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052B1 - 변기용 세척밸브 - Google Patents

변기용 세척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052B1
KR100452052B1 KR10-2001-0021298A KR20010021298A KR100452052B1 KR 100452052 B1 KR100452052 B1 KR 100452052B1 KR 20010021298 A KR20010021298 A KR 20010021298A KR 100452052 B1 KR100452052 B1 KR 10045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alve
housing member
pressure chambe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1859A (ko
Inventor
최수용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1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0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8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02Self-closing flushing valves
    • E03D3/04Self-closing flushing valves with piston valve and pressure chamber for retarding the valve-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0Flushing devices with pressure-operated reservoir, e.g. air cha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03D5/09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the flushing element, e.g. siphon bell, being actuated through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용 세척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의 스톱 밸브(S)와 관 연결구(C)에 의해 연결되면서 메인 밸브(M)를 통해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변기용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M)의 외부를 이루며, 외벽으로 바이패스 유로(15)를 형성하는 하우징부재(10); 상기 하우징부재(10)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내장되며, 측방으로부터 상단부로 관통되는 수압 공급홀(22)을 형성하는 승강부재(20); 하부는 상기 승강부재(20) 상부의 압력실(13)측으로 삽입되고,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의 하부는 보다 내경을 확장되게 하면서 확장된 내경면으로부터는 외경면측으로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통공(3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1 통공(32)은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바이패스 유로(15)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캡부재(30);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소변과 대변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토출부재(40)로서 이루어지므로서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소변과 대변 세척을 구분해서 수행하면서 물 사용 낭비가 절감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변기용 세척밸브{Flush valve for chamber-pot}
본 발명은 변기용 세척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과 대변용 이중 버튼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불필요한 물소비가 방지되도록 하는 변기용 세척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용 세척밸브는 도 1에서와 같이 레버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대부분이다.
즉 원수가 유입되는 일측으로는 스톱 밸브(S)가 구비되고, 이 스톱 밸브(S)에는 관 연결구(C)에 의해서 메인 밸브(M)가 연결되며, 메인 밸브(M)의 일측으로는 레버(L)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메인 밸브(M)는 다시 하우징부재(1)와 승강부재(2) 및 캡부재(3)로서 이루어지며, 승강부재(2)는 하우징부재(1)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고, 캡부재(3)는 하우징부재(1)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우징부재(1)의 내부는 승강부재(2)를 기준으로 일측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로(1a)를 이루고, 하부는 변기로 통하는 토출로(1b)를 이루며,캡부재(3)에 커버되는 상부의 공간은 압력실(1c)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메인 밸브(M)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레버(L)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메인 밸브(M)의 내측으로 