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243Y1 -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 Google Patents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243Y1
KR200242243Y1 KR2020000028812U KR20000028812U KR200242243Y1 KR 200242243 Y1 KR200242243 Y1 KR 200242243Y1 KR 2020000028812 U KR2020000028812 U KR 2020000028812U KR 20000028812 U KR20000028812 U KR 20000028812U KR 200242243 Y1 KR200242243 Y1 KR 200242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tificial
artificial marble
plate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2020000028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243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대리석을 가공및 제작 공정을 거쳐 가구용 유리문짝 대용으로 만들어 사용할수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반적인 문짝 및 유리문짝 겸용으로도 사용 할수도 있도록 기존 인조대리석 판재를 타소재와 가공 및 접합을 통하여 무게를 가겹게 하였으며 문짝에 기존 경첩을 장착할수 있도록 고안 하였다.

Description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scagliola:artificial marble DOOR}
인조 대리석 표면이 얇을 경우 빛을 투영할수가 있어 기존의 스기 유리 형태의 유지가 가능하며 보통시에는 도아의 표면이 동일한 색상을 유지가 가능하여 유리문짝 대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가공과 제작공정을 통하여 새롭게 고안 한 것이다.주거생활의 변화를 꽤하고저 함이며,상용화하여 우리의 시장을 지키고자 고안하게 되었다.일반적인 문짝은 원목,무뉘목,메라민,MDF판넬위도장 류의 소재를 이용하여가운데 부위에 유리를 끼워 사용을 하고 있으며 외부 후레임과 내부의 유리
문짝의 조화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에 부착하여 주거 생활의 새로운 분위기 창출에 일임을 하고자 함이며,가공과 제작과정을 거쳐 전면 문짝의 디자인이 개선되는 효과와 기존의 유리문짝 대체용으로 사용하고자 일체감을 가진 인조석 판재를 얇게 가공 및 접합을하여 경첩을 달수 있도록 타소재를 결합하여 수분으로 인한, 수축 팽창이나, 기름때나 먼지가 끼더라도 세제로 딱았을시 원상태로 복원 되도록 표면 가공을 하였다.
도 1은 기존의 도아로 정면도(A)와,단면도(B)를 도시함.
도 2은 인조대리석 도아의 정면도(A)와,단면도(B)를 도시함.도 3은 인조대리석 도아의 상세 단면도(A)와,손잡이 대용의 인조석이 접합된 상세 단면도(B)를 도시함.도 4의(A)는 도 3의(A)도아 배면도,(B)는 도 3의(B)도아 배면도.
(도 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조석판재 2.인조석 판재 파내기.
3. 접합용 태프. 4. U카팅.
5. V 카팅. 6.인조석 에찌
7.심재용 MDF 판재. 8. 돌출 볼록 깍기.
9. 90도 각 접기. 10.내측면 인조석 쫄대.
11.도장 도색 12.인조대리석 전면깍기.13.경첩 보링. 14. 손잡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무게가 무거운 인조대리석 판재를 가구용 도아 및 유리문짝 대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제작 및 가공공정을 통하여 제작이 가능 하게 하였으며, 경첩을 손쉽게 장착 기존의 가구에 부착하도록 도아 후면에는 심재용 MDF 판재를 가공하여 접착 부위를 강력순간접착제 및 목재용본드와 인조대리석 접합 본드를 사용 각부위에 접합하여 견고하게 제작이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은 기존의 도아로 MDF 판재위에 도장도색을 한후 손잡이를 장착하여 가구용도아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표면의 소재를 달리한 도 2(A,B)는 전면 형태는 같을수 있으나 표면의 소재와 단면(B) 내부를 도시한 바와 같이, 인조대리석 판재를 파내기와 MDF 판재를 가공 접합공정을 통하여 도아 단면도 상의 가운데 부위가 얇게 파여져 있다.
도 3(A)은 본고안에 따른 단면 상세도로 전면 인조 대리석 판재(1)로 인조대리석 판재를 규격 사이즈로 절단 하여 후면은 곱게 사포질을 하며, 인조대리석의 무게를 낮추며 유리문짝 대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해진 부위(2)를 파내기를 한후 판재 전면 사면을 태핑(3)을 한다.후면사이드 측사면을 직각 또는 U카팅(4)(도 3의(B)) 형태로 가공을 하며 다시 내측사면을 V카팅(5)을 한다.필요한 일정 두께 심재용 MDF 판재(7)를 인조석 판재와의 접합시는 순간접착재를 사용 결합을 한다.
도 3의(A)심재용 MDF(7)의 측사면을 가공기계로 깍기를 하며 타입은 직각으로 깍아 접합시 틈이 없도록 한다.
도 3의(B)오목타입 에찌(6)와 접합되는 MDF측면은 볼록(8)형태(도 3의(B))를 취하므로써 인조대리석 측에찌부분(6)을 90도(9) 각도로 접합시 꽉 끼도록하여 내부 인조석 본드가 결합을 더 정확히 할수가 있다.
특히 측 사면(6)을 내부의 MDF판재(7)와 인조석 에찌가 물리도록 함으로써 큰 도아를 제작시 휠수있는 소지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조석 쫄대를 내측4면(10)에 접합을 하여 약간의 턱이 생기 도록 접합을 하도록 한다.
턱이지는 부위를 하도도장 공정후 우레탄 도장도색(11)을 하여 턱이 없어지도록 도색을 한후 도아의 전면이 되는(12)부위를 일정한 형태로 면치기 공정을 하여 깍아 무게를 낮추면서 도아의 형태를 갖추도록 한다.
그리고 난후 도 4의(A,B) 도아의 배면부위(13)에 경첩을 부착 할수 있도록 보링을 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도 3의 도(B)는 손잡이를 별도로 부착을 하지않고 직접 손잡이 역활(14)를 할수있도록 인조대리석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도(B)의 MDF판넬(7) 한쪽면을 일정형태로 깍아낸후 순간접착재를 도포하여 접합 결합한후 일정형태로 가공을 하여 손잡이로 사용시 대리석의 보드러움을 느낄수 있다.위의 V카팅(5)한 부위에 인조대리석 본드로 접합할시는 이음매가 나지 않는것이 특징이다.
도 2의(B) 측사면(6) 및 도아의 전면(1)를 물샌딩 공정을 거쳐, 인조 대리석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어 찌든기름때를 제거할수 있으며, 종래의 도아와 같이 갈라지거나 표면이 변색되는 우려가 없다.그리고 종래의 이음매 부위와 습기나 열로 인한 터지거나 표면에 기스가 날시는 그대로 사용을 하여야 하였으나 자재가 불연재인 인조대리석으로 단점을 개선 할수있다.일반적인 도아 에다가 유리를 끼워 사용을 하는데 불이의 사고로 몸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으나 인조대리석 도아를 유리문 대체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 할수가 있다.
따라서 ,인조대리석 판재의 무게로 인하여 가구용도아로 사용하기가 어려웠으나 이러한 공정 단계로 제작 됨으로써 대리석 표면의 미려함과 도아표면을 다양한 디자인모양의 형태와 색상을 갖추며 가구용도아 및 유리도아 대체용으로 적용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의하면 가구문짝이 기존의 소재를 응용및 신소재를 접목시켜 새로운 문짝으로 사용할시 표면이 수막이 형성되어 물에강하며,불연재 소재를 사용한 판재를 사용하므로서 열에강하며, 표면 안마를 하므로서 기름때나 찌들더라도 세제나 표면을 재가공 함으로서 원상태를 유지할수가 있어 실용성과 영구성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도아를 일반문짝과 유리문짝의 이중의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기존의
MDF 나 원목문짝 보다 가볍게 제작 됨으로서 경첩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Claims (1)

