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40Y1 -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 Google Patents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40Y1
KR200241640Y1 KR2020000030371U KR20000030371U KR200241640Y1 KR 200241640 Y1 KR200241640 Y1 KR 200241640Y1 KR 2020000030371 U KR2020000030371 U KR 2020000030371U KR 20000030371 U KR20000030371 U KR 20000030371U KR 200241640 Y1 KR200241640 Y1 KR 200241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inlet
lin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광식
Original Assignee
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식 filed Critical 고광식
Priority to KR2020000030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40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가 마구리(102)에 의해 밀폐되고, 입구상부에 구비되어 컵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101a)이 구비된 컵(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컵(100)은 입구(101) 외주연 각 90도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절취선(110)과, 상기 외측절취선(110)의 하단과 연결된 삼각형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절취선(110)을 내측으로 눌러 1차 접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1내측절취선(120)과, 상기 제 1내측절취선(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2차로 접철되면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뚜껑(101a)이 형성되는 제 2내측절취선(13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컵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뚜껑에 의해 별도의 뚜껑이 필요없이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컵 하나만의 구성으로도 수장된 내용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Multi Used the Entrance Fold Type Cup}
본 고안은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컵 입구상단에 절취선을 형성하여 1차로는 대략 절반정도 개방되도록 하고, 2차로는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여 별도의 뚜껑이 구비되지 않아도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차량 내부에서 이동중에도 음용이 가능하고, 상기 완전히 폐쇄된 뚜껑의 사이로 빨대의 삽입이 가능하여 뚜껑아 컵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원가는 절감하되, 그 사용 효과에 의해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주도록 하는 다용도 접철식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액체를 수장하고 상부에 뚜껑을 구비하여 외부로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마시도록 하는 컵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 컵 홀더(CH)를 구비하여, 상기 컵 홀더(CH)에 종이 컵(10)을 구비시킴으로써, 두손을 자유롭게 하여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컵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컵 홀더(CH)에 의해 통상의 종이 컵(10)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는 있으나, 상기 종이 컵에 담긴 내용물, 즉, 커피 또는 다류(茶類)등의 액체가 외부로 튀어 운전자의 손이 데는 과정에서 핸들을 잘못 조작하며 접촉사고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 컵(10)의 상부 입구에 뚜껑(11)을 구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내용물이 주위로 튀는 문제는 해결될 수 있었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뚜껑을 별도로 구비하는 과정에서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뚜껑을 제조하는 회사와 종이 컵을 제조하는 회사가 서로 달라 상호 동일한 납기 날짜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어 반드시 뚜껑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사용처, 즉, 패스트푸드점에서는 종이 컵의 수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방식의 뚜껑을 이용한 컵은 내용물을 다 마시면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버려짐과 동시에 쓰레기를 양산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버려진 쓰레기는 종이 컵과 뚜껑을 분리해서 수거해야 함으로 과다한 수거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컵 본체와 일체로 뚜껑을 형성하되, 액상(液狀)의 내용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뚜껑을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되, 내용물을 그냥 마시는 것도 가능하고, 빨대를 꽂아 마시는 것도 가능하도록 하여 저가의 다용도 컵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컵 내부의 내용물을 다 마시고 빈 컵을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여 그 활용가치를 높여 생활쓰레기의 양을 줄이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 다양한 형태의 뚜껑이 구비된 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고안 접철식 컵의 입구를 접철하지 않고 편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나)는 컵이 형성되기 전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다용도 컵의 1차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는 2차 접철이 완료되어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도 4 가)의 단면도로써, 접철이 완료된 후의 내측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사각형으로 형성된 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컵의 뚜껑이 형성된 중앙부에 통상의 빨대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컵 100a;본체
101;입구 101a;뚜껑
102;마구리 102a;접착플랜지
103;꼬깔 110;외측절취선
111;내벽 120;제 1내측절취선
130;제 2내측절취선
본 고안은 하부가 마구리에 의해 밀폐되고, 입구상부에 구비되어 컵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이 구비된 컵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컵은 입구 외주연 각 90도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절취선과, 상기 외측절취선의 하단과 연결된 삼각형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절취선을 내측으로 눌러 1차 접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1내측절취선과, 상기 제 1내측절취선의 하단에 형성되어 2차로 접철되면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뚜껑이 형성되는 제 2내측절취선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가)는 본 고안 접철식 컵의 입구를 접철하지 않고 편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나)는 컵이 형성되기 전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다용도 컵의 1차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는 2차 접철이완료되어 상부에 뚜껑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나)는 도 4 가)의 단면도로써, 접철이 완료된 후의 뚜껑내측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사각형으로 형성된 컵의 1차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컵의 뚜껑이 형성된 중앙부에 통상의 빨대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의 가)와 나)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다용도 컵(100)(이하, '컵'이라 칭한다.)의 외관과 전개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우선, 일측에 도시한 전개도에 대해서 설명하고, 본 고안 컵(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개된 상태의 컵(100)은 상부 내측에 제 1, 2내측절취선(120)(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1내측절취선(120)은 컵(100)의 원주길이를 4등분한 길이에 해당하는 폭(W)을 구비한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내측으로 접철되며 도 3에서 후술할 1차 절곡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상기 제 1, 2내측절취선(120)(130)은 도시한 전개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외측절취선(110)은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접철이 용이하도록 하는 통상의 칼자국을 칭하는 것이다.)
