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435Y1 -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435Y1
KR200243435Y1 KR2020010014472U KR20010014472U KR200243435Y1 KR 200243435 Y1 KR200243435 Y1 KR 200243435Y1 KR 2020010014472 U KR2020010014472 U KR 2020010014472U KR 20010014472 U KR20010014472 U KR 20010014472U KR 200243435 Y1 KR200243435 Y1 KR 200243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lever
valve seat
stoo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석
Original Assignee
신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석 filed Critical 신동석
Priority to KR2020010014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435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변기에 대변용 레버외에 별도의 소변용 레버를 설치하여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양을 대변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에 비해 절반이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밸브몸체(1)의 일측에 설치된 대변용 레버(30)를 밑으로 젖힘에 따라 대변용 밀대(32)가 탄성적으로 전진되면서 밸브시트(7)를 개방하여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를 배출하고,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되면서 밸브시트(5)가 개방되어 세수공급로(1-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세수배출로(1-2)로 배출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변용 레버(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젖혀지면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블록(13)이 들리면서 상기 밸브시트(7)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를 개방된 상기 밸브시트(7) 또는 밸브시트홈(13-1)과 연결되는 내측유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14)와; 상기 작동레버(14)의 내측유로에 상하 탄성이동되도록 삽입되면서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포펫(17)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시트홈(13-1)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봉(15)과; 상기 대변용 레버(3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밸브몸체(1)에 설치되어 밑으로 젖힐 경우 소변용 밀대(22)를 탄성적으로 밀게 되는 소변용 레버(20)와; 상기 소변용 밀대(22)의 선단에 결합되어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봉(15)을 밀어 올리게 되는 캠(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DEVICE FOR SUPPLYING STOOL WITH WASHING WATER}
본 고안은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변기에 대변용 레버외에 별도의 소변용 레버를 설치하여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양을 대변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에 비해 절반이하로 배출되도록 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소변시 대변용 레버(30)를 밑으로 젖히면 대변용 밀대(32)가 압축스프링(33)을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전진하는 대변용 밀대(32)에 의해 작동레버(40)가 젖혀지면서 패킹에 의해 닫혀 있던 밸브시트(7)가 개방된다.
이때, 압력수배출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밸브캡(10)내의 압력수를 배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수쳄버(6)내의 압력수가 줄면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되면서 패킹(5)에 의해 닫혀 있던 밸브시트(4)가 개방되고, 세수공급로(1-1)로 유입된 세척수가 개방된 밸브시트(4)를 통해 세수배출로(1-2)로 배출되면서 대소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밑으로 젖힌 대변용 레버(30)를 놓으면 대변용 밀대(32)가 압축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되고, 작동레버(40)를 밀던 대변용 밀대가 후진되면 작동레버(40)가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패킹이 다시 밸브시트(7)를 닫게 된다.
따라서, 밸브시트(7)를 통한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 배출이 중지되면서 동시에 압력수공급구(9)를 통해 압력수가 압력수쳄버(6)내에 채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수쳄버내의 압력수가 증가되면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하강되면서 패킹(5)이 밸브시트(4)를 닫게 되고, 이로써 세수배출이 중단된다.
그러나, 소변시에는 대변시보다 적은 양의 세척수로도 세척이 가능하나, 종래의 대변기 세수공급장치는 소변시에도 대변시와 같은 양의 세척수가 배출되어 불필요한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대변기에 대변용 레버외에 별도의 소변용 레버를 설치하여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양을 대변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에 비해 절반이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3은 도2의 A-A단면도,
도4는 도2의 B-B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밸브몸체 2: 커버 3: 플로트밸브하우징 4: 밸브시트 5: 패킹 6: 압력수쳄버 7: 밸브시트 8: 여과망 9: 압력수공급구 10: 밸브캡 10-1: 압력수배출구 11,12: 압축스프링 13: 밸브블록 14: 작동레버 15: 밸브봉 16: 패킹 17: 밸브포펫 20: 소변용 레버 21: 캡너트 22: 소변용 밀대 23: 캡 24: 압축스프링 30: 대변용 레버 31: 캡너트 32: 대변용 밀대 33: 압축스프링 40: 작동레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밸브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대변용 레버를 밑으로 젖힘에 따라 대변용 밀대가 탄성적으로 전진되면서 밸브시트를 개방하여 압력수쳄버의 압력수를 배출하고, 플로트밸브하우징이 상승되면서 밸브시트가 개방되어 세수공급로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세수배출로로 배출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변용 레버에 의해 탄성적으로 젖혀지면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블록이 들리면서 상기 밸브시트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수쳄버의 압력수를 개방된 상기 밸브시트 또는 밸브시트홈과 연결되는 내측유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내측유로에 상하 탄성이동되도록 삽입되면서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포펫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시트홈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봉과; 상기 대변용 레버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밸브몸체에 설치되어 밑으로 젖힐 경우 소변용 밀대를 탄성적으로 밀게 되는 소변용 레버와; 상기 소변용 밀대의 선단에 결합되어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봉을 밀어 올리게 되는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3은 도2의 A-A단면도이며, 도4는 도2의 B-B단면도이다.
