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0385B1 - Chopstick - Google Patents

Chop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385B1
KR101230385B1 KR1020090084387A KR20090084387A KR101230385B1 KR 101230385 B1 KR101230385 B1 KR 101230385B1 KR 1020090084387 A KR1020090084387 A KR 1020090084387A KR 20090084387 A KR20090084387 A KR 20090084387A KR 101230385 B1 KR101230385 B1 KR 10123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haft
chopstick
groove
pivo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646A (en
Inventor
김병현
Original Assignee
김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현 filed Critical 김병현
Priority to KR102009008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385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6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3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젓가락(101) 및 제2젓가락(102) 상단부 쪽이 가이드축(11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10)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2젓가락(101,102)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120)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젓가락(100)에 있어서, 상기 제1젓가락(101)에 관통 연결된 가이드축(110) 위쪽인 제1젓가락(101)의 상단 부위에 무게추(150)가 장착하는 데 그 특징으로 두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젓가락(100) 파지 시 파지 위치를 익힐 수 있도록 회동축(120) 상에 파지면(121)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opsticks 101 and the second chopsticks 102 by the guide shaft 110, the guide shaft 110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hopsticks 100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ivot shaft 120 is assemb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102), the guide shaft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chopsticks (101) ab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15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hopsticks 101, and, when the chopsticks 100 are grasped when grasped on the pivot shaft 120 to learn the grip position ( 121) is form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젓가락(101)의 상단 부위에 무게추(150)를 마련하여 젓가락 사용 시 초보자도 젓가락(100)을 용이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젓가락(100) 가운데에 마련된 회동축(120) 상에 파지면(121)을 마련함으로써, 젓가락(100)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201)가 회동축(120)의 파지면(121)에 안착되도록 함에 따라 젓가락(100)을 파지하는 적절한 위치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젓가락(100)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eight 15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hopsticks 101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open the chopsticks 100 when using the chopsticks, and in the middle of the chopsticks 100 By providing the gripping surface 121 on the provided rotation shaft 120, the user's thumb 201 is seated on the gripping surface 121 of the rotation shaft 120 when holding the chopsticks 100, the chopsticks ( Anyone can easily grasp the appropriate position to hold the 100) can be made to hold a stable chopsticks (100).

젓가락, 무게추, 가이드축, 회동축, 파지면 Chopsticks, weight, guide shaft, pivot shaft, grappling surface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Chopsticks {CHOPSTICK}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록실용신안 제357490호 및 제0387991호에 개시된 젓가락을 개량 보완하는 것으로, 한 쪽 젓가락의 상단부위에 무게추를 마련하여 젓가락 사용 시 젓가락을 용이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젓가락 가운데에 마련된 회동축의 형상 변경을 통해 젓가락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가 회동축 상에 마련된 파지면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을 파지하는 적절한 위치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젓가락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opsticks, and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hopsticks disclos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s. 357490 and 0387991, by providing a w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one chopsticks to facilitate chopsticks when using chopsticks At the same tim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rotating shaft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hopsticks, the user's thumb is seated on the holding surfac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so that anyone can easily identify the proper position for holding the chopsticks. It is about chopsticks which made a stable chopstick grabbing.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린아이나 음식문화가 다른 외국인이 처음 젓가락을 접하게 될 때,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익히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으면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개량된 젓가락이 다양하게 연구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As you know, it is difficult to learn how to use the correct chopsticks when the first time foreigners with different cultures or children have a different culture, and various chopstick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make it easier to learn how to use the correct chopsticks. Is being presented.

특히, 최근에 한 짝의 젓가락 사이에 가이드축과 회동축을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때, 고정된 하나의 젓가락을 중심으로 다른 하나의 젓가락이 일정각도로 회동하여 젓가락의 끝단이 항상 일치할 수 있도록 함 에 따라 젓가락을 처음 접하는 어린아이나 외국인, 또는 젓가락 사용법의 교정이 필요한 사람들이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보다 쉽게 숙달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 자체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57490호(2004.7.19.등록)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87991호(2005.6.16.등록)에 개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recently, by providing a guide shaft and a rotation shaft between a pair of chopsticks, when using the chopsticks correctly gripped, the other chopsticks are rotated at a constant angle around the fixed chopsticks to the end of the chopsticks This ensures that the chopsticks are not only easier for young children, foreigners who are new to chopsticks, or those who need to correct their chopsticks, but also make it easier to use the chopsticks themselve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7490 (registered on February 19, 2006)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87991 (registered on June 16, 2006).

