각링크핀(14)을 통해 구속되어 있는 삼각링크(35)가 그 회전중심인 삼각링크 중심핀(12)을 중심으로 회전연동하면서 상기 베이스(20)의 선단부를 상향이동시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한 링크기구는 등받이 프레임(31)에 설치 지지된 등받이가 후방으로 밀릴 때 베이스(20)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동시에 베이스(20)의 선단부는 상승되고 후단부는 하강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좌자세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등받이의 위치가 등받이 프레임(31)의 탄성에 의해 항상 원상태로 복귀되어 사람의 체형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등받이위치에서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27735호 '등받이 록킹장치와 좌판부 부상장치를 구비한 의자'에서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선단 일측에 연장부(10-1)를 형성하고 가스실린더(10-2)를 설치한 후 가스실린더(10-2)에 연결된 실린더로드(10-3)를 삼각링크(35)에 연결구속시켜 등받이 프레임(31)의 각도변위와 대응되게 변위작동되는 상기 삼각링크(35)를 일정위치에서 고정토록 함으로써 의자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코자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베이스는 가스실린더(10-2)를 별도 외장하기 위한 연장부(10-1)가 요구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외관이 미려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스실린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간단한 레버조작에 의해 등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스실린더를 내장시킴으로써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용이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구유하여 더욱 편안하고 안락한 의자 사용환경을 유도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은 고정프레임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에 의해 좌판이 고정되는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을 통해 연장편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와, 상기 연장편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연장편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중앙핀과 삼각링크핀을 연결구속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중앙핀에 인접하여 고정프레임의 바닥면에 돌설된 한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배설된 각도조절레버와 연동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가능한 공압조절바를 갖고 연결링크핀에 걸려고정된 가스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가스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연결되고 타단은 삼각링크중심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연결간을 포함하여 구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의자용 베이스의 내부 구조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일예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상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정프레임 130 : 중앙핀
200 : 베이스 300 : 등받이프레임
310 : 연장편 320 : 장공
330 : 연결링크 332,334 : 연결링크핀
340 : 고정브라켓 342 : 작동로드
350 : 가스실린더 352 : 실린더로드
356 : 공압조절바 380 : 연결간
400 : 삼각링크 420,422 : 삼각링크핀
430 : 탄성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베이스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따르면, 고정프레임(100)은 의자의 좌판 하단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 축공(110)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10)에는 은선으로 도시한 지지축(112)이 삽설된다.
상기 지지축(112)은 높낮이조절레버(360)에 의해 상기 축공(110) 속으로 삽입되는 길이가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축공(110) 일측 인접위치에는 '∪'형상의 지지요홈부(12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요홈부(120)와 거리를 두고 또하나의 지지요홈부(12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지요홈부(120)에는 후술할 중앙핀(130)이 거치되는 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면에 상기 중앙핀(130)의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길이 일부가 상기 지지요홈부(120)에 안착되어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요홈부(122)에는 상기 중앙핀(1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술할 삼각링크중심핀(41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양측면에 그 양단이 고정된 채 거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고정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설된 연장편(310)을 갖는 등받이프레임(300)이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후단부, 즉 상기 지지요홈부(122)의 대향단측에 설치된다.
상기 등받이프레임(300)은 착좌시 신체의 일부, 예컨대 등이나 허리 등이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받쳐주는 등받이를 지지 고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연장편(310)은 상기 등받이프레임(300)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그 길이를 대략 3등분하여 각각 연결링크핀(334), 중앙핀(130), 삼각링크핀(422)이 차례로 그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각 핀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각 핀(334,130,422)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구멍이 천공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연장편(310)의 단부인상기 삼각링크핀(422)이 결합되는 부위의 구멍은 유격을 갖도록 장공(3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공(320)에는 삼각링크(400)를 지지하는 삼각링크핀(422)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삼각링크(400)는 삼각링크중심핀(410)과 두개의 삼각링크핀(420,422)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삼각링크(4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삼각링크중심핀(410)과 하나의 삼각링크핀(420)의 양단은 각각 고정프레임(100)과 베이스(200)의 폭방향 양단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의 삼각링크핀(422)은 상기 연장편(310)의 선단에 형성된 장공(320)에 그 일부가 삽입되어 아이들(IDLE)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삼각링크핀(420)과 중앙핀(130) 사이에는 한쌍의 탄성스프링(430)이 연결되어 상기 삼각링크(400)가 탄성이동가능하게 하여준다.
