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991Y1 - Chopstick having a pads - Google Patents

Chopstick having a pa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991Y1
KR200387991Y1 KR20-2005-0010218U KR20050010218U KR200387991Y1 KR 200387991 Y1 KR200387991 Y1 KR 200387991Y1 KR 20050010218 U KR20050010218 U KR 20050010218U KR 200387991 Y1 KR200387991 Y1 KR 200387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hopstick
present
pad portion
gripp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21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필수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필수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수, 김재영 filed Critical 김필수
Priority to KR20-2005-0010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9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99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제1젓가락(10) 및 제2젓가락(11)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13)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3)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2젓가락(10,11)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14)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2젓가락(11)에는 패드부(18)가 마련되되, 상기 패드부(18)는 젓가락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제2젓가락(11)이 접촉하게 되는 파지면 상에 위치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guide shaft 13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2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chopsticks 10 and the second chopsticks 11, In the chopstick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ivot shaft 14 is assemb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uide shaft 13, the second chopsticks 11 have pads. The part 18 is provided, but the pad part 18 is located on the gripping surface where the user's hand holding the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1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패드부(18)는 플렉시블 한 재질로 제작되어 제2젓가락(11)의 파지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젓가락(11)의 파지면 자체에 다수개의 작은 요철 형상을 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ad portion 18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preferably attached separately to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a plurality of small irregularities on the gripping surface itself of the second chopsticks 11 It may also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prevent the slip.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접촉면에서 패드부에 의해 젓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chopsticks in a state of correctly holding the chopstick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hopsticks slipping by the pad portion at the contact surface.

Description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CHOPSTICK HAVING A PADS}Chopsticks with anti-slip structure {CHOPSTICK HAVING A PADS}

본 고안은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젓가락에 있어서, 사용자의 파지면에 접촉하는 젓가락 부위에 패드부를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접촉면에서 패드부에 의해 젓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chopsticks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by providing a pad portion at a chopstick portion in contact with a user's grip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chopsticks are correctly gripp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that can prevent slippage of the chopstick by the pad portion at the contact surface when using the chopstick.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린아이나 음식문화가 다른 외국인이 처음 젓가락을 접하게 될 때,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으면서 사용이 용이한 개량된 젓가락 및 연습용 젓가락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As you know, it is difficult to learn how to use the correct chopsticks when a child or a foreigner with a different food culture first encounters chopsticks.Therefore, there are a variety of improved chopsticks and practice chopsticks that make it easier to learn how to use the correct chopsticks. It is researched and developed.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때, 고정된 하나의 젓가락을 중심으로 다른 하나의 젓가락이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젓가락의 끝단이 항상 일치할 수 있게 한 짝의 젓가락 사이에 가이드축과 회동축을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처음 접하는 어린아이나 외국인, 또는 젓가락 사용법의 교정이 필요한 사람들이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 자체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젓가락에 대해 제시하고 실용신안 출원 바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hopsticks are properly gripped by the applicant, the guides are arranged between a pair of chopsticks so that one end of the chopsticks can be rotated at an angle with the other one fixed around the fixed chopsticks. By providing a shaft and a rotating shaft, children and foreigners who are new to chopsticks, or those who need to correct the use of chopsticks will not only learn how to use chopsticks more easily, but also present chopsticks that make using chopsticks easier. Utility model has been applied.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출원(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57490호, 2004.7.19.등록)된 젓가락은, 한 짝으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일측 젓가락(1)의 상단부 쪽에 형성된 가이드홈(1a)을 따라 이동하도록 타측 젓가락(2)의 고정홈(2a)에 고정됨과 동시에 한 짝의 젓가락(H;1,2)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축(3)과, 상기 가이드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한 짝의 상기 젓가락(H;1,2) 가운데 부위에 조립되어 상기 일측 젓가락(1)이 젓가락질에 따라 회동할 때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회동하도록 일단이 타측 젓가락(2)의 체결홈(2b)에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일측 젓가락(1)에 마련된 회동홈(1b)의 고정핀(1c)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한 짝의 젓가락(H;1,2)을 상호 구속하는 회동축(4)을 갖는 구성되어 있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7490, registered on July 19, 2004) by the present applicant, in a pair of chopsticks, one side chopsticks (1) A guide shaft 3 fixed to the fixing groove 2a of the other chopstick 2 so as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1a formed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guide shaft 3 and connecting the pair of chopsticks H; It is assembled at a portion of the pair of chopsticks (H; 1, 2)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uide shaft (3) so that one end to rotat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when the one side chopsticks (1) rotates according to the chopsticks It is fixed to the fastening groove (2b) of the other side chopsticks (2) and at the same time the oth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around the fixing pin (1c) of the rotation groove (1b) provided in one side chopsticks (H); It was comprised with the rotation shaft 4 which mutually restrains 1,2).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젓가락(H)을 이용하여 올바른 젓가락질을 위한 파지법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한 짝의 젓가락(H;1,2)을 잡을 때, 두 개의 젓가락(H;1,2) 중 하나의 젓가락(2)을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에 놓은 다음,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젓가락(1)을 인지(21)와 중지(22)의 끝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21)의 뿌리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 엄지(2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Looking at the gripping method for the correct chopsticks using the chopsticks (H)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 when first holding a pair of chopsticks (H; 1, 2), two chopsticks (H; 1) One of the chopsticks (2) between the first finger of the ring finger 23 and the thumb 20 and the finger 21 of the finger, and then press the middle part of the thumb 20 to fix it, Place the chopstick 1 on the point between the end of the cognitive 21 and middle finger 22 and the root of the cognitive 21, and then press the chopstick (1) to the end of the thumb (20).