상기 제 1내측절취선(120)의 수직부 하측에 제 2내측절취선(130)이 내주연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내측절취선(120)과 외측절취선(110)에 의해 2차 절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컵(100)의 외측으로 상술한 외측절취선(1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외측절취선(110)은 상술한 제 1내측절취선(120)과 함께 1차 절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 컵(100)의 외주연 원주길이를 4등분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술한 제 1내측절취선(120)과 동일한 폭(W) 만큼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컵(100)의 일측단에는 접착부(BA)가 형성되는데, 상기 접착부(BA)통상의 점착제가 도포되어 본 고안 컵(100)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하측단으로도 접착부(BA)가 형성되어 도시한 바와 같은 하부 마구리(102) 외주연에 형성된 접착플랜지(102a)와 접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술한 각 접착부(BA)의 접착이 완료된 본 고안의 컵(100)은 상술한 전개도의 타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 상술한 각 절취선(110)(120)(130)이 형성된 입구(101)를 구비한 원주형의 컵(100) 형상을 갖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제 1내측절취선(120)과 외측절취선(110)에 의해 1차절곡이 완료된 본 고안의 컵(100)을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컵(100) 상단의 입구(101) 외주연 수직방향을 4등분하여 형성된 각 외측절취선(110)의 상부를 누르면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절곡상태가 되는 것이다.
1차 절곡 상태에서는 용량이 큰 컵의 경우에 어린이들이 내용물을 마실 때 입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용도 컵(100)의 입구가 1차로 절곡된 상태는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꼬깔(103)이 형성된다. 즉, 아이들이 상기 꼬깔(103)의 모아진 단부에 입을 대고 컵의 내부에 구비된 액상의 내용물을 마실 때, 상기 꼬깔(103)이 깔때기의 역할을 하며 내측으로 접철된 내벽(111)에 의해 다른 곳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고 상기 꼬깔(103)의 중심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 2내측절취선(130)은 절곡이 이루어지지 않는데, 1차 절곡된 상태로 차량 내부에 구비된 컵 홀더(Cup Holder)에 지지되어도 일반적인 아스팔트 도로에서는 상술한 내벽(111)에 의해 내부에 구비된 액상의 내용물은 외부로 넘치거나 튀지 않는 것이다.
도 4의 가)와 나)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컵(100)의 2차 절곡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1차 절곡된 상태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의 꼬깔(103)의 상단을 중앙부로 모으면 외측절취선(미도시)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진 각 내벽(111)이 면접촉하게 되고, 상술한 꼬깔(103)의 각 꼭지점이 중앙부로 모아지며 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뚜껑(10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술한 제 1, 2내측절취선(120)(130)에 의해 절첩이 완료된 컵(100)의 상단은 자연스럽게 사각형상의 뚜껑(101a)이 형성된다.