일단이 인출된 푸쉬 로드(P)가 수평으로 전후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이 승강부재(2)로서, 이 승강부재(2)의 승강에 의해 결국 물 즉 세척수가 변기에 공급되는 것인바 이러한 승강부재(2)는 다시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승강부재(2)는 상부바디와 하부바디 및 가이드가 수직선상으로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부바디는 하우징부재(1)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캡부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승강이 가능하게 밀착되도록 한 구성이며, 토출로(1b)측의 하우징부재(1)의 내주면을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되게 한 밸브 시트(1d)의 관통된 홀에는 가이드가 토출로(1b)측으로 하향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승강부재(2)와 캡부재(3) 사이의 공간인 압력실(1c)은 상부바디의 측면을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시키고, 이렇게 관통된 홀 중심을 다시 상향 관통되도록 한 유로(2a)에 의해 유입로(1a)와 압력실(1c)간이 항상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승강부재(2)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b)은 헤드부가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결합단부간 내측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내에 삽입되면서 스프링(2c)에 의해 탄력지지되고, 이러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면측 상부바디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통공(2d)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2b)의 헤드부가 삽입된 공간과 압력실(3c)이 항상 연통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특히 피스톤(2b)의 헤드부는 상부측 상부바디와 스프링(2c)에 의해 지지되므로서 하부바디와 가이드의 중앙을 관통시킨 바이패스 유로(2e)를 차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피스톤(2b)의 헤드부는 그 상측의 공간과 바이패스 유로(2e)간을 차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2b)의 하단부는 바이패스 유로(2e)를 통해 레버(L)에 의해 연동하는 푸쉬 로드(P)의 위치보다 더 하향 연장되는 상태로서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우징부재(1)내에서 승강부재(2)의 유로(2a)를 통해 승강부재(2)의 상부측 압력실(1c)에 유입로(1a)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승강부재(2) 상부의 압력실(1c)은 고압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압력실(1c)과 피스톤(2b)의 헤드부가 내장되는 공간간을 연통시킨 통공(2d)이 피스톤(2b)의 헤드부에 의해서 바이패스 유로(2e)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압력실(1c)내 세척수는 더 이상 유동이 정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하우징부재(1)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레버(L)를 조작하게 되면 레버(L)에 연동하여 푸쉬 로드(P)가 전진하게 되므로 푸쉬로드(P)에 의해서 그 직전방에 위치한 피스톤(2b)의 하단부를 밀게 되고, 이로서 피스톤(2b)은 도 3에서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피스톤(2b)이 경사지게 되면 피스톤(2b)의 헤드부에 의해 막혀져 있던 하부의 바이패스 유로(2e)가 개방되면서 헤드부의 상부 공간으로 유도된 세척수가 바이패스 유로(2e)를 통해 토출로(1c)로 유동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바이패스 유로(2e)가 개방되면 압력실(1c)측 세척수가 유동하게 되면서 압력실(1c)내 압력을 점차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실(1c)내 압력이 유입로(1a)측 수압보다 낮게 되면 유입로(1a)측의 수압에 의해 승강부재(2)의 상부바디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승강부재(2)는 점차 상승하기 시작한다.
승강부재(2)의 상승에 따라 승강부재(2)에 의해 막혀져 있던 밸브 시트(1d)의 중앙 홀이 개방되면서 이 개방된 홀을 통해 유입로(1a)측의 세척수가 토출로(1b)측으로 원활히 토출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레버(L)의 조작을 중지하게 되면 푸쉬 로드(P)에 의해 밀려나 있던 피스톤(2b)이 헤드부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2c)의 탄발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헤드부에 의해서 바이패스 유로(2e)를 차폐시키게 된다.
그러면 더 이상 압력실(1c)측 세척수의 유동은 중지되면서 승강부재(2)의 유로(2a)를 통해 계속해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압력실(1c)내의 압력이 상승하면서 승강부재(2)를 하강시키게 되고, 승강부재(2)에 의해 결국 토출로(1c)측 밸브 시트(1d)가 폐쇄되면서 변기로의 세척수 공급이 중단되는 것이다.
