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011Y1 -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 Google Patents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011Y1
KR200242011Y1 KR2020010006077U KR20010006077U KR200242011Y1 KR 200242011 Y1 KR200242011 Y1 KR 200242011Y1 KR 2020010006077 U KR2020010006077 U KR 2020010006077U KR 20010006077 U KR20010006077 U KR 20010006077U KR 200242011 Y1 KR200242011 Y1 KR 200242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groove
brace
guide groove
chop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07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필수
구종철
Original Assignee
김필수
구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수, 구종철 filed Critical 김필수
Priority to KR2020010006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01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011Y1/en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질이 서투른 어린아이나 성인 또는 젓가락을 통상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이 젓가락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젓가락질을 훈련시키고 교정하는데 사용하는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correctable chopsticks used for training and correcting chopsticks to facilitate chopsticks for infants, adults, or foreigners who do not normally use chopsticks.

즉, 본 고안은 좌우 1조로 분리된 두 개로 이루어진 젓가락(1;1a,1b)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젓가락(1;1a,1b)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이 각각 형성되고, 두 개의 지지바(2,3) 중앙부위에 형성된 핀(3a)과 조립공(2a)을 통해 X자형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두 개의 지지바(2,3) 상단이 연결바(4)로 연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버팀대(X)가 상기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을 통해 삽입 조립되어 두 개의 젓가락(1;1a,1b)을 상호 구속하며, 젓가락질 할 때 버팀대(X)의 상단 연결바(4)에 인해 두 젓가락(1;1a,1b)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버팀대(X)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opsticks (1; 1a, 1b) consisting of two separated into a set of left and right, the two chopsticks (1; 1a, 1b)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ixed groove (1c) and the guide groove (1d) is formed, respectively, is assembled in the X-shape through the pin (3a) and the assembly hole (2a)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wo support bars (2, 3) and at the same time the top of the two support bars (2,3) are connected A brace (X) connected to the bar (4) and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is inserted and assembled through the fixing groove (1c) and the guide groove (1d) to restrain the two chopsticks (1; 1a, 1b) to each other. When the chopsticks, the upper connecting bar (4) of the brace (X) due to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chopsticks (1; 1a, 1b)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brace (X)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It features.

Description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Chopsticks for Correcting Chopsticks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본 고안은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젓가락의 사이에 X자형 버팀대를 조립하여 이 버팀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젓가락질이 서투른 어린아이나 성인 또는 젓가락을 통상 사용하지 않는 외국인이 젓가락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젓가락질을 훈련시키고 교정하는데 사용하는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opsticks that can correct chopsticks, and more particularly, by assembling an X-shaped brace between two chopsticks so that it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brace, so that the chopsticks are poor for infants or adul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opsticks capable of correcting chopsticks used for training and correcting chopsticks so that foreigners who do not normally use them can facilitate chopsticks.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동양인의 음식문화 특성상 음식을 먹을 때 젓가락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s is known, chopsticks are frequently used when eating fo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sian food culture.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 젓가락은 좌우 1조로 분리 구성되어 있고, 젓가락을 사용할 때는 한 손을 사용하여 파지한 후 젓가락의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근접되면서 이들 선단부로 음식물을 집도록 되어 있다.The chopsticks used in this way are separated into one set of left and right, and when using chopsticks, the chopsticks are grabbed with one hand and the tip of the chopsticks is selectively approached to pick up the food with these tips.

그런데, 이외로 젓가락 사용법이 올바르지 않고 서툰 사람이 많음은 물론, 젓가락 사용법을 익히지 못한 서양인의 경우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이다.By the way, in addition to the use of chopsticks is not correct, many people, as well as Westerners who have not learned how to use chopsticks is difficult to learn how to use the correct chopsticks.

즉, 젓가락은 초보 사용자의 경우 숙달이 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미숙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음식물을 집은 상태에서 들어 올리다가 젓가락에 가해지는 힘의 분배를 적절히 행하지 못하여 음식물이 중도에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상황이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chopsticks tak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become proficient for beginners, and when used in an immature state, the food falls down due to a failure to properly distribute the force applied to the chopsticks while picking up the food. There were various inconveniences.

특히, 젓가락을 사용해 본 경험이 없는 서양인의 경우 그 사용법을 알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는 광경으로서 실제 젓가락은 숟가락이나 포크 등에 비해 사용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In particular, Western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using chopsticks often see difficulties when they do not know how to use them. Actually, chopsticks are actually more difficult to use than spoons and forks.

그리고 젓가락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도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할 때 불편함과 어색함이 있었다.And even for those who use chopsticks, the proper use of chopsticks should be taken with great care, and there was inconvenience and awkwardness when not used correctly.

