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803Y1 -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 Google Patents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803Y1
KR200163803Y1 KR2019990013846U KR19990013846U KR200163803Y1 KR 200163803 Y1 KR200163803 Y1 KR 200163803Y1 KR 2019990013846 U KR2019990013846 U KR 2019990013846U KR 19990013846 U KR19990013846 U KR 19990013846U KR 200163803 Y1 KR200163803 Y1 KR 2001638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onnection points
headboard
pla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김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섭 filed Critical 김정섭
Priority to KR2019990013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8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8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8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2Head or foot board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침대에 관한 것이며, 프레임(10), 머리판(20) 및 매트리스(30)를 포함하는 침대(1)로서, 머리판(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1)의 일 예는 머리판(20)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판(21)과 하판(21)에 힌지결합되는 상판(22)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각도조절장치(40)는 다수의 잭부재(50)와 단일의 조절봉(90)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잭부재(50)는 4개의 바(51)가 마름모 형상으로 연결되어 좌우 연결점들(52H)의 간격을 변화시키면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L)가 변화되고, 좌우 연결점(52H) 중 하나에는 나사구(61)가 형성된 이동편(60)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연결점(52H) 중 다른 하나에는 관통구(71)가 형성된 고정편(70)이 설치되어 있다. 잭부재들(50)은 하부 브래킷(80A)과 상부 브래킷(80B)에 의해 하판(21)과 상판(22) 사이에 힌지연결된다. 조절봉(90)은 잭부재(50)의 이동편들(60)의 나사구(61)에 나사결합되고 고정편들(70)의 관통구(7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조절봉(90)은 고정편들(70)에 대해 좌우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 가능한 머리판을 구비한 침대{Bed Having Angle Adjustable Head Board}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가정용 침대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판(head board)의 각도를 사용자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서 보다 안락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각도조절 가능한 머리판을 구비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침대는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가구로서 안락한 수면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건을 갖출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피로회복을 위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있을 것, 보온성이 있을 것, 유연한 촉감을 가지는 동시에 구조나 재료의 내구성이 있을 것, 자세를 바로잡을 수 있는 적당한 쿠션이 있을 것, 신체의 중심선이 안정된 형태로 놓일 수 있을 것 등이 요구되고 있다.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가정용 침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가정용 침대(100)는 전체의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상단에 부착되어 머리쪽 경계를 형성하는 머리판(120), 및 프레임(110)에 설치한 바닥(bottom)에 올려서 적절한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리스(1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표준형 유럽식 침대의 경우에는 프레임(110)의 하단에 발판(도시생략)을 부착하여 다리쪽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침대는 주로 취침 시에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누어 있는 자세로 있는 때가 많기는 하지만, 텔레비전 시청을 시청하거나 독서 또는 담소를 나눌 경우와 같이 눕지 않고 앉아 있는 때도 자주 있다.
침대에 눕지 않고 앉아 있을 때에는 주로 쿠션이나 베개를 등뒤에 깔고 머리판에 기대어 있는 때가 많은 데, 종래의 가정용 침대(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특성과 취향에 맞는 편안한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없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이 있다. 즉, 종래의 가정용 침대(100)의 경우 머리판(120)이 프레임(110)에 일정한 각도(일반적으로 90°)로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특성에 맞지 않은 불편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밖에 없어 쉽게 피곤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머리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종래의 가정용 침대가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리판의 각도를 사용자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대에 보다 안락한 자세로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가능한 머리판을 구비한 예시적인 침대의 사시도,
도2는 예시적인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
도3은 이동편의 상세도,
도4는 고정편의 상세도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가정용 침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에 따라 머리판에 각도조절장치가 장착된 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하중을 들어올리는 데 사용되는 잭(jack)이나 자동차의 시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클라이닝 너클(reclining knuckle)과 같은 기구를 적절히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침대의 일 예는, 머리판이 침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판과 다수의 경첩에 의해 하판에 접철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판으로 구성되고, 하판과 상판 사이에는 하판에 대한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본 구체예의 침대에 적용되는 각도조절장치는 다수의 잭부재와 단일의 조절봉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잭부재는 4개의 바가 마름모 형상으로 연결되어 좌우 연결점들의 간격을 변화시키면 상하 연결점 사이의 거리가 변화된다. 좌우 연결점 중 하나에는 나사구가 형성된 이동편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연결점 중 다른 하나에는 관통구가 형성된 고정편이 설치되어 있다. 각 잭부재는 하부 브래킷과 상부 브래킷에 의해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힌지연결되어 잭부재의 위치변화가 자연스럽게 수용된다. 조절봉은 이동편들의 나사구에 나사결합되고 고정편들의 관통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편, 조절봉은 고정편들에 대해 좌우이동이 제한되어 있다.