하지만 종전의 변기용 세척밸브는 레버(L)의 조작에 의해 한번의 변기 세척을 수행하게 되는데 특히 세척수의 토출량이 대변용으로만 세팅되어 있으므로 소변 세척시에도 대변 세척시와 같은 세척량을 토출시키게 되므로 과다한 물소비가 초래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또는 대변 세척을 이중의 버튼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물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버튼식으로 조작수단을 구비하여 조작이 보다 손쉽고 편리한 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척밸브에서 요부만을 단면 처리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세척밸브의 승강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세척밸브의 승강부재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밸브의 전체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강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캡부재 및 토출부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캡부재 및 토출부재의 구성을 분리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버튼수단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버튼수단과 제2 버튼수단이 동시에 작동되는 구성으로 도시한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부재 11 : 유입로
12 : 토출로 13 : 압력실
20 : 승강부재 22 : 수압 공급홀
30 : 캡부재 32 : 제1 통공
40 : 토출부재 410 : 제1 버튼수단
415 : 제 2유로 420 : 제2 버튼수단
427 : 제 2통공 428 : 제 1유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기의 용변 세척을 대변 세척용과 소변 세척용으로 구분해서 수행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메인 밸브 하우징의 밸브 캡 상단부에 하향 가압되는 2단의 조작수단에 의해 압력실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승강부재의 상승 높이를 차별화하므로서 대변 세척시와 소변 세척시의 토출 수량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세척밸브는 일측으로 스톱 밸브(S)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메인 밸브(M)를 구비하며, 이들을 관 연결구(C)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스톱 밸브(S)는 원수가 유입되는 부위로서, 이렇게 유입되는 세척수는 관 연결구(C)를 거쳐 메인 밸브(M)을 통하여 변기로 공급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본 발명은 메인 밸브(M)의 구성 즉 하우징부재(10)와 그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부재(20) 및 승강부재(20)을 작동시키는 토출부재(40)의 구성을 개선하여 용변의 종류에 따라 세척 수량이 차별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메인 밸브(M)의 하우징부재(10)는 관 연결구(C)와 결합되는 일단부측으로 유입로(11)를 형성하고, 이 유입로(11)의 끝부분은 상하향 관통되는 수직의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향 관설되는 부위는 변기로 연결되는 토출로(12)를 이루게 된다.
특히 하우징부재(10)는 상하향 관통되도록 한 수직형상의 관체 외벽을 따라 바이패스 유로(15)가 형성되도록 하되 이 바이패스 유로(15)는 관체의 상측과 토출로(12)를 연통시키게 된다.
한편 수직의 관체측 유입로(11)의 끝단부에는 유입로(11)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수직의 관체 내경면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승강부재(20)가 내장된다.
승강부재(20)는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게 상측의 바디와 하측의 가이드가 나사결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바디는 하부보다 외경을 보다 확장시켜 형성한 상단부가 하우징부재(10)의 수직의 관체 내경면을 따라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러한 관체의 내경면과는 바디의 외경면에 일부 돌출되게 삽입한 패킹수단(21)에 의해서 밀착되도록 하고, 외경을 확장시킨 상단부의 직하부측 외경면에는 일측으로부터 상단면으로 관통되도록 소경의 수압 공급홀(22)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디와 가이드간 결합부위에는 패킹수단(23)이 끼워지면서 이 패킹수단(23)이 토출로(12)측 입구에서 하우징부재(10)의 내경면을 내측으로 돌출되게 한 밸브 시트(14)에 밀착되게 하여 유입로(11)와 토출로(12)간을 차폐시키도록 한다.
한편 바디의 수압 공급홀(22)의 유입로(11)측 입구에는 도시한 바와같이 수압 공급홀(22)을 막힐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인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걸름망(24)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압 공급홀(22)은 도시한 바와같이 바디의 외경면 일측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외경면의 양측을 수평으로 관통되게 하는 형상으로도 가능하며, 이러한 관통되는 형상의 수압 공급홀(22)을 하나 이상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바디의 하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는 토출로(12)측 밸브 시트(14)의 중앙을 관통시킨 홀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갖는 축부재가 토출로(12)측으로 하향 연장되면서 그 축부재의 외주면에는 일체로 외측의 끝단부가 밸브 시트(14)의 내경면에 근접하는 다수의 블레이드(2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이드는 승강부재(20)의 상승시 밸브 시트(14)를 통해 토출로(12)로 세척수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승강부재(20)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을 두고 수직의 관체 상단부에는 캡부재(30)가 하우징부재(1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한다.
이렇게 캡부재(30)가 결합되면서 승강부재(20)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압력실(13)이다.