그리고, 상기 젓가락(2)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젓가락(1)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회동축(4) 근처)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21)와 중지(22)로 젓가락(1)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필요한 물건을 집게 된다. Then, the chopsticks (21) and middle finger (22) with the cognitive (21) and middle finger (22) with the reference point (near the rotation shaft (4)) pressed the chopstick (1) to the end of the thumb 20 in the fixed state Rotate (1) by a certain angle to pick up the necessary items.

다시 말해, 상기 젓가락(1)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 부근에 회동축(4)이 위치하면서 두 젓가락(H;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게 되고, 상기 회동축(4)을 연결하는 회동홈(1b)의 고정핀(1c)을 중심으로 젓가락(1)이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을 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ile the rotation shaft 4 is positioned near the point where the chopstick 1 is pressed toward the end of the thumb 20,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chopsticks H; 1 and 2 is kept constant. The chopsticks 1 rotate about the fixing pin 1c of the rotation groove 1b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4 to chopsticks.

이와 동시에 상기 젓가락(1)의 상단부에 마련된 가이드홈(1a)에 관통된 가이드축(3)을 따라 움직이는 젓가락(1)이 회동각 만큼 벌어지면서 이동하게 된다. At the same time, the chopsticks 1 moving along the guide shaft 3 penetrated by the guide groove 1a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1 are moved by the rotation angle.

이처럼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가운데 회동축(4)을 중심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축(3)을 따라 젓가락(1)이 이동하기 때문에 한 짝의 젓가락(H;1,2)이 서로 어긋남 없이 항상 일정한 궤적을 그리게 되며, 따라서 젓가락(1)이 미끄러지지 않고 항상 올바른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보다 쉽게 젓가락질에 익숙해 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chopsticks are made around the rotational shaft 4 among the sieves that maintain constant intervals, and the chopsticks 1 move along the guide shafts 3 so that a pair of chopsticks H and 1,2 It will always draw a constant trajectory without deviating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hopsticks (1) do not slip and always maintain the correct spacing so that they can be used to chopsticks more easily.

그러나, 상기 젓가락(H;1,2)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H;1,2)을 사용할 때, 사용자의 파지면(혹은 접촉면)에서 고정된 젓가락(2)이 미끄러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However, when using the chopsticks (H; 1, 2) in the state of correctly holding the chopsticks (H; 1,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ed chopsticks (2) on the gripping surface (or contact surface) of the user can slip Found.