예를 들어, 젓가락을 손으로 잡은 후 좌우 1조로 이루어진 젓가락의 길이가 단부에서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를 일치하도록 교정을 해야하고, 올바르지 못한 젓가락질로 인해 타인으로부터 무안을 당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For example, after holding a chopstick by hand, if the length of a pair of left and right chopsticks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t the end, it has to be corrected to match them, and it is often faced by others because of incorrect chopsticks.

이와 같은 젓가락의 통상적인 올바른 젓가락 사용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rrect way of using chopsticks in a typical chopsticks with reference to Figure 1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젓가락을 잡을 때에는 두 개의 젓가락(10,11) 중의 하나의 젓가락(10)을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에 놓은 다음,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젓가락(11)을 인지(21)와 중지(22)의 끝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21)의 뿌리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엄지(2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First, as shown in Figure 1, when holding the chopsticks, one of the two chopsticks (10, 11) of the chopsticks (10) of the first finger of the ring finger (23) of the finger and the thumb 20 and the recognition 21 After placing it in between, the middle part of the thumb 20 is pressed and fixed, and the other chopstick 11 is placed on the point between the end of the perception 21 and middle finger 22 and the root of the perception 21 Then press the end of the thumb 20 to hold it.

그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젓가락(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다른 젓가락(11)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21)와 중지(22)로 젓가락(11)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가며 젓가락질을 하여 필요한 물건을 집게된다.Then, as shown in Figure 2, while the one chopsticks (10) is fixed in the state of pressing the other chopsticks 11 to the end of the thumb 20 as a reference point recognition 21 and middle finger 22 Rotating the chopsticks 11 by a certain angle while picking up the necessary things by chopstick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올바른 젓가락질의 동작상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젓가락(10,11) 두 개를 여러 손가락으로 능숙하게 다룰 수 있기까지에는 많은 반복적인 훈련 및 노력이 필요하다.However, as can be seen in the correct operation of the chopsticks as described above, a lot of repetitive training and effort is required to be able to skillfully handle two chopsticks (10, 11) with several fingers.

그리고, 상기 젓가락(10)이 약지(23)의 끝 부위에서 미끄러져 쉽게 고정이 되지 않고, 엄지(20), 인지(21) 및 중지(22)의 세 손가락을 이용하여 젓가락(11)을 동일 평면상에서 일정궤적으로 회전운동을 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In addition, the chopsticks 10 are not easily fixed by sliding at the end of the ring finger 23, and the chopsticks 11 are identical by using three fingers of the thumb 20, the finger 21 and the middle finger 22. It is not easy to make the rotational movement in a constant trajectory on the plane.

그 뿐만 아니라 젓가락(10,11) 두 개를 여러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조차 그리 간단하지 않으므로 젓가락질을 숙달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잘못된 젓가락(10,11)의 파지법으로 인하여 일생동안 교정이 안된 상태로 불편하게 젓가락질을 하는 성인도 적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Not only that, even holding two chopsticks (10, 11) with multiple fingers is not so simple, so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master the chopsticks and corrects them for a lifetime due to the wrong holding method of chopsticks (10, 11). There are not many adults who are uncomfortable chopsticks in this stat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의 젓가락 사이에 X자 형식의 버팀대를 이용하여 어린이의 젓가락 사용은 물론 어른의 젓가락 교정을 통하여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면서 특히 잘못된 습관으로 젓가락질을 하는 성인들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learn how to use chopsticks by correcting the chopsticks of adults as well as the use of children's chopsticks by using an X-shaped brace between two chopsticks. It is to provide chopsticks that can correct the chopsticks, so that even adults who chopsticks with wrong habits can correct it.

도 1 및 도 2는 올바른 젓가락질을 위해 젓가락을 잡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of holding the chopsticks for correct chopstick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질 교정장치가 조립된 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hopsticks assembled chopsticks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에 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an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사용하여 젓가락질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시도.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using chopsticks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names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a,1b : 젓가락 1c : 고정홈1,1a, 1b: Chopsticks 1c: Fixing Groove