나)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호 면접촉하고 있는 내벽(111)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내측으로 모아진 각 내벽(1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면접촉하고, 꼬깔(103)의 각 꼭지점이 중앙부로 몰려 있기 때문에 내부에 수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넘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원주형으로 형성된 컵(10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컵(100)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작방법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외측절취선(110)과연장되는 내측을 절곡함으로써 사각형상을 구비한 컵(100)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에 모아진 각 꼬깔(103)의 사이로 통상의 빨대를 꽂아서 내용물을 마실 수 있는 것은 원주형(圓柱型)과 사각형 모두 가능하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연스런 상태에서의 본 고안 컵(100)의 상단은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상술한 빨대를 꽂게 되면 상기 빨대의 단면적에 의해 상부표면이 오목한 상태를 이루고, 중앙부로 모아진 각 꼭지점의 사이에 구비된 빨대는 상기 모아진 꼭지점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컵(100)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장하는 용도 이외에 아이들이 먹다 남긴 비스켓 또는 쿠키등의 과자를 내부에 보관하면 부스러기가 흩어지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철되지 않고 편상태에서는 연필등의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이 가능한 연필꽂이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패스트푸드점에서 음료수를 담도록 하면 단일재질로 제작된 본 고안의 다용도 컵(100)에 의해 제조원가도 절감되고, 재활용도 용이하고, 쓰레기의 양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용도 컵(100)의 재질로 사용 가능한 것은 통상의 합성수지, 즉, 폴리플로필렌(PP) 또는 폴리에칠렌(PE)과 우유 팩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컵 본체와 뚜껑을 일체로 형성하여 액상(液狀)의 내용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을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되, 내용물을 그냥 마시는 것도 가능하고, 빨대를 꽂아 마시는 일도 가능하도록 하여 다용도 컵을 제공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컵 내부의 내용물을 다 마시고 빈 컵을 다른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그 효용가치를 높여 생활쓰레기의 양을 줄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하부가 마구리(102)에 의해 밀폐되고, 입구상부에 구비되어 컵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뚜껑(101a)이 구비된 컵(100)에 있어서,
    상기 컵(100)은 입구(101) 외주연 각 90도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 외측절취선(110)과, 상기 외측절취선(110)의 하단과 연결된 삼각형이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측절취선(110)을 내측으로 눌러 1차 접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1내측절취선(120)과, 상기 제 1내측절취선(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2차로 접철되면 내부에 수장된 내용물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뚜껑(101a)이 형성되는 제 2내측절취선(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내측절취선(120)(130)과 외측절취선(110)에 의해 2차 접철이 완료된 상기 다용도 컵(100)은 액상의 내용물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거의 밀폐된 상태의 뚜껑(10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0)의 중앙부에 모아진 각 꼬깔(103) 사이에 빨대를 삽입하여 빨대로도 음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100)의 재질은 통상의 합성수지인 폴리플로필렌, 폴리에칠렌 또는 우유 팩중 어느 것 하나로 하여 제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KR2020000030371U 2000-10-31 2000-10-31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KR200241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71U KR200241640Y1 (ko) 2000-10-31 2000-10-31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371U KR200241640Y1 (ko) 2000-10-31 2000-10-31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40Y1 true KR200241640Y1 (ko) 2001-09-26

Family

ID=7309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371U KR200241640Y1 (ko) 2000-10-31 2000-10-31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7910B2 (ja) 詰め替え用注入口付き流動性製品パッケージ
US9845173B2 (en)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494332B1 (en) Stoppers for individual beverage containers
US8672163B2 (en) Reinforced paper lid
WO2002036441A2 (en) Spill-proof disposable cup with integral sealing flap
US11434042B2 (en) Cup with integrated folding lid
US6634547B2 (en) Folding cup that fits into a cup holder
US7798360B2 (en) Reusable penetratable seal
KR200241640Y1 (ko) 다용도 입구 접철식 컵
EP1463672B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a dual phase fluid product
US20200102111A1 (en) Recyclable Cup
KR20220128804A (ko) 종이뚜껑의 제조방법
US20200093301A1 (en) Anti-spill Disposable Drink through Cup Lid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US2522772A (en) Container
KR200336220Y1 (ko) 종이팩 보조용기
JP2577558Y2 (ja) 紙容器用注出口成形体
CN210338830U (zh) 储液盒
KR200404016Y1 (ko) 스푼이 부착된 일회용 컵
KR200198384Y1 (ko) 정품용기와 함께 진열이 가능한 리필 세제용기
JP3070641U (ja) 口金としぼり袋を入れた乳製品用角形容器の重ね箱
KR200296807Y1 (ko) 접을 수 있는 용기
KR20230072724A (ko) 빨대 내장형 용기
JPS5811719Y2 (ja) 容器
JP3929162B2 (ja) 詰め替え容器用台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