즉, 최근 개시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57490호(2004.7.19.등록)에 따른 젓가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 좌우 한 짝으로 분리되는 제1젓가락(1) 및 제2젓가락(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젓가락(1,2)의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1a)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3)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3)과 일정간격을 두고 제1,2젓가락(1,2)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4)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That is,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recently disclos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7490 (registered as of 19.19.200), as shown in Figure 1, the first chopsticks (1) and the second chopsticks (2) separated by a pair of chopsticks (2) The guide shaft (3)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a)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2), the first axi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uide shaft (3) And the pivot shaft 4 is assemb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two chopsticks 1 and 2.

이러한 젓가락(H)은 상기 제1젓가락(1)이 제2젓가락(2)을 기준으로 회동할 때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chopsticks H are rotated while maintaining the predetermined interval when the first chopsticks 1 rotate based on the second chopsticks 2.

다시 말해, 상기 젓가락(H)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가운데 회동축(4)을 중심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축(3)을 따라 제1젓가락(1)이 이동하기 때문에, 한 짝의 제1,2젓가락(1,2)이 서로 어긋남 없이 항상 일정한 궤적을 그리게 된다.In other words, the chopsticks (H) is a chopsticks are made around the rotating shaft (4) among the sieves always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hopsticks (1) move along the guide shaft (3),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 2) will always draw a constant trajectory without misalignment.

따라서, 상기 개시된 젓가락(H)을 사용할 경우, 젓가락(H)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린아이나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 및 외국인도 보다 쉽게 젓가락질에 익숙해 질 수 있게 되고, 젓가락(H)의 올바른 파지법에 의해 반복적으로 젓가락(H)을 사용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질이 숙달되면서 차후에 보다 쉽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using the chopsticks (H) disclosed above, even beginners and foreigners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chopsticks (H) can become accustomed to chopsticks more easily, and by the correct gripping method of the chopsticks (H) If you use chopsticks repeatedly (H) naturally chopsticks are mastered will be easier to use chopsticks later.

한편,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87991호에 제시된 젓가락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57490호에 개시된 기본적인 구성을 갖는 젓가락(H)에 있어서, 젓가락질이 익숙하지 않은 어린아이들이 제1,2젓가락(1,2)을 불안정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제1,2젓가락(1,2)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가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 사용자의 파지면에 고정된 제2젓가락(2)이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hopsticks present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7991, chopsticks (H) having a basic configuration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749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hopsticks are familiar If the unstable children are unstable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2), the force distribution on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2) is unstable. The second fixed chopsticks (2) is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slipping easily.

즉,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87991호에 개시된 젓가락(10,11)은, 사용자의 파지면에 접촉하는 제2젓가락(11) 부위에 패드부(18)를 마련함으로써,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젓가락을 사용할 때 접촉면에서 패드부(18)에 의해 젓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chopsticks 10 and 11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87991 are provided with the pad portion 18 at the portion of the second chopstick 1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grip surface, thereby correctly holding the chopsticks. When using the chopsticks at the contact surface to prevent the slipping of the chopsticks by the pad portion 18.

이와 같이 최근 개시된 상기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57490호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87991호에 나타난 젓가락은 모두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젓가락질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올바른 젓가락 파지법을 숙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The chopsticks shown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7490 an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87991 as described above are all used to help chopstick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to master the correct chopstick holding method. The purpose is to.

그런데, 실제 사용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젓가락은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아이나 젓가락질이 숙달되지 않은 외국인을 위해 좀 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완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발견되었다.However, in the actual use process, such chopsticks have been found to be supplement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for babies who are poor in chopsticks or foreigners who are not skilled in chopsticks.

