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24Y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24Y1
KR200243324Y1 KR2020010010183U KR20010010183U KR200243324Y1 KR 200243324 Y1 KR200243324 Y1 KR 200243324Y1 KR 2020010010183 U KR2020010010183 U KR 2020010010183U KR 20010010183 U KR20010010183 U KR 20010010183U KR 200243324 Y1 KR200243324 Y1 KR 200243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noise
foreign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주
Original Assignee
박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주 filed Critical 박은주
Priority to KR2020010010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24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좌변기의 배출통로에 이물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결합하여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 이물이 다시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큰 소음의 발생을 없애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좌변기의 배출통로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변을 본 후 레버를 누르면서 세척용수가 이물을 배출시킨 후 소량의 물이 급수될 때 배출되는 이물의 일부가 역류하게 되어 레버를 다시 한 번 눌러야 하거나, 역류하는 이물과 함께 배수되는 커다란 물소리도 같이 외부로 발산되어 화장실을 사용하는 데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을 하향으로 볼록하게 형성한 원형 역류방지편의 중앙을 방사형으로 절취하여 하향으로 벌려지면서 위쪽의 물이나 이물은 아래로 배출시키지만 아래쪽의 물이나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량의 물이 공급되는 순간에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좌변기를 사용한 후 이물의 완전한 배출을 위하여 레버를 다시 한번 더 눌러야 하는 물의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좌변기{A toilet stool}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변기의 배출통로에 이물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결합하여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 이물이 다시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큰 소음의 발생을 없애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는 화장실 문화가 발달하여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오피스텔 등의 화장실에는 좌변기가 설치되어 용변을 보게 되어 있고, 용변 후에는 물을 내려서 청결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좌변기는 용변을 보고 난 후에 물을 내리게 되면 좌변기의 내부에 순간적인 압력이 발생하여 물이 내려가는 소리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주로 여성의 경우 직장에서 용변을 보게 될 경우는 용변 후 물을 내리게 되면 좌변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압력의 차이에 의해 물이 내려가는 소음이 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한편으로는 화장실의 외부에서 사람이 대기하고 있거나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이웃에게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주로 여성의 경우는 용변을 볼 시에는 처음부터 물을 계속적으로 배수함으로서 용변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저수조에 보관되어 있는 물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소음의 발생을 증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소음으로 인해 용변을 본 후에 물을 완전히 내린 다음, 배수에 따른 소음이 중지될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가 물이 완전히 배수된 이후에 밖으로 나오게 되므로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좌변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0177828호(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좌변기)를 제안하였는 바,
이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좌변기(20)의 본체(21) 내부에 오수관(22)이 연결되어 배출관(23)으로 관출되도록 하고,
상측 후방에는 내부에 개폐변(25)이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24)를 설치하며,
상기 개폐변(25)에서 공급되는 물이 좌변기(20)로 이동이 가능하게 급수관(26)으로 연결하고,
상기 좌변기(20)의 본체(21)와 배출관(23)을 상호 연결하는 오수관(22)과는 별도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통기관(27)을 연결하고,
상측 저수조(24)의 내부에 설치된 개폐변(25)의 상측으로 동일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통기관(28)을 관출하며,
상기 개폐변(25)의 하단에 연결된 급수관(26)의 내부에는 별도의 통기관(29)을 이중으로 연결하여 좌변기(20)의 내부로 연결하고,
상기 각 통기관(27)(28)(29)은 외부의 공기가 쉽게 공급되어 좌변기(20) 내부의 압력의 차를 없애줌으로서 물이 내려갈 시 소음이 방지될 수 있도록 외부와 통하는 지점으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좌변기에 의하여서는 좌변기(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수관(22)과 상측의 저수조(24)에 형성되어 있는 개폐변(25)의 적정위치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별도의 통기관(27)(28)(29)을 각각 연결함으로서 용변후 물을 내릴 경우 상기 각 통기관(27)(28)(29)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하여 압력차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작동을 위한 구성이 복잡하고 좌변기의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므로 배수시 뚜껑을 닫지 않는 경우가 많은 어린이나 남성들이 사용할 때에는 소음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좌변기의 배출통로에 이물이 일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결합하여 위에서 아래로 이동한 이물이 다시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큰 소음의 발생을 없애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한 원형 역류방지편의 중앙을 방사형으로 절취하여 하향으로 벌려지면서 위쪽의 물이나 이물은 아래로 배출시키지만 아래쪽의 물이나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량의 물이 공급되는 순간에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좌변기를 사용한 후 이물의 완전한 배출을 위하여 레버를 다시 한번 더 눌러야 하는 물의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음방지 기능을 갖는 좌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따른 역류방지편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좌변기 8 : 결합부
10 : 역류방지편 11 : 외주면
12 : 탄성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역류방지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뚜껑(2)이 개폐되는 좌변기(1)의 본체(A) 내부에 오수관(3)이 연결되어 배출관(4)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측 후방에는 내부의 개폐변(6)에 의해 급수관(7)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5)를 설치한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의 하단 오수관(3)과 연결되는 부위에 원형의 결합부(8)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8)에 외주면(11)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역류방지편(10)의 중앙을 방사형으로 절취하면서 자체 타성을 갖도록 한 탄성편(12)들이 하향으로 얼마간 돌출되는 상태에서 긴밀하게 접하도록 하여 하향으로의 개방과 역류되는 이동에 의해 닫는 동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위쪽으로 젖혀지는 것은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좌변기는
뚜껑(2)이 개폐되는 좌변기(1)의 본체(A)를 사용한 후에 저수조(5)의 개폐변(6)이 당겨지면서 열리도록 하면 저수조(5) 내부의 물이 급수관(7)을 통해 좌변기(1)로 이동하면서 내부의 이물과 함께 오수관(3)을 거치고 배출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이물이 결합부(8)에 끼워진 역류방지편(10)에 얹혀진 것과 같은 상태에서 물이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방사형으로 절취된 탄성편(12)들이 하향으로 벌려져 이물이 원활하게 오수관(3)을 거쳐 배출관(4)으로 배출된다.