캡부재(30)는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하우징부재(10)의 수직의 관체 상단부에서 하우징부재(10)의 내경면에 외경면이 견고하게 삽입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중앙은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부에는 수직의 관통홀보다는 큰 직경으로 삽입홈(31)이 형성되며, 하부는 승강부재(20) 상부의 압력실(13)측으로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캡부재(30)의 수직으로 관통되는 홀의 하부는 보다 내경을 확장시켜 하향 개방되도록 하고, 확장된 내경면으로부터는 외경면측으로 소정의 직경으로 관통되는 제1 통공(32)이 형성되도록 하되 제1 통공(32)은 하우징부재(10)의 바이패스 유로(15)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하향 개방되는 홀의 하단부는 주연부가 보다 하향 돌출되게 하므로서 밸브 시트(33)를 형성한다.
한편 캡부재(30)의 수직으로 관통시킨 중앙에는 토출부재(40)가 삽입되도록 한다.
토출부재(40)는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제2 버튼수단(420)은 상단부의 버튼 캡(421)이 캡부재(30) 상부면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한 삽입홈(31)으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캡부재(30)의 수직으로 관통된 중앙의 홀에는 상단부가 버튼 캡(421)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압력실(13)측으로 돌출되게 한 푸쉬 로드(422)가 구비되며, 푸쉬 로드(422)의 하단부측 외경면에는 패킹수단(423)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한편 캡부재(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는 버튼 캡(421)은 삽입홈(31)내에서스프링(424)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푸쉬 로드(422)를 항상 상부로 당겨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푸시 로드(422)의 하단부에 결합된 패킹부재(423)는 캡부재(30)의 중앙을 관통시킨 홀의 하단부 외주연을 하향 돌출되게 한 밸브 시트(33)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캡부재(30)에 결합되는 제2 버튼수단(420)의 푸쉬 로드(422) 하단부의 외경면은 캡부재(30)의 수직으로 관통된 홀을 보다 확장시킨 내경면과 소폭의 간극으로 이격되면서 제1 유로(428)를 형성한다.
특히 제2 버튼수단(420)에도 캡부재(30)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앙이 수직으로 관통되게 하여 관통홀(425)을 형성하고, 이 관통홀(425)의 상단부는 보다 내경이 확장되게 하여 삽입홈(426)을 형성하며, 하부도 내경이 보다 확장되도록 한다.
또한 푸쉬 로드(422)에는 관통홀(425) 하부의 확장된 내경면으로부터 외경면으로 관통되는 제2 통공(427)이 형성되도록 하되 제2 통공(427)은 캡부재(30)에 형성되는 제1 통공(32)보다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푸쉬 로드(422)에 형성되는 제2 통공(427)은 제2 버튼수단(420)이 하강작용시 제1 통공(32)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푸쉬 로드(422)의 하강 높이만큼 제1 통공(32)보다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토출수단(40)으로서 제2 버튼수단(420)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관통홀(425)에 삽입되는 것이 제1 버튼수단(410)이다.
제1 버튼수단(410)은 제2 버튼수단(420)과 마찬가지로 상단부의 버튼 캡(411)과 그 하부로 결합되는 푸쉬 로드(412) 그리고 푸쉬 로드(412)의 하단부에결합되는 패킹수단(413)으로서 이루어진다.
버튼 캡(411)은 제2 버튼수단(420)의 상부면에 형성한 삽입홈(426)에서 스프링(424)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고, 푸쉬 로드(412)는 제2 버튼수단(41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425)를 관통하여 삽입되며, 그 하단부는 승강부재(20) 상부의 압력실(13)측으로 삽입되면서 외주면으로는 패킹수단(413)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버튼수단(420)의 삽입홈(426)에 삽입되는 버튼 캡(411)은 삽입홈(426)내에서 스프링(414)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푸쉬 로드(412)를 항상 상부로 당겨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푸시 로드(412)의 하단부에 결합된 패킹수단(413)은 제2 버튼수단(420)의 중앙을 관통시킨 관통홀(425)의 하단부 외주연을 하향 돌출되게 한 밸브 시트(429)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버튼수단(420)에 결합되는 제1 버튼수단(410)의 푸쉬 로드(412) 하단부의 외경면은 제2 버튼수단(420)의 관통홀(425)에서 보다 확장시킨 하부측 내경면과 소폭의 간극으로 이격되면서 제2 유로(415)를 형성한다.