한편, 연장편(310)의 중앙부 하측인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는 서로 이격된 한쌍의 고정브라켓(340)이 돌출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40) 사이에는 부채꼴형상의 작동로드(342)가 회전축(34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346)은 각도조절레버(370)와 일체로 연결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레버(37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브라켓(340)에 축설된 작동로드(342)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작동로드(342)의 일측면은 공압조절바(356)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압조절바(356)는 실린더로드(352)를 관통하여 가스실린더(350)의 가스압을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스실린더(350)에 연결된다.
상기 가스실린더(350)는 고정프레임(100)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길이방향, 즉 고정프레임(100)의 횡방향으로 배설되며, 그 후단은 후술할 연결링크핀(3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선단인 실린더로드(352)는 연결간(380)을 관통하여 고정볼트(354)에 의해 견실히 지지고정된다.
상기 연결간(380)은 'ㄷ'형상의 부재로서 대략 상향만곡진 형상을 갖는다.
연결간(380)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로드(352)가 관통되어 볼트고정되고 타단은 삼각링크중심핀(410)에 고정된다.
공압조절바(356)는 실린더로드(352)의 단부로부터 상기 연결간(38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로드(342)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작동로드(342)가 공압조절바(356)를 터치하여 밀게되면 가스실린더(350) 내부의 공압작동을 해제하여 실린더로드(352)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주고 반대로 접촉을 차단하게 되면 자체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면서 공압을 작동시켜 실린더로드(352)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가스실린더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아울러, 상기 삼각링크(400)가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00)의 대향단부에는 연결링크(330)가 구비되는 바, 상기 연결링크(330)는 두개의 연결링크핀(332,33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링크핀(332,334)중 하나는 베이스(200)의 양단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등받이프레임(300)과 연결된 연장편(310)을 관통하여 아이들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의자용 베이스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7에서와 같이, 각도조절레버(37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등받이(B)를 뒤쪽으로 젖히게 되면, 즉 '가'방향으로 밀게 되면 좌판(S)은 사선방향, 즉 '나'방향으로 글라이딩(GLIDING)되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370)의 선단과 연결된 작동로드(342)가 각도조절부재(370)의 회전방향으로 동시 회전되면서 공압조절바(356)를 터치하게 되고, 상기 공압조절바(356)가 작동되면서 가스실린더(350) 내의 공압이 해제되어 실린더로드(352)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6에서와 같이 등받이프레임(300)이 '가'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 연장편(310)은 그 중앙부의 중앙핀(130)을 중심으로 그 선단이 시계방향으로 상향이동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연장편(310) 선단의 장공(320)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어 있던 삼각링크핀(422)이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상향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삼각링크핀(422)과 연결구속되어 있던 삼각링크(400)가 그 삼각링크중심핀(41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동시에 또다른 삼각링크핀(420)과 연결되어 있던 탄성스프링(430)이 인장되면서 베이스(200)를 '나'방향으로 글라이딩시키게 된다.
베이스(200)의 글라이딩에 의해 상기 베이스(200)상에 고정되어 있던좌판(S)이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베이스(200)의 글라이딩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연결링크(330)가 작동된다.
즉, 등받이프레임(300)의 작동에 의해 삼각링크(400)가 동작되면서 동시에 연장편(310)의 후단부를 구속하고 있던 연결링크(330)는 삼각링크(400)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향이동(후퇴)되게 된다.