즉,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아이나 외국인의 경우 젓가락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이드축(3, 혹은 13)을 따라 회동하는 제1젓가락(1, 혹은 10)을 벌리는 데 있어 부자연스럽고 손쉽게 벌리지 못하는 문제점과 함께 젓가락을 파지하는 적절한 위치를 찾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That is, in the case of a young child or a foreigner whose chopsticks are poor, chopsticks are unnatural and difficult to open in opening the first chopsticks (1 or 10) that rotate along the guide shaft (3 or 13) while holding the chopsticks. There were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find a suitable location for hold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등록실용신안 제357490호 및 제0387991호에 개시된 젓가락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좀 더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보완의 필요성이 발견됨에 따라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하는 제1젓가락의 상단부위에 무게추를 마련하여 젓가락 사용 시 무게추의 작용으로 인해 제1젓가락을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벌릴 수 있도록 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as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was found in the chopsticks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Model Nos. 357490 and 0387991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users with more convenience of use. By providing a w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first chopsticks to provide a chopsticks to open the first chopsticks naturally and easily due to the action of the weight when using the chopstick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 가운데에 마련된 회동축의 형상 변경을 통해 젓가락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회동축 상에 마련된 파지면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을 파지하는 적절한 위치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젓가락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user's thumb to be seated on the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when the chopstick is hel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rotating shaft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hopsticks, so that anyone can easily hold a proper position for holding the chopsticks. It is to provide chopsticks that can be grasped so that a stable grab of chopsticks is ma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로 짝을 이루는 제1젓가락과 제2젓가락으로 구성되고, 제1젓가락과 제2젓가락 사이에는 제1젓가락이 제2젓가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일단이 제2젓가락의 상단부 쪽에 형성된 고정홈 내에 끼움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1젓가락의 상단부 쪽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과 일정간격을 두고 제1,2젓가락의 가운데 부위를 상호 연결조립하는 회동축을 갖춘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젓가락의 가이드홈 위쪽에는 일측이 개구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제1젓가락이 회동축을 중심으로 가이드축을 따라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는 힘을 부여하는 무게추가 삽입 장착되는 젓가락을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between the first chopsticks and the second chopsticks, the first chopsticks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hopsticks A guide shaft,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chopstick and rotatably inserted through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chopstick, and the first axi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shaft. In the chopsticks having a rotating shaft for assembling the center portion of the two chopsticks, the first groove of the first chopsticks is formed with a groove having one side opening, the first chopstick is guided around the rotating shaft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hopstick with a weight insertion insert that imparts a force that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along the axis.

여기서, 상기 회동축 상에는 젓가락 파지 시 엄지의 파지 위치를 익힐 수 있도록 회동축의 전체적인 평면에 대해서 회동축의 아래쪽 가장자리면이 상대적으로 도툼하게 살이 올라와 돌출 형성된 걸림턱 구조를 갖는 파지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ipping surface having a locking jaw structure is formed on the rotational shaft so that the lower edge surface of the rotational shaft is raised relatively relatively to the overall plane of the rotational shaft so as to learn the grip position of the thumb when gripping the chopsticks.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하는 제1젓가락의 상단 부위에 무게추를 마련함으로써, 초보자가 젓가락 사용 시 무게추의 작용으로 인해 제1젓가락을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first chopstick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eginner can open the first chopsticks naturally and easily due to the action of the weight when using the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 가운데에 마련된 회동축의 형상을 태극 문양과 같은 으로 우리나라 고유 문양 중 하나로 변경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젓가락 문화를 상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젓가락을 파지할 때 사용자의 엄지가 회동축 상에 마련된 파지면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을 파지하는 적절한 위치를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젓가락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rotation ax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hopsticks to one of the unique patterns of Korea, such as the pattern of Taegeuk, can symbolize the culture of chopsticks unique to Korea, as well as the thumb of the user when holding the chopsticks By being seated on the gripping surface provided on the coaxial, anyone can easily grasp the appropriate position to hold the chopstick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able chopsticks gripping can be ma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에 사용되는 회동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예시도 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combined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otational shaft used in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igure 8 is an exemplary use of the chopsticks properly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젓가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개시된 등록실용신안 제0357490호 및 제0387991호의 젓가락을 보완 개량한 젓가락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젓가락은 등록실용신안 제0357490호 및 제0387991호의 젓가락이 갖는 특징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다.Here, since the chopstick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chopsticks that supplement and improve the chopsticks of the previously disclosed Utility Model Nos. 0357490 and 0387991, as described above, the chopsticks show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57490 The features of chopsticks of head and 0387991 are employed as they a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개시된 젓가락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in describing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hopsticks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name.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젓가락(100)은, 젓가락 좌우 한 짝으로 분리되는 제1젓가락(101) 및 제2젓가락(10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2젓가락(101,102)의 상단부 쪽에 가이드홈(105)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축(110)이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축(110)과 일정간격을 두고 제1,2젓가락(101,102)의 가운데 부위에 회동축(120)이 조립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ure 4 to Figure 6, the chopsticks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mposed of a first chopsticks 101 and a second chopsticks 102 separa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hopsticks, the first, The guide shaft 110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105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chopsticks 101 and 102, and is rot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and 1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guide shaft 110. Coaxial 120 has a structure that is assembled and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1,2젓가락(101,102)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축(110)을 조립 체결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동일한 높이에 가이드홈(105)과 고정홈(106)이 각각 형성된다.Here, the guide grooves 105 and the fixing grooves 106 are form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and 102 at the same heights facing each other to assemble and fasten the guide shaft 110.