특히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의 각 푸쉬 로드(412)(422)에 결합되는 패킹수단(413)(423)은 패킹의 저면과 측면을 케이스로서 커버하고, 이 케이스의 저부로부터 로크 너트로 체결하여 하향 이탈이 방지되게 하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하우징부재(10)의 유입로(11)측으로부터 유도되는 세척수가 승강부재(20)의 수압 공급홀(22)을 통해 승강부재(20) 상부의 압력실(13)에 공급되면서 압력실(13)에서의 수압이 상승되게 하여 승강부재(20)를 하강시키고, 이 상태에서 승강부재(20)의 바디와 가이드 사이에 결합된 패킹수단(23)이 토출로(12)측의 밸브 시트(14)에 밀착되게 하여 유입로(11)와 토출로(12)간을 단절시키는 상태로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압력실(13)의 상부에서는 토출부재(40)의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이 스프링(414)(424)의 탄발력에 의해서 푸쉬 로드(412)(422)를 상승시켜 패킹수단(413)(423)에 의해 제1 유로(428)와 제2 유로(415)가 압력실(130)과 단절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변을 본 뒤 토출부재(40)의 버튼 캡(411)(421)을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면 제2 유로(415)나 제2 유로(415)와 함께 제1 유로(428)가 동시에 개방되면서 압력실(13)측에 채워져있는 고압의 세척수가 개방된 유로를 통해 바이패스 유로(15)로 유동되면서 바이패스 유로(15)와 연통된 토출로(12)로 토출되기 시작한다.
압력실(13)내 세척수가 토출되기 시작하면 승강부재(20)의 수압 공급홀(22)을 통해 채워지게 되는 수압보다는 유입로(11)를 통해 승강부재(20)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압력실(13)내의 압력이 저감되면서 승강부재(20)는 수압에 의해 점차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승강부재(20)의 상승작용에 의해 토출로(12)측 밸브 시트(14)의 내경부가 개방되면서 결국 유입로(11)와 토출로(12)가 연통되는 상태에서 토출로(12)를 통해 다량의 세척수가 토출되어 변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용변의 상태에 따라 즉 소변 인지 대변인지에 따라서 토출부재(40)을 선택적으로 조작하게 되는데 특징이 있다.
즉 소변을 세척시 도 8에서와 같이 제1 버튼수단(410)의 버튼 캡(411)만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제2 버튼수단(420)측 밸브 시트(429)로부터 패킹수단(413)가 이격되면서 그 하부의 압력실(13)측 세척수가 제2 유로(415)를 통해서 제2 통공(427)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제2 통공(427)에서 다시 제1 유로(428)를 거쳐 제1 통공(32)으로 유도되고, 이는 메인 밸브(M)의 외벽에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15)를 통하여 하우징부재(10)의 하부측으로 형성되는 대기압 상태인 토출로(12)를 통해 토출된다.
이렇게 압력실(13)내 세척수가 토출되기 시작하면 내부 압력이 유입로(11)측보다 작게 되면서 유입로(11)측으로부터 유도되는 고압의 수압에 의해 보다 저압의 상태로 되는 압력실(13)측으로 승강부재(20)를 상승시키게 된다.
승강부재(20)가 상승하면서 승강부재(20)의 바디와 가이드의 사이에 결합된 패킹수단(23)이 토출로(12)측 밸브 시트(14)로부터 이격되면 이 이격 공간을 통해 유입로(11)측의 세척수가 곧바로 토출로(12)를 통해서 토출되어 변기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대변을 세척시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캡부재(30) 상부의 제1 버튼수단(410)의 버튼 캡(411)과 함께 제2 버튼수단(420)의 버튼 캡(421)이 동시에 하향 가압되도록 한다.