특히, 젓가락질이 익숙하지 않은 어린아이들이 젓가락(H;1,2)을 불안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H;1,2)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가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의 파지면에서 고정된 젓가락(2)이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In particular, when a child unfamiliar with chopsticks grips the chopsticks (H; 1, 2) unstabl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acting on the chopsticks (H; 1, 2) becomes unstable. The problem of slipping easily fixed chopsticks (2).

이는, 상기 젓가락(H;1,2)을 제작하는 재질이 대부분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과 같은 단단하면서도 매끈한 재질로 제작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불안정한 힘의 분포가 작용할 때, 약간씩 미끄러지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This is because th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chopsticks (H; 1, 2) is mostly made of a hard and smooth material such as hard plastic or metal, so when the unstable force distribu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of slipping slightly It is being discover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젓가락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파지면에 접촉하는 젓가락 부위에 패드부를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접촉면에서 패드부에 의해 젓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hopsticks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d portion on the chopsticks in contact with the user's holding surface, the state of holding the chopsticks correct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that can prevent slippage of the chopsticks by the pad portion at the contact surface when using the chopstick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젓가락 및 제2젓가락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한 짝의 젓가락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2젓가락에는 패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패드부는 젓가락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제2젓가락이 접촉하게 되는 파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shaft which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is connected, the center portion of the pair of chopsticks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uide shaft In the chopsticks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in the assembly, the second chopsticks are provided with a pad portion, wherein the pad portion is located on the gripping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hand holding the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ng structure.

이때, 상기 패드부는 플렉시블 한 재질로 제작되어 제2젓가락의 파지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제2젓가락의 파지면 자체에 다수개의 작은 요철 형상을 주어 미끄러짐을 방지 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ad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s preferably attached separately to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prevent a slip by giving a plurality of small irregularities on the gripping surface itself of the second chopsticks May b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예시도 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the use of properly holding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여기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젓가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7490호의 젓가락을 개량한 젓가락이기 때문에, 젓가락 사용 중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패드부(18)의 구성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Here, the chopstick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ecause the chopsticks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7490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previously described, improved the chopsticks, the configuration of the pad portion 18 to prevent slipping during the use of chopsticks The 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same are the same.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7490호의 젓가락이 갖는 구성요소들의 특징을 먼저 간략하게 살펴본다.Therefore, in order to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of the chopstick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7490 that is filed previously.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젓가락은, 젓가락 좌우 한 짝으로 분리되는 제1젓가락(10) 및 제2젓가락(11)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젓가락(10,11)의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13)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3)과 일정간격을 두고 제1,2젓가락(10,11)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14)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ure 3 and 4, the chopstick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mposed of the first chopsticks 10 and the second chopsticks 11 separa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hopsticks,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 A guide shaft 13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10 and 11, and at a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uide shaft 13.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14 is assembled and connected.

따라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젓가락은 상기 제1젓가락(10)이 제2젓가락(11)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Therefore, the chopstick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rotated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first chopsticks 10 rotate based on the second chopsticks 11.

여기서, 상기 제1,2젓가락(10,11)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축(13)을 조립 체결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동일한 높이에 가이드홈(12)과 고정홈(15)이 각각 형성된다.Here, the guide grooves 12 and the fixing grooves 15 ar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at the same heights opposite to each other to assemble and fasten the guide shafts 13.

즉, 상기 제1,2젓가락(10,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질을 할 때, 제1젓가락(10)에는 가이드홈(12)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제2젓가락(11)에는 고정홈(15)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chopsticks are held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are gripped, a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first chopstick 10 and a fixed groove in the opposite second chopstick 11. (15) is formed.

이때, 상기 가이드축(13)의 일단은 상기 고정홈(15)에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가이드홈(12)에 관통되게 끼워진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guide shaft 13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5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penetrated through the guide groove 12.