즉, 상기 제1젓가락(101)에는 가이드홈(105)이 형성되고, 그 반대쪽 제2젓가락(102)에는 고정홈(106)이 형성되게 된다.That is, the guide groove 105 is formed in the first chopsticks 101, and the fixing groove 106 is formed in the second chopsticks 102 opposite thereto.

이때, 상기 가이드축(110)의 일단(112)은 상기 고정홈(106)에 끼움 조립된 상태에서 그 타단이 가이드홈(105)에 관통되게 끼워지게 된다.At this time, one end 112 of the guide shaft 11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06, the other end thereof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groove 105.

상기 가이드축(110)의 길이는 제1젓가락(101)이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회전각(움직이는 거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설계되게 되고, 가이드축(110)의 끝단 부위에는 가이드홈(105)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guide shaft 110 is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as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angle (moving distance) when the first chopsticks 101 rotate about the pivot shaft 120, the guide shaft 110 At the end of th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111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from the guide groove 105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제1,2젓가락(101,102) 가운데 부위에는 각각 회동홈(103)과 체 결홈(104)이 형성된다.And,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102)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rotation groove 103 and the engaging groove 104 is formed, respectively.

상기 회동홈(103)과 체결홈(104)은 서로 대향되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회동축(120)이 조립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rotating groove 103 and the fastening groove 104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facing each oth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120 can be assembled and fastened.

즉, 상기 회동홈(103)은 상기 가이드홈(105)이 형성된 제1젓가락(101)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04)은 제2젓가락(102)에 형성된다.That is, the rotation groove 103 is formed in the first chopsticks 101 in which the guide groove 105 is formed, and the fastening groove 104 is formed in the second chopsticks 102.

이와 같은 구조로 의해서 젓가락질을 할 때, 상기 제1젓가락(101)이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가이드축(1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When chopsticks are made by such a structure, the first chopsticks 101 are moved along the guide shaft 110 about the rotation shaft 12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젓가락(100)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상기 제1젓가락(101)에 관통 연결된 가이드축(110) 위쪽인 제1젓가락(101)의 상단부위에 무게추(150)를 마련하여 젓가락 사용 시 무게추(150)의 작용으로 인해 제1젓가락(101)을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을 갖는다.In the chopsticks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weight 150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chopsticks 101 which are above the guide shaft 110 connected to the first chopsticks 101. It is characterized by that the first chopsticks 101 can be performed naturally and easily due to the action of the weight 150 when using the chopsticks.

상기 무게추(150)는 제1젓가락(10)이 약간의 힘만으로도 쉽게 회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힘의 변위를 갖도록 무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젓가락(101)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107)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 150 serves to provide a weight so that the first chopsticks 10 have a constant displacement of force so that the first chopsticks 10 can be easily rotated even with a slight force. As shown in FIG. 4, the first chopsticks 101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07 formed at the top of the).

상기 무게추(150)는 그 형상 및 구조에 있어서, 일정 무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며, 장착 구조에 있어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107)에 삽입하는 구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젓가락(101) 내부에 인서트 방식으로 삽입할 수도 있고, 단순히 용접이나 접착방식으로 장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weight 150 may have any shape and structure as long as it can provide a predetermined weight in its shape and structure, and is limited to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07 as shown in the mounting structure. Rather than inserting into the first chopsticks 10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 method, it may be of course simply mounted by welding or adhesive method.

즉, 제1젓가락(101) 상단에서 제1젓가락(101) 회동에 따라 일정한 힘의 변위를 제공할 수 있는 무게추(150)의 역할을 하는 구조를 갖는다면,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f the first chopstick 101 has a structure that serves as a weight 150 that can provide a displacement of a constant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chopsticks 101, it may have a variety of modifications .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1젓가락(101)에 무게추(150)를 장착하는 구조와 함께, 상기 회동축(120)의 형상 구조를 변경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젓가락 문화를 상징화하면서 사용자가 젓가락(100) 파지 시 보다 용이하게 파지 위치를 익힐 수 있도록 회동축(120) 상에 파지면(121)을 형성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structure of mounting the weight 150 to the first chopsticks 101 as described above, by changing the shape structure of the rotating shaft 120 to symbolize the culture of chopsticks unique to Korea while the user chopsticks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surface 121 is formed on the rotation shaft 120 so that the gripping position can be more easily learned when gripping.