1d : 가이드홈 2,3 : 지지바1d: guide groove 2,3: support bar

2a : 조립공 2b,2c,3c,3d : 회동구2a: assembly hole 2b, 2c, 3c, 3d: rotating hole

3a : 핀 3b : 목부3a: pin 3b: neck

4 : 연결바 X : 버팀대4: connecting bar X: bra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 1조로 분리된 두 개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젓가락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홈과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두 개의 지지바 중앙부위에 형성된 핀과 조립공을 통해 X자형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두 개의 지지바 상단이 연결바로 연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버팀대가 상기 고정홈과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 조립되어 두 개의 젓가락을 상호 구속하며, 젓가락질 할 때 버팀대의 상단 연결바에 인해 두 젓가락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버팀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wo chopsticks consisting of a set of left and right, the two chopsticks are fixed grooves and guide groov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espectively Assembled in an X shape through pins and assembly hole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and at the same time, two support bar top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and a brace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is inserted and assembled through the fixing groove and the guide groove to make two chopsticks. When the chopsticks are bound to each other, the chopsticks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brac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chopsticks due to the upper connecting bar of the brace.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질 교정장치가 조립된 젓가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에 고정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사용하여 젓가락질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시도 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opsticks assembled with a chopsticks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ed groove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t is an example of use showing the state of chopsticks using chopsticks.

이때, 본 고안을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붙이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prior art are denoted by the same nam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 1조로 분리된 두 개로 이루어진 젓가락(1;1a,1b) 사이에 X자형 버팀대(X)로 서로 연결하여 젓가락질 할 때, 두 개의 젓가락(1;1a,1b)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X자형 버팀대(X)를 중심으로 젓가락(1;1a,1b)의 하단부가 일정각도로 자유로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n X-shaped brace (X) between two chopsticks (1; 1a, 1b) consist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when chopsticks, two chopsticks ( 1; 1a, 1b)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s (1; 1a, 1b) is free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X-shaped brace (X)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젓가락(1;1a,1b)에는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Here, the two chopsticks (1; 1a, 1b) is formed with a fixed groove (1c) and a guide groove (1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의 형태는 각각 반구형을 갖는 두개의홈이 위아래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그 중에 고정홈(1c)은 원형 형태를 갖는 두 홈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홈은 후술하는 지지바(2,3)의 회동구(2b,3c)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나머지 홈은 회동구(2b,3c)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groove (1c) and the guide groove (1d)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grooves each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is continuously connected up and down, wherein the fixing groove (1c) is a two grooves having a circular shape One groov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s of the turning holes 2b and 3c of the support bars 2 and 3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groov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urning holes 2b and 3c.

이는 지지바(2,3)의 회동구(2b,3c)가 고정홈(1c)의 큰 홈 쪽으로 삽입된 후에 작은 홈 쪽으로 이동시킬 경우 회동구(2b,3c)가 고정홈(1c)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rotating holes 2b and 3c of the support bars 2 and 3 are inserted into the large grooves of the fixing groove 1c and then moved to the small grooves, the rotating holes 2b and 3c are removed from the fixing grooves 1c. This is to avoid.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d) 역시 원형 형태의 홈과 길이방향을 갖는 장공 형태의 홈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원형으로 된 홈쪽으로 지지바(2, 3)의 회동구(2c,3d)를 삽입한 후에 장공이 형성된 홈 쪽으로 회동구(2c,3d)를 이동시켜 회동구(2c,3d)가 가이드홈(1d)에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d) also consists of a circular groove and a groove-shaped groov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otating holes (2c, 3d) of the support bar (2, 3) toward the circular groove After the insertion, the turning holes 2c and 3d are moved toward the grooves in which the long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turning holes 2c and 3d do not fall out of the guide groove 1d.

이때, 가이드홈(1d)에서 장공 형태의 홈은 젓가락질을 할 때 버팀대의 움직임에 따라 지지바(2,3)의 회동구(2c,3d)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ong groove-shaped groove in the guide groove (1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to move the pivoting holes (2c, 3d) of the support bar (2,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race when chopsticks It is preferable to form long.

상기 X자형 버팀대(X)는 두 개의 지지바(2,3)를 X자형으로 연결하고, 이렇게 X자형으로 연결된 지지바(2,3)의 상단을 다시 연결바(4)로 연결하여 항상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The X-shaped brace (X) is connected to the two support bars (2,3) in the X-shape, and by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X-shaped support bar (2,3)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4) always constant It takes the form of keeping the gap.

그리고, 두 개의 지지바(2,3)의 양 선단에는 둥근 형태의 회동구(2b와 2c, 3c와 3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바(2,3)의 회동구(2b와 2c, 3c와 3d)는 젓가락(1;1a,1b)의 소정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에 각각 삽입되어 버팀대(X)가 젓가락(1;1a,1b) 사이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At both ends of the two support bars 2 and 3, round pivots 2b and 2c, 3c and 3d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pivot holes 2b and 2c of the support bars 2 and 3, respectively. , 3c and 3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xed groove 1c and the guide groove 1d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chopsticks 1; 1a and 1b so that the brace X is the chopsticks 1; 1a and 1b. It is supposed to be assembled in between.