따라서, 젓가락질을 할 때, 상기 제1젓가락(10) 가이드축(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chopsticks, the first chopsticks 10 are moved along the guide shaft 13.

이때, 상기 가이드축(13)의 길이는 제1젓가락(10)이 상기 회동축(14)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전각(움직이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게 된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guide shaft 13 is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angle (moving distance) when the first chopstick 10 rotates about the pivot shaft 14.

그리고, 상기 회동축(14)을 조립 체결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홈(12)과 고정홈(15)에서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2젓가락(10,11) 가운데 부위에는 각각 회동홈(16)과 체결홈(17)이 형성된다.In order to assemble and fasten the pivot shaft 14, the guide groove 12 and the fixed groove 15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in the center of the pivot groove 16, respectively. ) And the fastening groove 17 is formed.

물론, 상기 회동홈(16)과 체결홈(17)은 서로 대향되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회동축(14)이 조립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Of course, the rotating groove 16 and the fastening groove 17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to face each oth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14 can be assembled and fastened.

즉, 상기 회동홈(16)은 상기 가이드홈(12)이 형성된 제1젓가락(10)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7)은 제2젓가락(11)에 형성된다.That is, the rotation groove 16 is formed in the first chopsticks 10 in which the guide grooves 12 are formed, and the fastening grooves 17 are formed in the second chopsticks 11.

이때, 상기 가이드축(13)의 일단과 회동축(14)의 일단은 상기 고정홈(15)과 체결홈(17)에 끼움 조립되었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guide shaft 13 and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14 is designed so as not to fall easily when fitted in the fixing groove 15 and the fastening groove 17.

상기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젓가락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홈(15)과 체결홈(17)을 갖는 제2젓가락(11)에 별도의 패드부(18)를 마련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In the chopsticks to which the subject innova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he subject innovation slips by providing a separate pad portion 18 in the second chopstick 11 having the fixing groove 15 and the fastening groove 17.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젓가락(11)은, 올바른 젓가락 파지법에 따라 파지하게 될 때,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사이에 걸쳐 놓인 다음,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second chopsticks 11, when gripping according to the correct chopsticks gripping method, between the first node of the ring finger 23 of the finger, the thumb 20 and the recognition 21 Laid over and pressed into the middle of the thumb 20 to be fixed.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아이나 초보적인 외국인의 경우, 상기 제2젓가락(11)의 파지면(혹은 접촉면)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 부위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However, as mentioned in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a poor chopstick infant or a beginner foreigner, the sliding surface (or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 11 is shown, so that this part is prevented from slipping.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제2젓가락(11)의 파지면인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와,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 및, 엄지(20)의 중간 부위로 눌러주는 부위에 각각 패드부(18)를 마련해 주고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ode of the ring finger 23 of the finger, which is the grip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between the thumb 20 and the perception 21, and the site of press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thumb 20 The pads 18 are provided at the respective positions.

이때, 상기 패드부(18)는 젓가락을 제작하는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과는 다른 연질의 플렉시블 한 재질로 제작되어 제2젓가락(11)의 파지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pad portion 18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different from the hard plastic or metal to produce the chopsticks, it is preferably attached separately to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

즉, 상기 패드부(18)는 제2젓가락(11)의 파지면 자체에 다수개의 작은 요철 형상을 주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ad portion 18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a slip by giving a plurality of small irregularities on the gripping surface itself of the second chopsticks 11.

물론, 상기 요철 형상 또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uneven shape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form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올바른 파지법을 통한 사용예시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orrect holding method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bove is shown in FIG.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한 짝의 제1,2젓가락(10,11)을 파지할 때, 먼저 움직임이 없는 상기 제2젓가락(11)의 한쪽을 엄지(20)와 인지(21)의 사이에 놓은 다음, 제2젓가락(11)의 다른 쪽을 손가락의 약지(23) 첫째 마디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상기 엄지(20)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시킨다.In brief, when gripping a pair of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econd chopstick 11 without movement first of the thumb 20 and the recognition 21 After placing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over the first node of the ring finger 23 of the finger press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thumb 20 is fixed.