즉, 상기 회동축(12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 고유 문양 중 하나인 태극 문양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젓가락 문화를 상징화하고 있다.That is, the pivot shaft 120 symbolizes Korea's unique chopstick culture through the Taegeuk pattern, which is one of the patterns unique to Korea, as shown in FIGS. 4 to 7.

그리고, 상기 회동축(120) 일측에 젓가락(100) 파지 시 엄지(201)가 위치하게 되는 부위에 파지면(121)을 형성함으로써, 젓가락 초보자가 쉽게 젓가락 파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파지면(1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20)의 전체적인 평면에 대해서 회동축(120)의 아래쪽 가장자리면이 상대적으로 도툼하게 살이 올라와 돌출 형성된 걸림턱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파지면(120)은 사용자의 엄지(201)가 넣이게 되는 위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엄지가 파지면에 놓일 경우 엄지(201)가 회동축(120)의 아래쪽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n, by forming the gripping surface 121 in the portion where the thumb 201 is located when holding the chopsticks 100 on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120, the chopsticks beginners can easily grasp the chopsticks gripping posi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gripping surface 121 has a locking jaw structure in which a lower edge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20 is relatively thickly raised and protrudes with respect to the entire plane of the rotation shaft 120. The gripping surface 120 serves to designate a position where the user's thumb 201 is placed, and at the same time, the thumb 201 is not pushed down the pivot shaft 120 when the thumb is placed on the gripping surface. Will play a supporting role.

물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120)의 형상을 태극 문양으로 상징화시키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젓가락(101)과 제2젓가락(102) 사이를 연결하여 회동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면, 어떠한 문양이나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Of cours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rotation shaft 120 is symbolized by the taiji pattern, but is not limited to this,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chopsticks 101 and the second chopsticks 102 to rotate If you have a structure that can support it, you can have any pattern or structure.

다만, 본 발명에 따라 회동축(120) 상에 파지면(121)을 형성하여 젓가락(100)을 사용하는 초보자가 쉽게 젓가락(100) 파지 위치를 익힐 수 있도록 한다면, 상기 회동축(120)이 다양한 문양을 가지면서 다양한 형상 구조로 변형 가능하 다 할 것이다.However, if the beginner using the chopsticks 100 to easily grasp the chopsticks 100 gripping position by forming a gripping surface 121 on the pivot shaf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shaft 120 is It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 structures with various patterns.

이때, 상기 회동축(120)을 조립 체결하기 위해 회동축(120)의 양단(122,123)은 상기 회동홈(103)과 체결홈(104)에 끼움 조립되었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는 것은 당연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both ends 122 and 123 of the rotation shaft 120 are designed so as not to fall out when they are assembled into the rotation groove 103 and the coupling groove 104 to assemble the rotation shaft 120.

상기와 같이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젓가락(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올바른 젓가락(100) 파지 시, 상기 제2젓가락(102)은 손가락의 약지(204) 첫째 마디와, 엄지(201)사이에 걸쳐 놓인 다음, 엄지(201)의 중간부위로 눌러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1젓가락(101)은 중지(203)와 검지(202)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중지(203)를 살짝 밀어 제1젓가락(101)을 벌리 수 있는 위치를 갖게 된다.Chopsticks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as shown in FIG. 8, when the correct chopsticks 100 are gripped, the second chopsticks 102 is the first node of the ring finger 204 of the finger. And, it is placed between the thumb 201, and then fix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thumb 201, the first chopsticks 101 is located between the middle finger 203 and the index finger 202 the rotation shaft ( Slightly pushing the middle stop 203 around 120 will have a position to open the first chopsticks 101.

이때, 상기 엄지(201)는 회동축(120)의 파지면(121)과 접하게 되고, 상기 회동축(120)은 제1,2젓가락(101,102)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제1젓가락(101)이 가이드축(110)을 따라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을 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thumb 201 is in contact with the gripping surface 121 of the pivot shaft 120, the pivot shaft 12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102), The first chopsticks 101 are rotated along the guide shaft 110 around the rotation shaft 120 to chopsticks.