즉 제1 버튼수단(410)의 버튼 캡(411)보다는 제2 버튼수단(420)의 버튼캡(421)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력이 더 크므로 제1 버튼수단(410)을 작동시키면서 보다 강한 가압력으로 제2 버튼수단(420)이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1 버튼수단(410)과 제2 버튼수단(420)을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푸쉬 로드(412)(422)의 하단부에서 밸브 시트(33)(429)로부터 패킹수단(413)(423)가 동시에 이격되면서 이 이격되는 공간을 통해 제2 유로(415)와 함께 제1 유로(428)를 통해서도 동시에 압력실(13)내 세척수가 바이패스 유로(15)를 통해서 유출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세척수의 유출은 제1 버튼수단(410)만을 작동시킬 때 보다는 더욱 많은 양의 세척수를 보다 빠르게 유동시키게 되므로 압력실(15)내 수압은 급격하게 저하되면서 승강부재(20)의 상승 높이가 더욱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승강부재(20)가 상승하면서 발생되는 패킹수단(23)과 토출로(12)측 밸브 시트(14)간 이격공간을 통해 유입로(11)측으로부터 보다 많은 다량의 세척수가 토출로(12)를 통해 토출되므로 변기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이 소변을 세척할 때보다는 더욱 많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소변을 처리할 때와 대변을 처리할 때 공급되는 세척수의 양을 차별화하여 소변을 처리시에는 보다 적은 세척수가 사용될 수 있게 하므로서 물의 지나친 낭비를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전의 레버식 핸들 구조보다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버튼방식을 적용하므로서 조작이 대단히 간편하고, 조작에 따른 수고를 더욱 저감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과 작용에 의해 하우징부재(30)와 승강부재(20)의 구성이 보다 간소화되면서 부품 제작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동시에 소변과 대변의 처리를 차별화하여 기존에 대변만 처리하게 되는 물의 양을 보다 절감시키면서 물 사용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종전의 레버 조작 방식에 비해 토출수단을 보다 손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의 스톱 밸브(S)와 관 연결구(C)에 의해 연결되면서 메인 밸브(M)를 통해 변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는 변기용 세척밸브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밸브(M)의 외부를 이루며, 압력실(13)을 외벽을 따라 형성되는 바이패스 유로(15)를 통해 하부의 토출로(12)와 연통되도록 형성하는 하우징부재(10);
    상기 하우징부재(10)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내장되며, 유입로(11)와 압력실(13)을 연결하는 수압 공급홀(22)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체결되면서 토출로(12)측으로 하향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바디와 상기 가이드의 결합부위에 끼워지는 패킹수단(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내부에 서 상기 유입로(11)와 압력실(13)간 압력차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토출로(12)측 밸브 시트(14)에 상기 패킹수단(23)이 안착 또는 이격하면서 토출로(12)측으로의 세척수 공급을 단속하는 승강부재(20);
    중앙은 수직으로 관통되면서 상부에는 수직의 관통홀보다는 큰 직경으로 삽입홈(31)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승강부재(20) 상부의 압력실(13)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재(10)의 상단부에 안착 고정되며,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의 하부는 보다 확장된 내경을 가지면서 이 확장된 내경면으로부터는 외측으로 상기 하우징부재(10)의 바이패스 유로(15)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제 1통공(32) 형성되도록 하는 캡부재(30);
    상단부의 버튼 캡(421)이 상기 캡부재(30) 상부면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한 삽입홈(31)으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버튼 캡(421)에 상단부가 결합되면서 하단부는 압력실(13)측으로 돌출되게 한 푸쉬 로드(422) 및 상기 푸쉬 로드(422)의 하단부측 외경면으로 패킹수단(423)이 결합되는 제2버튼수단(420)과, 상기 제2 버튼수단(420)의 상부면에 하향 요입되게 형성한 삽입홈(426)으로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 캡(411)과 그 하부로 결합되는 푸쉬 로드(412) 및 상기 푸쉬 로드(412)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패킹수단(413)으로서 이루어지는 제 1 버튼수단(410)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서 소변과 대변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토출부재(40);
    로서 이루어지는 변기용 세척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20)에는 상기 바디의 수압 공급홀(22)의 유입로(11)측 입구에 세척수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인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걸름망(24)이 구비되도록 하는 변기용 세척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압 공급홀(22)은 상기 바디의 외경면 양측을 수평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변기용 세척밸브.