이와 같은 올바른 젓가락 파지법에 따라 상기 제2젓가락(11)을 파지할 경우에, 상기 제2젓가락(11)의 파지면에 패드부(18)가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의 손에 접촉하여 힘이 불균형하게 분포되더라도 잘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When the second chopsticks 11 are gripped according to the correct chopstick holding method, the pad portion 18 is positioned on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so as to contact the user's hand unbalanced force. Even if it is distributed, it does not slip well.

그런 다음, 상기 제1젓가락(10)을 중지(22)의 끝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21)의 뿌리부분에 올려놓은 다음, 상기 엄지(2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Then, the first chopstick 10 is placed on the point between the end of the middle stop 22 and the root of the perception 21, and then pressed to the end of the thumb 20 to hold.

이렇게, 상기 제2젓가락(1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젓가락(10)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회동축(14) 근처)을 기준 점으로 하여 인지(21)와 중지(22)로 제1젓가락(10)을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필요한 물건을 집게된다. In this way, while the second chopsticks 11 are fixed, the recognition point 21 and the middle point are made based on the point (near the pivot shaft 14) where the first chopstick 10 is pressed toward the end of the thumb 20. While rotating or pinching the first chopsticks 10 with (22), the necessary objects are picked up by rotating at an angle.

이때, 상기 제1젓가락(10)을 엄지(2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 부근에 회동축(14)이 위치하면서 제1,2젓가락(10,11)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제1젓가락(10)이 가이드축(13)을 따라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을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ivot shaft 14 is positioned near the point where the first chopstick 10 is pressed toward the end of the thumb 20,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is kept constant. At the same time, the first chopsticks 10 can be chopped while rotating along the guide shaft 13 with respect to the pivot shaft 14.

이처럼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가운데 회동축(14)을 중심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축(13)을 따라 제1젓가락(10)이 이동하기 때문에, 한 짝의 제1,2젓가락(10,11)이 서로 어긋남 없이 항상 일정한 궤적을 그리게 된다.In this way, the chopsticks are made around the pivot shaft 14 among the sieves, which are always kept at a constant interval, and the first chopsticks 10 are moved along the guide shafts 13, so that a pair of first and second chopsticks ( 10,11) always draw a constant trajectory without misalignment.

특히, 상기 제2젓가락(11)이 패드부(18)를 통해 사용자의 파지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숙달되지 않은 초보자라도 제2젓가락(11)이 잘 미끄러지지 않고 항상 올바른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chopsticks 11 ar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olding surface through the pad unit 18, even the unskilled beginners do not slide the second chopsticks 11 well and always maintain the correct interval. It can be maintained.

결과적으로, 상기 젓가락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린아이나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 및 외국인도 보다 쉽게 젓가락질에 익숙해 질 수 있게 되고, 상기와 같은 올바른 파지법에 의해 반복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질이 숙달되면서 차후에 보다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a result, infants and chopsticks who are having difficulty using the chopsticks can become accustomed to chopsticks more easily. Chopsticks will be easier to use.

한편, 예시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9는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형태를 갖는 제1,2젓가락(10,11)에 비해 생동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제1,2젓가락(10,11)의 최상단에 형성된 신랑각시 형태의 마스코트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 19 that is not shown and described in the exemplary drawings may not only visually induce interest, but also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so as to give a lively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 and 11 having a simple form. It is a mascot in the form of a bridegroom formed at the top of (10,1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짝의 제1,2젓가락 사이에 가이드축과 회동축을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제2젓가락의 파지면에 패드부를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로 젓가락을 사용할 때 고정된 제2젓가락이 파지면에서 잘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opstick having a guide shaft and a rotating shaft between a pair of first and second chopsticks, the chopsticks are provided on the hold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 held by the user's hand. When the chopsticks are used in a correctly gripped state, the fixed second chopsticks do not slip well on the gripping surface.