이와 같이 제1젓가락이 회동하면서 젓가락질이 이루어질 때, 상기 무게추(150)가 제1젓가락(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자연스럽게 무게추(150)에 의한 힘의 변위가 작용하여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제1젓가락(101)이 가이드축(110)을 따라 용이하게 벌어지거나 오므라들게 되는 것이다.When the chopsticks are made while the first chopstick is rot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eight 15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chopstick 101, the force displacement by the weight 150 acts naturally to rotate the shaft. The first chopsticks 101 around the 120 are easily opened or retracted along the guide shaft 110.

특히, 항상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체 젓가락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축(110)을 따라 제1젓가락(101)이 이동하기 때문에, 한 짝의 제1,2젓가락(101,102)이 서로 어긋남 없이 항상 일정한 궤적을 그리게 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chopsticks 101 are moved along the guide shaft 110 at the same time as the chopsticks are made at a constan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shaft 120 at all times, so that a pair of first and second chopsticks ( 101, 102 always draw a constant trajectory without misalignment.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축(120) 상에 파지면(121)을 형성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100)을 파지할 경우, 젓가락(100)의 올바른 파지법을 익힐 수 있게 되는 바, 초보자라도 젓가락(100)의 파지 위치를 쉽게 파악하여 올바른 젓가락질을 익힐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hopsticks 100 are gripped as shown in FIG. 8 by forming the grip surface 121 on the pivot shaf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 gripping method of the chopsticks 100 can be learned. Will be, even beginners can easily grasp the grip position of the chopsticks 100 to learn the correct chopsticks.

즉, 본 발명이 적용된 젓가락(100)을 사용할 경우, 젓가락(100)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린아이나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 및 외국인도 보다 쉽게 젓가락질에 익숙해 질 수 있게 되고, 도 8에 도시된 올바른 파지법에 의해 반복적으로 젓가락(100)을 사용할 경우에 자연스럽게 젓가락질이 숙달되면서 차후에 보다 쉽게 젓가락(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using the chopsticks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beginners and foreigners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the chopsticks 100 may become accustomed to chopsticks more easily, and the correct gripping method shown in FIG. By repeatedly using the chopsticks (100) will naturally become chopsticks will be able to use the chopsticks 100 more easily in the future.

한편, 예시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30은 등록실용신안 제0387991호에 개시된 패드부와 동일한 패드부(130)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면부호 140은 시각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제1,2젓가락(101,102)의 최상단에 형성된 신랑각시 형태의 마스코트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Meanwhile, reference numeral 130 shown and not illustrated in the exemplary drawings shows the same pad portion 130 as the pad portion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87991, and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first, second, and the like so as to cause visual interest. The mascot in the form of the groom's gazebo formed on the top of the chopsticks 101 and 102 is exemplarily shown.

특히, 상기 제1젓가락(101) 상단에 위치한 마스코트에 무게추 기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t will be able to give the weight function to the mascot located on top of the first chopsticks (101).

그리고, 도면부호 108은 젓가락 파지시 제1젓가락(101) 상에서 엄지(201)의 끝부분이 접촉하게 되는 위치를 보여주는 접촉홈을 도시한 것이다.And, reference numeral 108 shows a contact groove showing the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thumb 20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hopstick 101 when holding the chopsticks.

도 1은 종래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op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1에 미끄럼방지 패드부를 갖춘 젓가락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chopsticks with a non-slip pad portio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젓가락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을 보여주는 사용 예시도,Figure 3 is an example of use showing a state holding the chopsticks shown in Figure 2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도,5 and 6 is a coupling diagram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에 사용되는 회동축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rotating shaft used for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젓가락을 올바르게 파지하여 사용하는 사용예시도.Figure 8 is an exemplary use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d correctly grasp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 젓가락 101 : 제1젓가락100: chopsticks 101: the first chopsticks

102 : 제2젓가락 110 : 가이드축102: second chopsticks 110: guide shaft

120 : 회동축 121 : 파지면120: rotation axis 121: gripping surface

150 : 무게추150 weight

Claims (2)

