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37Y1 -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37Y1
KR200242637Y1 KR2020010013907U KR20010013907U KR200242637Y1 KR 200242637 Y1 KR200242637 Y1 KR 200242637Y1 KR 2020010013907 U KR2020010013907 U KR 2020010013907U KR 20010013907 U KR20010013907 U KR 20010013907U KR 200242637 Y1 KR200242637 Y1 KR 200242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s
stone
rod
l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승
Original Assignee
감로묘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로묘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감로묘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37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지면에 기립ㆍ설치된 좌ㆍ우측벽 및 후벽과 상기 좌ㆍ우측벽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석문(石門)과 상기 좌ㆍ우측벽 및 후벽의 상면에 지지된 상벽을 가지면서 납골함이 안치되는 소정 공간의 안치실을 형성하는 납골당과, 상기 납골당의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을 덮는 봉분을 구비하는 봉분형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은 판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안치실을 형성하는 제 1 석벽과 상기 제 1 석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석벽과 상기 제 2 석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석회벽과 상기 석회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자갈벽과 상기 자갈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되며 상기 봉분에 의하여 덮히는 찰흙벽을 가지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1 석벽에는 내측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2 석벽과 석회벽과 자갈벽 및 찰흙벽에는 상호 연통된 외측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연통공에는 일단부가 상기 봉분의 외측에 위치된 연통관의 타단부가 연통된 봉분형 납골묘는 봉분 외측의 공기가 상기 공동부에 소정 시간 머무른 후 안치실로 유입되게 하므로, 안치실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석벽도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동부 외측에 형성된 자갈벽의 공기층에 의하여 제 2 석벽이 더욱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안치실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완전히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DEW PREVENTION APPARATUS OF MOUND TYPE CHARNEL GRAVE}
본 고안은 유골이 저장된 납골함이 안치되는 안치실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납골당이란 시체를 화장한 후 남는 뼈 또는 뼈가루 등과 같은 유골을 모셔두는 곳을 말한다. 그러나, 납골당에는 많은 사람의 유골이 동시에 안치되므로, 조상의 영혼을 독립되게 모실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봉분형 묘의 내부에 1구의 유골 또는 가족 단위의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봉분형 납골묘는 결로(結露)현상으로 인하여 유골이 부패하고, 묘의 내부에 심한 악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묘 외부의 공기가 묘 내부로 항상 유입되게 하여 묘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묘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벽의 제 1 석벽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납골당 120 : 봉분
112,113 : 좌,후측석벽 114 : 후벽
115 : 상벽 119a,119b : 내측,외측연통공
130 : 둘레석부 150 : 연통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는
지면에 기립ㆍ설치된 좌ㆍ우측벽 및 후벽과 상기 좌ㆍ우측벽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석문(石門)과 상기 좌ㆍ우측벽 및 후벽의 상면에 지지된 상벽을 가지면서 납골함이 안치되는 소정 공간의 안치실을 형성하는 납골당과, 상기 납골당의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을 덮는 봉분을 구비하는 봉분형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은 판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안치실을 형성하는 제 1 석벽과 상기 제 1 석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석벽과 상기 제 2 석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석회벽과 상기 석회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자갈벽과 상기 자갈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되며 상기 봉분에 의하여 덮히는 찰흙벽을 가지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1 석벽에는 내측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2 석벽과 석회벽과 자갈벽 및 찰흙벽에는 상호 연통된 외측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연통공에는 일단부가 상기 봉분의 외측에 위치된 연통관의 타단부가 연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100)는 소정 공간의 안치실(116)을 가지는 납골당(110)과 봉분(120) 및 원형의 둘레석부(130)를 구비한다.
납골당(110)은 지면에 기립되어 설치된 좌ㆍ우측벽(112,113) 및 후벽(114)과 좌ㆍ우측벽(112,113)의 전면에 설치되어 좌ㆍ우측벽(112,113)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석문(石門)(1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좌ㆍ우측벽(112,113) 및 후벽(114)의 상면에 지지되어 설치된 상벽(115)을 더 포함한다. 안치실(116)은 전면석문(111)과 좌ㆍ우측벽(112,113)과 후벽(114) 및 상벽(115)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말하며, 안치실(116)을 형성하는 좌ㆍ우측벽(112,113) 및 후벽(114)측에는 납골단지를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보관함(117)이 마련된다.