  1. 기존의 문짝소재가 아닌 무게가 4배 가깝게 무거운 인조대리석 판재(1)를 내부파내기(2)와 인조석 판재전면을 접합용 태프(3)를 태핑후 판재후 사면을 V카팅(5)을 하여 그부위에 인조석 본드를 도포한후 외측면 인조석쫄대(6)를 90도 각도로 접합시 견고하게 결합이 되며 또한 인조석 에찌내측면을 오목 및 볼록 타입으로 맞물려 휨을 방지 할수가 있다.
    도아의 무게를 낮추기 위하여 표면사면(12)을 깍아 낸후 연마 공정으로 도아 전면과 측면이 수막이 형성되도록 하며, 경첩을 견고하게 부착할수 있도록 고밀도 MDF(7)를 내장된 가구용 도아에 있어서, 기존의 도아보다 가볍고 견고하게 제작되어 기존의 경첩을 사용할시 도아의 수명은 더 길어지며, 인조대리석을 일정크기로 가공 접합(14) 할시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도아 및 유리문짝 대체용 도아.
KR2020000028812U 2000-10-16 2000-10-16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KR200242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812U KR200242243Y1 (ko) 2000-10-16 2000-10-16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812U KR200242243Y1 (ko) 2000-10-16 2000-10-16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243Y1 true KR200242243Y1 (ko) 2001-09-26

Family

ID=7309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812U KR200242243Y1 (ko) 2000-10-16 2000-10-16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2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8551A (en) Relief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10143126A (ja) 化粧基材及び建材
KR200242243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JP2005009140A (ja) 化粧床材
KR200242242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KR200242238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KR200242239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USD417013S (en) Set of glass inset panels for a front door and matching sidelight windows
US20210198940A1 (en) Cabinet do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reof
KR200242237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KR200242241Y1 (ko) 가구용 인조대리석 도아
WO2020194131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joint for door and window 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pvc, and related joint
KR100430796B1 (ko) 인조대리석 판재를 가공 및 제작단계로 가구용 문짝제작방법 및 공정단계 방법.
EP0899409A2 (de) Fensterbank und Reparaturset für eine Fensterbank
DE19819535C2 (de) Kunststoffrahmen
WO2020194129A1 (en) Profiled element for the manufacture of a joint for window and door 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pvc and relevant kit for the manufacture of a joint
JP3181872B2 (ja)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40081A1 (fr) Element de carrelage pour le revetement de sols ou de murs
CN213359222U (zh) 一种墙面板的装配式安装组件
GB2483935A (en) A welded cruciform fenestration assembly joint with plastic cover
JP2007002418A (ja) 木質枠材
JPH08177330A (ja) 加飾部付框とガラスを有する扉
JPH07233674A (ja) 框 材
JP2017057555A (ja) 化粧目地付きパネル及びドア
KR200310918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