밸브몸체(1)는 대변기에 설치되어 대소변의 세척을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세하게는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밸브몸체(1)의 내벽을 따라 상하강되면서 패킹(5)에 의해 밸브시트(4)가 개폐되어 세수공급로(1-1)를 통해 공급되면서 세수배출로(1-2)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밸브몸체(1)의 상부측에 플로트밸브하우징(3)에 의해 형성되는 압력수쳄버(6)에는 압력수가 세수공급로(1-1)로 공급되어 여과망(8)에서 여과된 후 압력수공급구(16)를 통해 채워지게 된다.
여기서, 압력수쳄버(6)에 채워진 압력수는 플로트밸브하우징(3)을 밑으로 밀어 패킹(5)으로 하여금 밸브시트(4)를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밸브하우징(3)의 내측유로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밸브캡(10)에는 다수의 압력수배출구(10-1)가 형성되어 있고, 압력수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는 개방된 밸브시트(7)나 밸브시트홈(13-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밸브캡(1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밸브블록(13)은 압축스프링(11)에의해 상하 탄성이동을 하게 되고, 그 하면의 패킹(16)이 플로트밸브하우징(3)의 내측유로의 중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밸브시트(7)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밸브블록(13)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작동레버(14)는 플로트밸브하우징(3)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대변용 밀대(32)에 의해 옆으로 젖혀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압축스프링(12)에 의해 상하 탄성이동을 하는 밸브포펫(17)은 밸브블록(13)의 밸브시트홈(13-1)에 안착되어 있고, 밸브포펫과 일체형로 이루어진 밸브봉(15)은 작동레버(14)의 내주면에 끼워지면서 그 하단이 작동레버(14)의 하부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작동레버(14)의 내주면 사이에 압력수의 배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작동레버(14)의 하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밸브봉(15)의 하단면이 원추형 캠(23)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밸브포펫(17)이 탄성적으로 상승되면서 밸브시트홈(13-1)을 개방하게 된다.
한편, 밸브몸체(1)의 일측에 설치되는 대변용 레버(30)는 밑으로 젖힐 경우 대변용 밀대(32)를 탄성적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대변용 밀대(32)는 작동레버(14)의 하단을 밀게 된다.
이때, 작동레버(14)가 옆으로 젖혀지면서 밸브블록(13)의 일측이 들리게 되고, 패킹(16) 또한 밸브블록과 함께 들리면서 밸브시트(7)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대변용 레버(30)와 직각을 이루도록 밸브몸체(1)에 설치되는 소변용 레버(20)는 대변용 레버와 구별되도록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된다.
여기서, 소변용 레버(20)는 대변용 레버(3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밑으로 젖힐 경우 소변용 밀대(22)를 탄성적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소변용 밀대(22)의 선단측에는 원추형의 캠(23)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때, 캠(23)의 외주면에 밸브봉(15)의 하단면이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소변용 밀대(22)와 함께 캠이 전진되면 밸브봉(15)을 작동레버(14)의 내주면을 따라 밀어 올리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대변시 대변용 레버(30)를 밑으로 젖히면 대변용 밀대(32)가 압축스프링(33)을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전진하는 대변용 밀대(32)에 의해 작동레버(14)가 젖혀지면서 밸브블록(13)의 일측이 압축스프링(11,12)을 압축하면서 들리게 된다.
이때, 패킹(16)에 의해 닫혀 있던 밸브시트(7)가 개방되면서 압력수배출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밸브캡(10)내의 압력수를 배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수쳄버(6)내의 압력수가 줄면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되면서 패킹(5)에 의해 닫혀 있던 밸브시트(4)가 개방되고, 세수공급로(1-1)로 유입된 세척수가 개방된 밸브시트(4)를 통해 세수배출로(1-2)로 배출되면서 대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밑으로 젖힌 대변용 레버(30)를 놓으면 대변용 밀대(32)가 압축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되고, 작동레버(14)를 밀던 대변용 밀대가 후진되면밸브블록(13)이 압축스프링(11,12)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패킹(16)이 다시 밸브시트(7)를 닫게 된다.
따라서, 밸브시트(7)를 통한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 배출이 중지되면서 동시에 압력수공급구(9)를 통해 압력수가 압력수쳄버(6)내에 채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수쳄버내의 압력수가 증가되면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하강되면서 패킹(5)이 밸브시트(4)를 닫게 되고, 이로써 세수배출이 중단된다.