둘레석부(130)는 좌ㆍ우측벽(112,113)의 전면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원형을 이루는데, 둘레석부(130)의 내측에 납골당(110)이 위치된다. 그리고, 봉분(120)은 황토로 제작되며 둘레석부(130)의 범위내에서 좌ㆍ우측벽(112,113)과 후벽(114) 및 상벽(115)을 덮으면서 형성된다. 이때, 봉문(120)에는 잔디가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100)에는 납골당(110)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결로방지장치가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납골당(110)의 좌ㆍ우측벽(112,113)과 후벽(114) 및 상벽(115)은 다양한 형태의 벽이 층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좌ㆍ우측벽(112,113)과 후벽(114) 및 상벽(115)은 각각 제 1 석벽(118a), 제 2 석벽(118b), 석회벽(118c), 자갈벽(118d) 및 찰흙벽(118e)을 가진다.
천연석을 판형태로 가공한 제 1 석벽(118a)에 의하여 안치실(116)이 형성되고, 천연석을 네모지게 가공한 제 2 석벽(118b)이 제 1 석벽(118a)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2 석벽(118b)의 외면에는 석회벽(118c)이 접촉ㆍ설치되고, 석회벽(118c)의 외면에는 자갈벽(118d)이 설치되며, 자갈벽(118b)의 외면에는 찰흙벽(118e)이 설치된다. 천연석은 마모 및 풍화에 강하고, 석회는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硬化)되는 성질이 있다. 자갈은 공극이 크므로 자갈이 쌓여서 형성된 자갈벽(118d)의 공간에는 항상 공기가 유입되게 되고, 찰흙벽(118e)은 자갈벽(118d)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자갈벽(118d)의 공간에는 항상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러면, 자갈벽(118d)과 석회벽(118c) 및 제 2 석벽(118b)은 항상 외부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 2석벽(118b)과 석회벽(118c) 및 자갈벽(118d)에는 이슬이 맺히지 않게 된다.
그리고, 좌ㆍ우측벽(112,113) 및 후벽(114)의 제 1 석벽(118a)의 상측에는 내측연통공(119a)(도 3참조)이 형성되고, 제 2 석벽(118b)과 석회벽(118c)과 자갈벽(118d) 및 찰흙벽(118e)의 하측에는 상호 연통된 외측연통공(119b)(도 2 및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연통공(119a)에는 일단부가 둘레석부(130)의 외측에 위치된 연통관(150)의 타단부가 연통된다. 그러므로, 봉분(120) 외부의 공기가 연통관(150) 및 외측연통공(119b)을 통하여 제 1 석벽(118a)과 제 2 석벽(118b) 사이로 유입된 후, 내측연통공(119a)을 통하여 안치실(116)로 유입된다. 외부의 공기가 제 1 석벽(118a) 및 제 2 석벽(118b)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소정 시간 머문 후 안치실(116)로 유입되므로, 안치실(116) 뿐만 아니라 제 1 석벽(118a)도 항상 외부와 동일한 온도를 가지게 된다. 이로인해, 안치실(116)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안치실(116)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치실(116)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지 않게 된다.