이로써, 조절봉을 회전시키면 조절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편과 조절봉에 위치 고정된 고정편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어 잭부재의 상하 거리가 변화되고, 결국 하판을 기준으로 상판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내려 하판에 대한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절봉은 그 양단에 형성된 노브를 손으로 돌리거나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를 가동하여 적절히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가능한 머리판을 구비한 예시적인 침대의 사시도, 도2는 예시적인 각도조절장치의 사시도, 도3은 이동편의 상세도, 도4는 고정편의 상세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1)는 통상적인 가정용 침대와 마찬가지로 전체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상단에 부착되어 머리쪽 경계를 형성하는 머리판(20) 및 프레임(10)에 올려져 적절한 쿠션을 제공하는 매트리스(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머리판(20)에는 침대 사용자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머리판 각도조절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구체예는, 머리판(20)을 프레임(10)에 고정된 하판(21)과 다수의 경첩(23)에 의해 하판(21)에 힌지결합된 상판(22)으로 분리 구성하고, 각도조절장치(40)를 하판(21)과 상판(22) 사이에 설치하여 각도조절장치(40)를 조작하면 경첩(23)을 중심으로 상판(22)이 하판(21)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머리판(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각도조절장치(40)는 다수의 잭부재(50)와 단일의 조절봉(9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잭부재(50)는 마름모 형상으로 연결된 4개의 바(51), 이동편(60), 고정편(70), 하부 브래킷(80A) 및 상부 브래킷(80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각의 잭부재(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름모꼴을 형성하는 4개의 바(51)는 4개의 연결점들(52)이 모두 힌지핀(5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대각의 연결점(52) 사이의 거리와 간격을 자유로이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좌우 연결점(52H) 사이의 간격을 좁히고 넓힘에 따라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L)를 크게 또는 작게 할 수 있다.
잭부재(50)의 좌우 연결점(52H) 중 하나(예, 좌측 연결점)에는 나사구(61)가 관통 형성된 이동편(60)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연결점(52H) 중 다른 하나(예, 우측 연결점)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관통구(71)가 형성된 고정편(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편들(60)의 나사구(61)와 고정편들(70)의 관통구(71)에는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절봉(90)이 삽입된다.
잭부재(50)의 상하 연결점(52V)에는 각각 하부 브래킷(80A)과 상부 브래킷(80B)이 힌지핀(5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부 브래킷(80A)과 상부 브래킷(80B)은 예를 들어 나사못(81)으로 각각 하판(21)과 상판(22)의 적절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좌우 연결점(52H)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켜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L)를 변화시키면, 하부 브래킷(80A)과 상부 브래킷(80B)에 각각 고정된 하판(21)과 상판(22)이 당겨지거나 밀어 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며, 이때 하판(21)은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판(22)이 경첩(23)을 중심으로 하판(21)에 대하여 회동하게 된다.
좌우 연결점(52H) 사이의 간격 조절에 의한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L) 조절은, 전체 잭부재들(50)에 걸쳐 삽입 설치되는 단일의 조절봉(90)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이동편들(6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나사(91)가 형성된 조절봉(90)은 잭부재들(50)에 구비된 이동편들(60)의 모든 나사구(61)와 고정편들(70)의 모든 관통구(71)를 통해 삽입된다. 이때 조절봉(90)의 나사(91)는 이동편들(60)의 나사구(61)에 나사체결된다(도3 참조). 또한 조절봉(90)은 고정편들(70)의 관통구(7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한편 고정편들(7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한되어 있다(도4 참조).
관통구(71)의 내경은 조절봉(9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관통구(71) 내에서 조절봉(90)이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고, 고정편(70) 양측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절봉(90)에 관통구(71)의 내경보다 큰 걸림돌기(92)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편(70)에 대해 조절봉(90)이 좌우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아도 걸림돌기(92)가 고정편(70)에 걸려 그 좌우이동이 제한된다. 도3과 도4에서 도면부호 62와 72는 좌우 연결점(52H)에서 바(51)를 힌지열결하기 위한 힌지핀(53)이 체결되는 나사공이다.
