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75Y1 -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 Google Patents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75Y1
KR200241475Y1 KR2019990006240U KR19990006240U KR200241475Y1 KR 200241475 Y1 KR200241475 Y1 KR 200241475Y1 KR 2019990006240 U KR2019990006240 U KR 2019990006240U KR 19990006240 U KR19990006240 U KR 19990006240U KR 200241475 Y1 KR200241475 Y1 KR 200241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ward
synthetic resin
ribs
box
longitud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607U (ko
Inventor
송창원
Original Assignee
임익성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익성, 내쇼날푸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익성
Priority to KR2019990006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7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7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4주벽 외향으로 복수개의 종,횡 리브가 돌출된 합성수지재 운반상자의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외향 종리브를 외향상단 횡리브에서 외향하단 횡리브까지 연결되게 형성시켜 상하 압축강도를 더욱 보강시키고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는 높이가 작은 돌출단을 형성시켜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상부 상자의 하중을 네코너 양쪽의 높이가 작은 돌출단이 받쳐주어 양 장측벽의 변형을 방지할수가 있고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하부상자의 상단을 받쳐주는 외향하단 횡리브를 하부로 약간 경사지고 끝단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 내향쪽을 상저면이 경사가 진 함입단으로 형성시켜서 리브전체의 두께가 내향쪽으로 가면서 점점 두꺼워 지도록 하여 상하 지지강도를 더욱 강하시킨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Description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Transport Box made of synthetic resin for reinforcing top and bottom compressed intersity}
본 고안은 25㎏ 의 내용물을 담아서 상하로 20단 정도 쌓아 올리는 운반상자에 있어서 상하 적재로 인한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네코너와 상,하부 상자를 받쳐주는 하단 횡리브의 강도를 보강시켜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수지재 운반상자는 4주벽의 외향으로 복수개의 종,횡 리브를 형성시켜 상자전체 강도를 보강하였고 특히 상하 압축강도를 위해 네코너에 3개의 종리브를 상단 횡리브에서 하단 횡리브까지 연결되게 형성시켰으나 귤 등의 과일을 25㎏ 담아서 상하로 20단 정도로 쌓아 올리는 운반상자에 있어서 4측벽 중 기둥역할을 하는 네코너와 상하로 적층시 하부상자의 4측벽 상면을 받쳐주는 상자의 하단 횡리브에 하중이 집중되어 이 부분들이 항상 취약점으로 지적되어 왔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 같은 취약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4주벽 외향으로 복수개의 종,횡 리브가 돌출된 합성수지재 운반상자의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외향 종리브를 외향상단 횡리브에서 외향하단 횡리브까지 연결되게 형성시켜 상하 압축강도를 더욱 보강시키고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는 높이가 작은 돌출단을 형성시켜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상부 상자의 하중을 네코너 양쪽의 높이가 작은 돌출단이 받쳐주어 양 장측벽의 변형을 방지할수가 있고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하부상자의 상단을 받쳐주는 외향하단 횡리브를 하부로 약간 경사지고 끝단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 내향쪽을 상저면이 경사가 진 함입단으로 형성시켜서 리브전체의 두께가 내향쪽으로 가면서 점점 두꺼워 지도록 하여 상하 지지강도를 더욱 강하시킨 것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운반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네코너에 4개의 횡리브를 형성시킨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횡단면도
도 3은 하단 횡리브를 경사가 지고 끝단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에 함입단을 형성시키고 바닥판을 가운데면만 상향으로 돌출시킨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 4a는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 높이가 작은 돌출단을 형성시킨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b는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상부상자의 외향하단 횡리브를 하부상자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 돌출시킨 돌출단이 받쳐주는 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 : 상,하단 횡리브 3, 4, 5, 6 : 네코너의 외향종리브
2a : 하단 횡리브의 끝단 2b : 함입단
7 : 바닥판 7a : 가장자리면
7b : 가운데면 8, 8a : 높이가 작은 돌출단
4주벽 외향으로 복수개의 종,횡 리브가 돌출된 공지의 합성수지재 운반상자에 있어서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외향 종리브(3),(4),(5),(6) 를 외향 상단 횡리브(1)에서 외향 하단 횡리브(2) 까지 연결되게 형성시키고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는 높이가 작은 돌출단(8),(8a)을 형성시키고 외향하단 횡리브(2)를 하부로 약간 경사지고 끝단(2a)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 내향쪽을 상저면이 경사가 진 함입단(2b)으로 형성시키고 하면에 복수개의 종,횡리브가 돌출된 바닥판(7)을 가장자리면(7a)은 그대로 두고 가운데면(7b)만 상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그리고 운반상자의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 4개의 외향 종리브 (3),(4),(5),(6)를 장측벽쪽 코너의 외향 종리브(5),(3)는 장측벽쪽 다른 종,횡리브에 맞게 장측벽과 직각방향으로, 단측벽쪽 코너의 외향 종리브(6),(4)는 단측벽쪽 