이때에는 급수관(7)을 통해 좌변기(1)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에 따른 소음은물론, 좌변기(1)의 이물과 물이 오수관(3)을 거쳐 배출관(4)으로 배출되는 상태에 따른 압력의 변화로 인해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좌변기(1)의 결합부(8)에 외주면(11)이 끼워진 역류방지편(10)에 의해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큰 소음이 들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역류방지편(10)의 탄성편(11)들이 벌려진 공간을 통해 물과 함께 히향 이동한 이물이 탄성편(11)들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좌변기(1)로 역류하지 못하므로 이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거나 좌변기(1)에 처음 공급하는 물에 의해 좌변기(1)로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면서 저수조(4)의 물을 다시 배출시켜야 하는 경우를 없애어 물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완전히 배수되는 중에 소량의 물을 좌변기(1)로 공급하는 중에 오수관(3)을 통해 배출관(4)으로 완전히 배출되는 물소리가 큰 소음으로 드릴게 되지만 이 역시 역류방지편(10)의 탄성편(11)들에 의해 차단되어 사용자와 주위에 큰 소음으로 들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좌변기는 중앙이 하향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한 원형 역류방지편의 중앙을 방사형으로 절취하여 하향으로 벌려지면서 위쪽의 물이나 이물은 아래로 배출시키지만 아래쪽의 물이나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량의 물이 공급되는 순간에 이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좌변기를 사용한 후 이물의 완전한 배출을 위하여 레버를 다시 한번 더 눌러야 하는 물의 낭비를 줄이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현저히 줄여주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뚜껑(2)이 개폐되는 좌변기(1)의 본체(A) 내부에 오수관(3)이 연결되어 배출관(4)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측 후방에는 내부의 개폐변(6)에 의해 급수관(7)을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저수조(5)를 설치한 통상의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1)의 하단 오수관(3)과 연결되는 부위에 원형의 결합부(8)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8)에 외주면(11)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역류방지편(10)의 중앙을 방사형으로 절취하면서 자체 타성을 갖도록 한 탄성편(12)들이 하향으로 얼마간 돌출되는 상태에서 긴밀하게 접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2020010010183U 2001-04-11 2001-04-11 좌변기 KR200243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83U KR200243324Y1 (ko) 2001-04-11 2001-04-11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83U KR200243324Y1 (ko) 2001-04-11 2001-04-11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24Y1 true KR200243324Y1 (ko) 2001-10-11

Family

ID=7306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83U KR200243324Y1 (ko) 2001-04-11 2001-04-11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148B1 (en) Water-saving device for a toilet having a sink with a float-operated drain valve
JP5396679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逆流止め装置
US8060952B2 (en) Odor removal system and overflow safety system for toilets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200243324Y1 (ko) 좌변기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2002201690A (ja) 補助封水供給機構を備えたトラップ装置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45917Y1 (ko) 대소변 겸용 일체형 용변기
KR200371456Y1 (ko) 소변기의 악취차단캡 구조
JP7154663B1 (ja) 災害対応便器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20060058060A (ko) 직수와 저장수를 동시에 사용하는 양변기
KR200196519Y1 (ko) 소변기의 악취 차단구
CN208830438U (zh) 一种带小便器的水箱
CN209066553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及水槽
KR200297662Y1 (ko) 공간 확장형 접이식 좌변기 구조
KR200338353Y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0145290Y1 (ko) 절수형 남여 공용 소변기
KR100438675B1 (ko) 변기의 수세용 수조
KR200220526Y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JPS5810799Y2 (ja) 便器の自動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