한편, 소변시에는 소변용 레버(20)를 밑으로 젖히면 소변용 밀대(22)가 압축스프링(24)을 압축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소변용 밀대(22)와 함께 원추형의 캠(23)이 전진되면서 밸브봉(15)이 작동레버(14)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되면 밸브포펫(17)이 밸브블록(13)의 밸브시트홈(13-1)내를 빠져 나오게 된다.
이때, 밸브포펫(17)과 밸브시트홈(13-1) 사이에 틈이 발생되면서 압력수배출구(10-1)로 유입된 압력수가 밸브포펫(17)과 밸브시트홈(13-1)의 틈을 통해 밸브봉(15)과 작동레버(14)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거쳐 배출된다.
여기서, 압력수쳄버(6)내의 압력수가 줄면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되면서 패킹(5)에 의해 닫혀 있던 밸브시트(4)가 개방되고, 세수공급로(1-1)로 유입된 세척수가 개방된 밸브시트(4)를 통해 세수배출로(1-2)로 배출되면서 소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밑으로 젖힌 소변용 레버(20)를 놓으면 소변용 밀대(22)가 압축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되고, 원추형의 캠(23)이 후진되면서 밸브포펫(17)과밸브봉(15)이 캠의 경사진 외주면을 따라 압축스프링(12)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밸브포펫(17)이 밸브시트홈(13-1)에 안착되면서 압력수의 배출을 차단하게 되고, 동시에 압력수공급구(9)를 통해 압력수가 압력수쳄버(6)내에 채워지면서 압력수쳄버내의 압력수가 증가되어 플로트밸브하우징(3)을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하강되면서 패킹(5)이 밸브시트(4)를 닫게 되고, 이로써 세수배출이 중단된다.
본 고안은 대변기에 대변용 레버외에 별도의 소변용 레버를 설치하여 소변시 필요한 세척수의 양을 대변시 배출되는 세척수의 양에 비해 절반이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밸브몸체(1)의 일측에 설치된 대변용 레버(30)를 밑으로 젖힘에 따라 대변용 밀대(32)가 탄성적으로 전진되면서 밸브시트(7)를 개방하여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를 배출하고, 플로트밸브하우징(3)이 상승되면서 밸브시트(5)가 개방되어 세수공급로(1-1)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세수배출로(1-2)로 배출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변용 레버(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젖혀지면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블록(13)이 들리면서 상기 밸브시트(7)를 개방하고, 상기 압력수쳄버(6)의 압력수를 개방된 상기 밸브시트(7) 또는 밸브시트홈(13-1)과 연결되는 내측유로를 통해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14)와;
    상기 작동레버(14)의 내측유로에 상하 탄성이동되도록 삽입되면서 그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밸브포펫(17)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시트홈(13-1)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밸브봉(15)과;
    상기 대변용 레버(30)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밸브몸체(1)에 설치되어 밑으로 젖힐 경우 소변용 밀대(22)를 탄성적으로 밀게 되는 소변용 레버(20)와;
    상기 소변용 밀대(22)의 선단에 결합되어 경사면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봉(15)을 밀어 올리게 되는 캠(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2020010014472U 2001-05-17 2001-05-17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200243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72U KR200243435Y1 (ko) 2001-05-17 2001-05-17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72U KR200243435Y1 (ko) 2001-05-17 2001-05-17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435Y1 true KR200243435Y1 (ko) 2001-10-29

Family

ID=7310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72U KR200243435Y1 (ko) 2001-05-17 2001-05-17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4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53B1 (ko) 2011-04-07 2013-10-04 태성정밀(주) 세척밸브의 피스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53B1 (ko) 2011-04-07 2013-10-04 태성정밀(주) 세척밸브의 피스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00496A (ja) 節水型洋風便器
KR100408075B1 (ko) 절수용 변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CA2767337C (en) Retractable bidet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200243435Y1 (ko)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JP2000240123A (ja) フラッシュバルブ
KR100276050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0194307Y1 (ko) 변기용 세척 밸브
KR200308725Y1 (ko) 절수형 양변기
US9650774B2 (en) Dual control mode-type deodorising and water drainage valve
KR100805751B1 (ko) 유체 개폐밸브
KR200283239Y1 (ko) 수위조절장치
KR20029384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0277577Y1 (ko) 대소변용 밀대의 누수방지구조
JP3212297B2 (ja) フラシュバルブ
KR200303275Y1 (ko) 수도전용 밸브
KR100452052B1 (ko) 변기용 세척밸브
KR200262718Y1 (ko)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
KR100280074B1 (ko) 절수형 수도꼭지
JP2666031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
KR200294075Y1 (ko) 절수식 세척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