이때, 상기 두 개의 지지바(2,3)를 연결하여 버팀대(X)를 조립하는 방법은, 도 3의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에 위치한 지지바(3)의 중앙부위에 핀 (3a)을 돌출 형성하고, 다른 지지바(2)에는 상기 핀(3a)을 끼워 조립할 수 있는 조립공(2a)을 형성하여 서로 연결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brace (X) by connecting the two support bars (2, 3),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ure 3, the pin (3a)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bar 3 located below )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other supporting bar 2 is provided with an assembling hole 2a through which the pin 3a can be fitted to be assembled.

상기 핀(3a)은 상부 선단 부위가 원반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핀(3a)의 저면에서 병목형태로 축소된 목부(3b)를 통해 지지바(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pin 3a has an upper end portion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support bar 3 through a neck portion 3b reduced in a bottleneck shape at the bottom of the pin 3a.

상기 조립공(2a)은 통상의 플라이어(pliers) 공구를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구멍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구멍은 상기 핀(3a)의 직경보다 크고 다른 하나의 구멍은 핀(3a)의 직경보다 작은 형태로 되어 있고, 이때, 작은 구멍은 길이방향을 갖는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바(3) 움직임에 따라 핀(3a)이 조립공(2a) 내에서 일정정도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assembling hole 2a has a shape in which two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in the case of assembling a normal pliers tool, and one hol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3a and the other hole of the pin 3a. It has a shape smaller than the diameter, in this case, the small hole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in (3a) can be mov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assembly hole (2a)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ar (3).

즉, 상기 두 개의 지지바(2,3)를 조립하여 버팀대(X)를 형성할 할 때, 상기 핀(3a)을 조립공(2a) 중에 큰 구멍을 통해 끼우고 나서 핀(3a)의 목부(3b)를 통해 작은 구멍 쪽으로 이동시켜 핀(3a)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That is, when assembling the two support bars (2, 3) to form the brace (X), the pin (3a) is inserted through the large hole in the assembly hole (2a) and then the neck of the pin (3a) By moving toward the small hole through 3b), the pin 3a is fixed so as not to fall out.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지지바(2,3)의 상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바(4)는 두 개의 젓가락(1;1a,1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지지바와 하나의 연결바로 구성된 X자형 버팀대가 두개의 젓가락 사이에 삽입 조립되어 두 개의 젓가락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젓가락질을 하도록 되어 있다.And, the connecting bar (4)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upport bars (2, 3) serves to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two chopsticks (1; 1a, 1b), and The X-shaped brace consisting of two supporting bars and one connecting bar is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wo chopsticks to chopsticks while the two chopstick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젓가락(1;1a,1b)은 금, 은, 동,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할 수 있으나, 가공 및 성형에 문제가 없는 재질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량생산을 위하여 플라스틱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hopsticks (1; 1a, 1b)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copper, stainless,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terial if there is no problem in processing and molding, it is to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for mass production desirable.

또한, 주로 젓가락질이 서투른 사람들의 훈련 및 교정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그 규격은 다양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ainly used for the training and correction of people who are poor at chopsticks,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variety of specification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사용예시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올바른 젓가락질을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잡을 때에도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젓가락(1; 1a,1b) 중의 하나의 젓가락(1b)을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에 놓은 다음,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젓가락(1a)을 인지(21)와 중지(22)의 끝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21)의 뿌리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엄지(2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5. In brie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holding the chopsticks,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are two chopsticks (1 One chopstick 1b of 1a, 1b is placed between the first segment of the ring finger 23 of the finger and the thumb 20 and the cognitive 21, and then pressed into the middle portion of the thumb 20 to fix the other. One chopstick (1a) is placed on the point between the end of the cognitive 21 and middle finger 22 and the root of the cognitive 21, and then pressed to the end of the thumb 20 to hold.

그리고, 젓가락(1b)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젓가락(1a)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21)와 중지(22)로 젓가락(1a)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가며 젓가락질을 하여 필요한 물건을 집게된다.Then, the chopstick 1a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ecognition 21 and the middle finger 22 with the reference point as the reference point where the chopstick 1a is fixed to the end of the thumb 20 while the chopstick 1b is fixed. Chopsticks and pick up the necessary things.

이때, 젓가락(1a)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에 버팀대(X)의 연결바(4)가 위치하면서 두 젓가락(1;1a,1b)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고, 상기 버팀대(X) 가운데 부위에 위치한 핀(3a)과 조립공(2a)을 중심으로 젓가락(1a)이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r (4) of the brace (X) is positioned at the point where the chopstick (1a) is pressed to the end of the thumb 20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two chopsticks (1; 1a, 1b) The chopsticks 1a are rotated around the pin 3a and the assembly hole 2a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race X, and the chopsticks are chopped.