이상과 같은 다수의 잭부재(50)와 단일의 조절봉(90)의 결합관계에 따라, 조절봉(9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편들(70)은 조절봉(90)의 일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이동편들(60)이 조절봉(90)을 따라 좌로 이동하게 되므로, 모든 잭부재(50)의 좌우 연결점(52H)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며, 결국 상판(22)이 아래로 당겨져서 머리판(20)의 경사가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조절봉(9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편들(70)은 조절봉(90)의 일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이동편들(60)이 조절봉(90)을 따라 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모든 잭부재(50)의 좌우 연결점(52H)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며, 결국 상판(22)이 위로 밀려서 머리판(20)의 경사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침대 사용자는 조절봉(90)을 적절히 회전시켜 머리판의 경사를 본인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조절봉(90)의 회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봉(90)의 양단에 형성된 노브(93)를 손으로 돌리는 수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적절한 비율의 기어나 체인(95)을 통해 조절봉(9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감속모터(94)를 조절봉(90)에 인접 설치하는 전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전동식의 경우, 전원공급 및 모터의 회전방향을 조절하는 스위치부(도시생략)는 사용자의 손이 잘 닿는 곳에 설치된다.
도1에 있어서는 잭부재(50)가 머리판(20)에 2개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잭부재(50)의 수는 머리판(20)의 크기, 상판(22)이 받는 하중, 잭부재(50)의 강도 등에 따라 1개 이상 다수개 설치할 수 있으며, 2개 또는 3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머리판(20)의 각도조절장치(40)로서 잭기구를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침대(1)에는 자동차의 시트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리클라이닝 너클을 각도조절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공지의 리클라이닝 너클을 사용하여 머리판을 프레임에 장착하면 레버의 작동으로 머리판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리클라이닝 너클에 관한 구성은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 가능한 머리판을 구비한 침대에 의하면, 침대 사용자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머리판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락하고 편한 자세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레임(10), 머리판(20) 및 매트리스(30)를 포함하는 침대(1)에 있어서, 상기 머리판(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판(20)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하판(21)과 상기 하판(21)에 힌지결합되는 상판(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장치(40)는:
    4개의 바(51)가 마름모 형상으로 연결되어 좌우 연결점들(52)의 간격을 변화시키면 상하 연결점(52V) 사이의 거리(L)가 변화되고, 상기 좌우 연결점(52H) 중 하나에는 나사구(61)가 형성된 이동편(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 연결점 중 다른 하나에는 관통구(71)가 형성된 고정편(70)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브래킷(80A)과 상부 브래킷(80B)에 의해 상기 하판(21)과 상기 상판(22) 사이에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잭부재(50); 및 상기 이동편들(60)의 나사구(61)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편들(70)의 관통구(7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고정편들(7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조절봉(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봉(90)은 그 양단에 형성된 노브(93)의 회전 또는 모터(94)의 가동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머리판(20) 사이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닝 너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2019990013846U 1999-07-14 1999-07-14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KR2001638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846U KR200163803Y1 (ko) 1999-07-14 1999-07-14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846U KR200163803Y1 (ko) 1999-07-14 1999-07-14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803Y1 true KR200163803Y1 (ko) 2000-02-15

Family

ID=1958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846U KR200163803Y1 (ko) 1999-07-14 1999-07-14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8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419A (ko) 2015-03-19 2016-09-28 한광호 침대 머리판 틸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419A (ko) 2015-03-19 2016-09-28 한광호 침대 머리판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2283B1 (en) Split back chair
JPH0568965B2 (ko)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US6588847B2 (en) Chair
US5517706A (en) Sofa-bed
EP1011389B1 (en) Adjustment device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200163803Y1 (ko) 각도조절가능한머리판을구비한침대
CA1324313C (en) Rocking chair
KR100708303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CA2472975A1 (en) Chaise-longue
JP6588482B2 (ja) 身体支持装置
CN219699441U (zh) 一种跪坐姿切换的椅子
KR200329505Y1 (ko) 안락의자
CN214711597U (zh) 头枕装置及具有该装置的座椅
CN217448385U (zh) 一种按摩椅
KR102366836B1 (ko)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CN219720189U (zh) 椅具支撑组件的转动装置及座椅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KR100317463B1 (ko) 가변형자동차의시트
CN219699440U (zh) 一种座部状态切换结构
EP0382855B1 (en) Reclining structure
CN217644788U (zh) 一种方便调节的学生课桌椅
KR200171557Y1 (ko) 폴더형 안락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