따라서, 누구나 올바른 파지법에 의해 반복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젓가락질이 숙달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refore, anyone can use the chopsticks repeatedly by the correct gripping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the chopsticks can be mastered naturally.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2는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젓가락의 올바른 파지법에 따른 사용예시도,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use according to the correct gripping method of chopsticks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예시도.Figure 5 is an example of the use of using chopsticks correctly gras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명칭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names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1 : 제1,2젓가락 12 : 가이드홈10, 11: 1, 2 chopsticks 12: guide groove

13 : 가이드축 14 : 회동축13: guide shaft 14: rotating shaft

15 : 고정홈 16 : 회동홈15: fixed groove 16: rotational groove

17 : 체결홈 18 : 패드부17: fastening groove 18: pad portion

19 : 마스코트19: mascot

Claims (3)

제1젓가락(10) 및 제2젓가락(11)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13)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3)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2젓가락(10,11)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14)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젓가락에 있어서,The guide shaft 13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2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opstick 10 and the second chopstick 11, and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ar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haft 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hopstick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ivot shaft 14 is assembled to the center portion of (10, 11), 상기 제2젓가락(11)에는 패드부(18)가 마련되되,Pad portion 18 is provided on the second chopsticks 11, 상기 패드부(18)는 젓가락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과 제2젓가락(11)이 접촉하게 되는 파지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The pad portion 18 is a chopstick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gripping surface to contact the user's hand holding the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부(18)는 플렉시블 한 재질로 제작되어 제2젓가락(11)의 파지면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The pad portion 18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hopsticks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separately to the gripping surface of the second chopsticks (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부(18)는 제2젓가락(11)의 파지면 자체에 다수개의 작은 요철 형상을 주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The pad portion 18 is chopsticks having a slip prevention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giving a plurality of small irregularities on the gripping surface itself of the second chopsticks (11).
KR20-2005-0010218U 2005-04-13 2005-04-13 Chopstick having a pads KR2003879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18U KR200387991Y1 (en) 2005-04-13 2005-04-13 Chopstick having a pa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218U KR200387991Y1 (en) 2005-04-13 2005-04-13 Chopstick having a pa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991Y1 true KR200387991Y1 (en) 2005-06-28

Family

ID=4368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218U KR200387991Y1 (en) 2005-04-13 2005-04-13 Chopstick having a pa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991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2864A2 (en) * 2010-06-02 2011-12-08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KR101230385B1 (en) 2009-09-08 2013-02-06 김병현 Chopsti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85B1 (en) 2009-09-08 2013-02-06 김병현 Chopstick
WO2011152864A2 (en) * 2010-06-02 2011-12-08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WO2011152864A3 (en) * 2010-06-02 2012-04-12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2231A (en) chopsticks
KR200387991Y1 (en) Chopstick having a pads
US2762120A (en) Feeding utensils for young children
KR20030015127A (en) Studying chopstick for developing childrens's intellectual powers
AU2006200217B1 (en)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KR20130043756A (en) Chopsticks with indicating meridian point for developing the brain
KR101081909B1 (en) Chopsticks
JP3194983U (en) Training chopsticks
KR101230385B1 (en) Chopstick
JP3144710U (en) Chopstick aid
JP5713384B2 (en) Eating and drinking utensils
KR101879436B1 (en) Easy-to-use chopsticks
JP2017153732A (en) Chopstick and connecting chopstick
KR200234288Y1 (en) to useful chopsticks
JP3108532U (en) Chopsticks for practice using chopsticks
US9820596B2 (en) Self-feeding apparatus
KR200331210Y1 (en) Mouse pad
KR200202483Y1 (en) Chopsticks for Pediatric Practice
KR200380912Y1 (en) Child practice chopsticks
JP3079017U (en) Chopstick holding aid
TWM637884U (en) Kids fork
CA2016705A1 (en) Hand grip for a sequential card pack display device
CN202104680U (en) Chopsticks for children
KR200233449Y1 (en) to useful chopsticks
TWM613968U (en) Holding learning table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