  4. (삭제)
KR10-2001-0021298A 2001-04-20 2001-04-20 변기용 세척밸브 KR10045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298A KR100452052B1 (ko) 2001-04-20 2001-04-20 변기용 세척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298A KR100452052B1 (ko) 2001-04-20 2001-04-20 변기용 세척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859A KR20020081859A (ko) 2002-10-30
KR100452052B1 true KR100452052B1 (ko) 2004-10-08

Family

ID=2770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298A KR100452052B1 (ko) 2001-04-20 2001-04-20 변기용 세척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71B1 (ko) 2020-12-23 2021-06-30 이수인(주) 절수식 양변기 대소구별형 세척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9467A1 (fr) * 1982-11-15 1984-05-30 René Blanc Robinet à fonctionnement semi-automatique permettant de délivrer un volume prédéterminé d'un fluide sous pression, notamment robinet de chasse
US4832310A (en) * 1988-08-18 1989-05-23 Mansfield Plumbing Products, Inc. Flush control valve
KR960008136A (ko) * 1994-08-12 1996-03-22 강재원 절수형 프레쉬밸브(Fresh Valve)
KR970059107U (ko) * 1996-04-29 1997-11-10 로얄동도금속주식회사 절수형 밸브
KR200236040Y1 (ko) * 2001-03-27 2001-10-18 강성호 절수용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9467A1 (fr) * 1982-11-15 1984-05-30 René Blanc Robinet à fonctionnement semi-automatique permettant de délivrer un volume prédéterminé d'un fluide sous pression, notamment robinet de chasse
US4832310A (en) * 1988-08-18 1989-05-23 Mansfield Plumbing Products, Inc. Flush control valve
KR960008136A (ko) * 1994-08-12 1996-03-22 강재원 절수형 프레쉬밸브(Fresh Valve)
KR970059107U (ko) * 1996-04-29 1997-11-10 로얄동도금속주식회사 절수형 밸브
KR200236040Y1 (ko) * 2001-03-27 2001-10-18 강성호 절수용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071B1 (ko) 2020-12-23 2021-06-30 이수인(주) 절수식 양변기 대소구별형 세척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859A (ko) 2002-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951B1 (ko) 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KR100452052B1 (ko) 변기용 세척밸브
KR20042427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US6219855B1 (en) Toilet bowl in combination with pressurized flush tank
KR100253416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JP3343714B2 (ja) フロート弁
CN1329594C (zh) 一种机械式自动调节大小便冲水量的节水型座便器
KR100191123B1 (ko) 절수형 프레쉬밸브
JP2012072589A (ja) 排水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
KR101108715B1 (ko) 직입식 양변기의 물 내림 장치
CN109083240A (zh) 一种马桶堵塞疏通装置
KR100276050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0460427Y1 (ko) 대?소 구별형 세척밸브
KR200237149Y1 (ko) 수세식 변기
KR200377517Y1 (ko) 절수 대변세척밸브
CN217379121U (zh) 一种拉绳式防臭下水器
KR102082325B1 (ko) 비데 일체형 양변기에 사용되는 급수제어장치의 역류방지구조
KR200243435Y1 (ko) 대변기용 세수공급장치
KR200310516Y1 (ko) 변기용 세척밸브
KR200262718Y1 (ko) 절수식 세척밸브의 레버장치
KR100915254B1 (ko) 양변기의 물내림 작동장치
KR101196238B1 (ko)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JP2666031B2 (ja) フラッシュバルブ
CN109881752B (zh) 一种预存水马桶
KR200293848Y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