이때, 내측연통공(119a)이 하측에 형성되고, 외측연통공(119b)이 상측에 형성될 수 도 있다. 즉, 내측연통공(119a) 및 외측연통공(119b) 중 어느 하나는 상측에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하측에 위치되게 형성되면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는 자갈벽(118d)의 공간에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하여 제 2 석벽(118b)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고, 내측 및 외측연통공(119a,119b)에 의하여 제 1 석벽(118a)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결로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납골당(110) 및 봉분(120)이 설치된 지면에는 생석회(161)(도 3참조)가 소정 두께로 깔리고, 납골당(110)의 내부의 지면에는 숯(165)(도 3참조)이 덮힌다. 생석회(161)층은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되므로 결로방지의 효과가 있고, 숯(165)은 습도조절 및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벽(115)의 제 1 석벽(118a)과 제 2 석벽(118b)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벽(115)의 제 1 석벽(118a) 및 제 2 석벽(118b)과 접촉하는 지지부재(118f)가 마련된다. 지지부재(118f)는 상벽(115)의 제 1 석벽(118a)과 제 2 석벽(118b)의 테두리부 및 중앙부에 다수개 마련된다. 이때, 중앙부에 설치된 지지부재(118f)는 상벽(115)의 제 1 석벽(118a) 및 제 2 석벽(118b) 보다 짧게 마련되어, 상벽(115)의 제 1 석벽(118a)과 제 2 석벽(118b)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게 한다. 도 1의 미설명부호 167은 발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봉분형 납골묘는 납골당을 형성하는 측벽 및 후벽의 제 1 석벽과 제 2 석벽 사이에 공동부(空洞部)를 형성하고, 봉분 외측의 공기가 상기 공동부에 소정 시간 머무른 후 안치실로 유입되게 하므로, 안치실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석벽도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동부 외측에 형성된 자갈벽의 공기층에 의하여 제 2 석벽이 더욱 외부의 온도와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안치실의 내부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완전히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지면에 기립ㆍ설치된 좌ㆍ우측벽 및 후벽과 상기 좌ㆍ우측벽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석문(石門)과 상기 좌ㆍ우측벽 및 후벽의 상면에 지지된 상벽을 가지면서 납골함이 안치되는 소정 공간의 안치실을 형성하는 납골당과, 상기 납골당의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을 덮는 봉분을 구비하는 봉분형 납골묘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측벽과 후벽 및 상벽은 판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안치실을 형성하는 제 1 석벽과 상기 제 1 석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제 2 석벽과 상기 제 2 석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석회벽과 상기 석회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된 자갈벽과 상기 자갈벽의 외면에 접촉ㆍ설치되며 상기 봉분에 의하여 덮히는 찰흙벽을 가지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1 석벽에는 내측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ㆍ우측벽 및 상기 후벽의 제 2 석벽과 석회벽과 자갈벽 및 찰흙벽에는 상호 연통된 외측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연통공에는 일단부가 상기 봉분의 외측에 위치된 연통관의 타단부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통공 및 외측연통공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지면측과 인접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벽측과 인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의 제 1 석벽과 제 2 석벽 사이에는 상기 상벽의 제 1 석벽 및 제 2 석벽과 접촉하는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납골당 및 봉분이 설치된 상기 지면에는 생석회가 소정 두께로 깔리고, 상기 납골당의 내부의 상기 지면에는 숯이 덮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KR2020010013907U 2001-05-12 2001-05-12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KR200242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07U KR200242637Y1 (ko) 2001-05-12 2001-05-12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07U KR200242637Y1 (ko) 2001-05-12 2001-05-12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995A Division KR20010084932A (ko) 2001-05-12 2001-05-12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37Y1 true KR200242637Y1 (ko) 2001-10-15

Family

ID=7306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907U KR200242637Y1 (ko) 2001-05-12 2001-05-12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68963A (ja) 2重基礎および3重壁を有する結露防止用石材納骨墓
KR200242637Y1 (ko)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KR20010084932A (ko) 봉분형 납골묘의 결로방지장치
JP2009235697A (ja) 合祀墓
KR100337370B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382820Y1 (ko) 습기 및 결로 방지형 가족 납골묘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CN105875253A (zh) 一种生态砖及多孔生态墙
KR200250729Y1 (ko)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납골시설
KR200163430Y1 (ko)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JPS624139Y2 (ko)
KR200291963Y1 (ko) 납골묘
KR200146075Y1 (ko) 납골묘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KR100324996B1 (ko) 납골당 및 그 시공방법
KR200395225Y1 (ko) 이중 납골함의 통풍구조
KR200363412Y1 (ko) 화초 및 수족관을 구비한 실내조경물
KR200390265Y1 (ko) 납골묘
KR200404416Y1 (ko) 환경친화적 비노출형 납골묘
KR200246521Y1 (ko) 사각형 이중구조 납골묘
KR200220428Y1 (ko) 이중벽 구조의 건축물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234836Y1 (ko) 납골묘
KR200333013Y1 (ko) 야외용 한증막
JPS63298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422

Effective date: 2004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