다른 종,횡리브에 맞게 단측벽과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시켜서 운반상자를 사출성형시 4측면에서 사이드코어가 분리가 잘 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내용물을 담아 하중이 25㎏ 정도 되는 합성수지재 운반상자를 상하 20단 정도로 쌓아 올렸을때 상하 압축강도를 제일 많이 받는 4주벽 중 기둥역할을 하는 네코너에 4개의 외향 종리브(3),(4),(5),(6)를 일정한 간격으로 외향상단 횡리브(1)에서 외향하단 횡리브(2)까지 연결되게 형성시켰으므로 종래 3개의 외향 종리브보다 1개의 외향 종리브를 코너부분에 더 추가시키므로서 상하 압축강도를 더욱 보강시킬수 있으며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는 높이가 작은 돌출단(8),(8a)을 형성시켰으므로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상부상자의 외향하단 횡리브를 받쳐주는 하부상자의 4주벽 상단이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 돌출된 높이가 작은 돌출단(8),(8a)에 얹어져서 상부의 하중을 운반상자의 기둥역할을 하는 네코너로 집중시켜 지금까지 양 장측벽이 직접 하중을 받아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수가 있으며 운반상자를 상하로 적층시 하부 상자의 4주벽 상단이 접촉되어 상부 상자와 상하로 지지시켜주는 외향하단 횡리브(2)를 하부로 약간 경사지고 끝단(2a)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 내부쪽으로 상저면이 경사가 진 함입단(2b)으로 형성시켰으므로 종래 외향 일직선으로 돌출된 하단 횡리브를 하부로 약간 경사진 ┌ 형으로 형성시켜 리브전체 두께를 내향쪽으로 가면서 경사면과 굴곡진 끝단에 의해 점점 두껍게 형성시키므로서 상하 지지강도를 더욱 강화시킬수 있으며 25㎏ 의 내용물을 담는 운반상자의 바닥판(7)을 가장자리면(7a)은 그대로 두고 가운데면(7b)만 상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시켰으므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바닥판의 가운데면이 하향으로 처지드라도 가장자리면 이하로는 처지지 않아서 운반상자를 수송하기 위하여 로울러 콘베어로 옮길때에도 바닥면 전체가 수평을 그대로 유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4주벽 외향으로 복수개의 종,횡 리브가 돌출된 공지의 합성수지재 운반상자에 있어서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4개의 외향 종리브(3),(4),(5),(6) 를 외향 상단 횡리브(1)에서 외향 하단 횡리브(2) 까지 연결되게 형성시켜서 된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네코너의 상단 양쪽에 높이가 작은 돌출단(8),(8a)을 형성시켜서 된 상하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외향하단 횡리브(2)를 하부로 약간 경사지고 끝단(2a)을 하향 90。 각도로 굴곡시켜 그 하면 내향쪽을 상저면이 경사가 진 함입단(2b)으로 형성시켜서 된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하면에 복수개의 종,횡리브가 돌출된 바닥판(7)을 가장자리면(7a)은 그대로 두고 가운데면(7b)만 상향으로 약간 돌출되게 형성시켜서 된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운반상자의 네코너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시킨 4개의 외향 종리브를 장측벽쪽 코너의 외향 종리브(5),(3)는 장측벽과 직각방향으로, 단측벽쪽 코너의 외향 종리브(6),(4)는 단측벽과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시켜서 된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KR2019990006240U 1999-04-16 1999-04-16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KR200241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240U KR200241475Y1 (ko) 1999-04-16 1999-04-16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240U KR200241475Y1 (ko) 1999-04-16 1999-04-16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07U KR20000019607U (ko) 2000-11-15
KR200241475Y1 true KR200241475Y1 (ko) 2001-09-25

Family

ID=5476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240U KR200241475Y1 (ko) 1999-04-16 1999-04-16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7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87B1 (ko) * 2014-04-02 2015-02-0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모서리 보강 구조를 갖는 운반 상자
KR102127375B1 (ko) 2019-04-17 2020-06-26 태양금속공업주식회사 철물 운반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607U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223A (en) Plastic container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KR100301783B1 (ko) 화물콘테이너
US2775360A (en) Material handling container
US20090152264A1 (en) Assembly type box-shaped body and plate material connection structure
US3327896A (en) Stackable container
KR20120070505A (ko) 수납 트레이
EP3456645A1 (en) Plastic container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ethod for stacking containers
KR200241475Y1 (ko) 상하 압축강도를 보강시킨 합성수지재 운반상자
WO2003045792A1 (fr) Recipient en resine synthetique
KR202200850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JP5769240B2 (ja) パレット
JP2019210006A (ja) 蓋部材
JP2004010128A (ja) 上蓋及びパレットボックス
US3445034A (en) Plastic crate with metal stacking ear
CN220411191U (zh) 一种折叠箱
JP3958475B2 (ja) 運搬用容器
JPH0224748Y2 (ko)
JP4866172B2 (ja) 運搬用容器
KR102545936B1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포장박스
JP5442651B2 (ja) 箱型容器
JP2006096366A (ja) 合成樹脂製容器
KR940007976Y1 (ko) 바닥처짐방지용 운반상자
KR20230139660A (ko)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JP2001171677A (ja) 運搬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