또한, 동시에 연결간(380)과 가스실린더(350)는 삼각링크중심핀(400) 및 연결링크핀(332)을 중심으로 연결간(380)과 가스실린더(350)가 연결된 가운데 부분이 약간 상향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좌에 편안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위치고정을 위해 상기 각도조절레버(370)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공압조절바(356)를 누르고 있던 작동로드(342)가 공압조절바(356)로부터 이탈되면서 공압이 작동되어 실린더로드(352)가 고정되게 되고 이로 인해 등받이프레임(300)은 위치 변경된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착좌상태에 따라 의자 등받이(B)의 미세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등받이를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의자 사용환경을 극대화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둘째, 등받이의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고정프레임(100)과, 그 중앙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내부 일측에 중앙핀(13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단부에는 등받이프레임(300)의 단부가 고정되는 연장편(310)과, 그 일부는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선단 내벽에 삼각링크중심핀(4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부는 삼각링크핀(420)에 의해 좌판(S)이 고정되는 베이스(2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나머지 일부는 삼각링크핀(422)을 통해 연장편(310)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삼각링크(400)와, 상기 연장편(310)의 후단부에 연결링크핀(332,334)을 통해 상기 베이스(200)와 연장편(31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구속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링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용 베이스에 있어서,
    상기 중앙핀(130)과 삼각링크핀(420)을 연결구속하는 탄성스프링(430)과; 상기 중앙핀(130)에 인접하여 고정프레임(100)의 바닥면에 돌설된 한쌍의 고정브라켓(34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배설된 각도조절레버(370)와 연동되도록 이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된 작동로드(342)와; 상기 작동로드(342)와 접촉가능한 공압조절바(356)를 갖고 연결링크핀(332)에 고정된 가스실린더(350)와; 일단은 상기 가스실린더(350)의 실린더로드(352)와 연결되고 타단은 삼각링크중심핀(4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연결간(3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KR2020010010696U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KR200243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96U KR200243560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696U KR200243560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60Y1 true KR200243560Y1 (ko) 2001-10-11

Family

ID=73081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696U KR200243560Y1 (ko) 2001-04-16 2001-04-16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6B1 (ko) * 2001-08-28 2004-08-04 이종환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
KR100872907B1 (ko) * 2007-04-05 2008-12-10 김명희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536B1 (ko) * 2001-08-28 2004-08-04 이종환 회전의자의 작동레버 설치구조
KR100872907B1 (ko) * 2007-04-05 2008-12-10 김명희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조정이 가능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310B2 (ja) 幼児用椅子
JPH0520199Y2 (ko)
US5192114A (en) Tilt adjustment control for a chair
US6540300B2 (en) Armrest for chair, armchair or similar, a chair using said armrest
JP3278170B2 (ja) 椅子用フレーム構造、調節機構およびパッド付きカバー
CA2319498A1 (en) Multi-position chair control mechanism for synchronously adjusting the seat and backrest of a chair
CA2368923A1 (en) Office chair
EG22759A (en) Armchair with variable position
ITTO990476A1 (it) Sedia con sedile e schienale oscillanti in modo sincronizzato
US20030015900A1 (en) Leisure chair capable of reclining, rocking and swiveling movements
KR200243560Y1 (ko)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가스식 의자용 베이스
JP3553301B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JP2592766B2 (ja) 椅 子
KR200292591Y1 (ko)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의 연동 및 록킹구조
KR200243559Y1 (ko) 등받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의자용 베이스
KR200382313Y1 (ko) 의자의 각도조절장치
CN213962558U (zh) 支撑机构及家具
JP2001029169A (ja) 椅子の支持装置
JP2003310377A (ja) 椅子用ガススプリング
KR200243561Y1 (ko) 틸팅 의자용 베이스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KR200202223Y1 (ko) 의자 좌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절장치
CN217448385U (zh) 一种按摩椅
CN219125786U (zh) 一种带有可多角度翻转的脚托的午休椅
KR200163803Y1 (ko)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