서로 짝을 이루는 제1젓가락(101)과 제2젓가락(102)으로 구성되고, 제1젓가락(101)과 제2젓가락(102) 사이에는 제1젓가락(101)이 제2젓가락(10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도록 일단이 제2젓가락(102)의 상단부쪽에 형성된 고정홈(106) 내에 끼움 고정됨과 동시에 타단이 제1젓가락(101)의 상단부쪽에 형성된 가이드홈(105)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축(110)과, 상기 가이드축(110)과 일정간격을 두고 제1,2젓가락(101,102)의 가운데 부위를 상호 연결조립하는 회동축(120)을 갖춘 젓가락(100)에 있어서,It consists of a pair of first chopsticks 101 and the second chopsticks 102, between the first chopsticks 101 and the second chopsticks 102, the first chopsticks 101 to the second chopsticks 102 One end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106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chopsticks 102 so as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e along the guide groove 105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first chopstick 101. To chopsticks 100 having a guide shaft 110 to be inserted through and a pivot shaft 120 to assemble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hopsticks (101, 1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uide shaft (110) In 상기 제1젓가락(101)의 가이드홈(105) 위쪽에는 일측이 개구된 요홈(107)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07)에는 제1젓가락(101)이 회동축(120)을 중심으로 가이드축(110)을 따라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는 힘을 부여하는 무게추(150)가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A groove 107 having one side opening is formed on the guide groove 105 above the first chopstick 101, and the first chopstick 101 is guide shaft around the pivot shaft 120 in the groove 107.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150) is inserted and mounted to give a force that can be automatically rotated along the (110).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동축(120) 상에는 젓가락(100) 파지 시 엄지(201)의 파지 위치를 익힐 수 있도록 회동축(120)의 전체적인 평면에 대해서 회동축(120)의 아래쪽 가장자리면이 상대적으로 도툼하게 살이 올라와 돌출 형성된 걸림턱 구조를 갖는 파지면(1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On the pivot shaft 120, the lower edge surface of the pivot shaft 120 is relatively thicker with respect to the entire plane of the pivot shaft 120 so that the grip position of the thumb 201 can be learned when the chopstick 100 is gripped.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ing surface 121 having a protruding locking step structure is formed.
KR1020090084387A 2009-09-08 2009-09-08 Chopstick KR1012303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87A KR101230385B1 (en) 2009-09-08 2009-09-08 Chop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87A KR101230385B1 (en) 2009-09-08 2009-09-08 Chop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646A KR20110026646A (en) 2011-03-16
KR101230385B1 true KR101230385B1 (en) 2013-02-06

Family

ID=4393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387A KR101230385B1 (en) 2009-09-08 2009-09-08 Chop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3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84A (en) 2019-01-25 2020-08-04 최영숙 Chopstic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194Y1 (en) * 2021-01-07 2022-03-28 주식회사 템포레스트 Chopsticks for calib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90Y1 (en) 2004-04-14 2004-07-30 구종철 chopstick
KR200387991Y1 (en) 2005-04-13 2005-06-28 김필수 Chopstick having a pads
KR20090001430U (en)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90Y1 (en) 2004-04-14 2004-07-30 구종철 chopstick
KR200387991Y1 (en) 2005-04-13 2005-06-28 김필수 Chopstick having a pads
KR20090001430U (en) * 2007-08-08 2009-02-12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2684A (en) 2019-01-25 2020-08-04 최영숙 Chopsti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646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440B2 (en) Studying chopstick for developing children's intellectual powers
JPH07145B2 (en) Shape selection educational toys
CN101991331A (en) Chopsticks for training and using method thereof
US20050099031A1 (en) Studying chopstick for developing children's intellectual powers
US7140944B2 (en) Connecting toy
KR101230385B1 (en) Chopstick
JP2007532231A (en) chopsticks
CA2675839A1 (en)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JP3194983U (en) Training chopsticks
KR200359824Y1 (en) Chopstick
KR200387991Y1 (en) Chopstick having a pads
KR20090001430U (en) Chopstick
KR200377102Y1 (en) Tweezers Type Chopsticks
CN203074098U (en) Chopsticks for learning
KR101047916B1 (en) Chopstick Mastery Gloves
KR20110117774A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pparatus
JP2017153732A (en) Chopstick and connecting chopstick
JP6133469B1 (en) Holding corrector and shamisen repellent for practice and holding correction structure used for these
JP3108532U (en) Chopsticks for practice using chopsticks
KR200195407Y1 (en) A box for keeping the toys in
JP4108541B2 (en) Assembly learning tool
TWM522657U (en) Learning tableware structure
KR20180080414A (en) Easy-to-use chopsticks
JP3094877U (en) Scissors
KR200331210Y1 (en) Mouse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