이처럼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면서 가운데 기준점을 중심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젓가락이 미끄러지더라도 항상 올바른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보다 쉽게 젓가락질에 익숙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the chopsticks are made around the center reference poin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at all times, so that even if the chopsticks slip, the correct intervals will always be maintained, making it easier to get used to the chopstick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두 개의 젓가락이 X자형 버팀대를 통해 상호 구속되고, 버팀대를 중심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일정 간격을 유지한 체 일정각도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어린아이나 젓가락질이 서투른 사람이라도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젓가락질을 훈련하고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chopsticks are mutually restrained through the X-shaped braces, and the chopsticks are poor because they can be rotated at a constant angle with a constant interval on the same plane about the braces. Even if a person holds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train and correct chopsticks.

Claims (3)

좌우 1조로 분리된 두 개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In the two chopsticks separated into a pair of left and right, 상기 두 개의 젓가락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홈과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두 개의 지지바 중앙부위에 형성된 핀과 조립공을 통해 X자형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두 개의 지지바 상단이 연결바로 연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버팀대가 상기 고정홈과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 조립되어 두 개의 젓가락을 상호 구속하며, 젓가락질 할 때 버팀대의 상단 연결바에 인해 두 젓가락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버팀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Fixed grooves and guide groov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predetermined positions at the two chopsticks, respectively, and are assembled in an X-shape through pins and assembly holes formed at two center portions of the support bars, and at the same time, the two support bar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s. A brace configured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is inserted and assembled through the fixing groove and the guide groove to restrain the two chopsticks mutually, and when the chopsticks,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chopsticks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due to the upper connection bar of the brace. Chopsticks can be chopstick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otated at a certain 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젓가락에 형성된 고정홈과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두 개의 지지바 양단에는 구형의 회동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Chopstick correction possible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rotating spher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chopstick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젓가락에 형성된 고정홈과 가이드홈은 각각 반구형을 갖는 두개의 홈이 위아래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The fixed groove and the guide groove formed in the chopsticks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two grooves each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are continuously connected up and down; 상기 고정홈을 이루는 하나의 홈은 상기 지지바의 회동구 직경보다 약간 크고 다른 또 하나의 홈은 회동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One groove constituting the fixing groov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hole of the support bar and the other groov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hole, 상기 가이드홈을 이루는 하나의 홈은 상기 지지바의 회동구 직경보다 약간 크고 다른 또 하나의 홈은 회동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One groove constituting the guide groove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hole of the support bar and the other groove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hole chopsticks correctable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KR2020010006077U 2001-03-07 2001-03-07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KR20024201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77U KR200242011Y1 (en) 2001-03-07 2001-03-07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077U KR200242011Y1 (en) 2001-03-07 2001-03-07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011Y1 true KR200242011Y1 (en) 2001-10-18

Family

ID=7309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077U KR200242011Y1 (en) 2001-03-07 2001-03-07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011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6159B2 (en) Practice chopsticks with finger pad for straightening chopsticks
KR200242011Y1 (en) Chopstick correcting for use of chopstick
KR100720828B1 (en) Tweezers Type Chopsticks
KR200377102Y1 (en) Tweezers Type Chopsticks
KR200380913Y1 (en) Chopsticks quality training chopsticks
KR0138607Y1 (en) Chopsticks Training Chopsticks
KR101047916B1 (en) Chopstick Mastery Gloves
KR200406177Y1 (en) A grip-corrective pen holder
JP3628684B2 (en) Training tool for holding gripped rod
KR200387991Y1 (en) Chopstick having a pads
JP5922354B2 (en) Practice chopsticks for infants
JP3034180U (en) Equipment for learning how to hold chopsticks correctly
KR200317781Y1 (en) Chopstick
KR20020088215A (en) Chopsticks for training
CN218127998U (en) A kind of chopsticks
KR200233444Y1 (en) Chopsticks for Pediatric Eating
KR200166272Y1 (en) A pair of chopstick
CN218127997U (en) Training chopsticks
JPS5812188Y2 (en) Chopsticks for teaching how to hold
CN219920797U (en) Correction chopsticks
KR200357514Y1 (en) Correcting chopsticks
KR200202483Y1 (en) Chopsticks for Pediatric Practice
KR200471973Y1 (en) Hinge Device and Training Chopsticks having it
JPH0822242A (en) Means for correcting and training way of holding bar to be grasped
KR20100006242A (en) A betterment type chop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