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42Y1 -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 Google Patents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42Y1
KR200241342Y1 KR2020010010538U KR20010010538U KR200241342Y1 KR 200241342 Y1 KR200241342 Y1 KR 200241342Y1 KR 2020010010538 U KR2020010010538 U KR 2020010010538U KR 20010010538 U KR20010010538 U KR 20010010538U KR 200241342 Y1 KR200241342 Y1 KR 200241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block
block
groove
wedge member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섭
Original Assignee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0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42Y1/ko

Links

Landscapes

  • Fo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정밀 성형기(Former)에 있어서, 기계 본체와 다이블럭 세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과 해체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위치결정 구조는, 다이블럭(A)을 소재의 이송을 위한 소재이송부(A')와 가공부(A')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본체(1)에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다이블럭의 우측 상단부에는 도브 테일(Dove-tail)형상의 요홈(10)을 본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요홈(10)에 합치되는 쐐기부재(20)가 조정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는 단순 구조로 개선함에 따라 다이블럭의 가공시간을 줄이고, 높은 정밀도로 다이블럭을 셋팅할 수 있으며, 다이블럭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기계의 가동률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A device for positioning die-block of forming machine}
본 고안은 고속정밀 성형기(Former)에 있어서, 기계 본체와 다이블럭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과 해체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이블럭의 위치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에 의한 성형가공 방식은 다수개의 금형, 펀치 및 트랜스퍼로 이루어지는 다이블럭, 펀치 및 트랜스퍼로 구성되어, 소재를 트랜스퍼에 의해 점진적 단계에 따라 스테이지별로 성형 가공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성형 가공에 있어서는 다이블럭의 각 금형마다 펀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랜스퍼와 금형 및 펀치 상호간의 정확한 위치 결정 여부에 따라 제품의 정밀도가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1-0017036호에서 다이블럭, 펀치 및 트랜스퍼의 위치를 정확하게 세팅하기 위한 고속정밀 성형기의 셋팅 테이블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속정밀 성형기의 셋팅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이블럭, 펀치 및 트랜스퍼 각각을 성형가공용 기계 본체에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으면 양질의 제품 정밀도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 세팅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 있으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다이블럭(A)은 절단용 금형지지구(51) 및 푸셔의 위치고정구(52)가 형성되는 소재 안내부(A')와, 다수개의 다이스(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볼트공에 고정볼트(54)가 끼워져 고정되는 가공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구성되는데, 다이블럭(A)을 기계본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 탑재하고 경사판(50)을 다이블럭의 우측 단부에 끼운 다음 고정볼트(55)로 죈 후, 다수의 볼트(54)를 다이블럭의 하부 및 좌측 상부에 형성된 볼트공(53)에 끼워 기계본체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이블럭 고정방식은 경사판(50)의 측면 경사각도 및 경사 정밀도가 정확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다이블럭의 우측부의 경사각도와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위치결정에 어려움이 많이 존재하였다.
또한, 다이블럭(2)을 기계본체(1)에 고정하는 다수개의 볼트(54)는 다이블럭을 관통하여 기계본체와 일체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볼트(54)를 완전히 해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경사판(50)을 고정하는 고정볼트(55) 또한 그 끝단부가 기계본체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경사판(50)을 해체하기도 용이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다이블럭의 분해 및 조립과정이 번거롭고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 조립 및 분해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속정밀 성형가공용 다이블럭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이블럭과 기계본체와의 위치를 정확하게 셋팅할 수 있는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도2 및 도3은 종래의 다이블럭이 기계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및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이블럭이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다이블럭이 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이블럭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쐐기부재 체결부의 부분확대도 및 그 분해도
도 8a 및 도 8b는 쐐기부재와 연접되는 부분의 다이블럭 단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성형가공장치 본체 A, A', A': 다이블럭
3: 다이스 10: 다이블럭의 요홈
11: 볼트공 15: 가이드부재
20: 쐐기부재 21: 나사공
22: 돌출부 30: 조정나사
31: 홈 33: 나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는, 다이블럭(A)을 소재를 안내하는 소재안내부 다이블럭(A')과 가공부 다이블럭(A')으로 분리하여 구성되며, 다이블럭 고정용 볼트공이 개방형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 다이블럭(A')의 우측에는 상단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경사져서 하부로 형성된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의 요홈(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요홈(10)에 합치되는 쐐기부재(20)의 나사공(21)에는 조정나사(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정나사(30)의 중간부에 형성된 홈(31)에는 일방향이 개방된 너트형상의 가이드부재(15)가 수용되고, 그 개방된 공간 및 상기 조정나사의 홈(31) 내에는 상기 쐐기부재(20)의 돌출부(22)가 함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이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가 적용되어 기계본체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다이블럭(A)을 소재공급부 다이블럭(A')과 가공부 다이블럭(A')을 분리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재이송부 다이블럭(A')은 고정볼트(61)에 의하여 기계본체(1)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어지며, 가공부 다이블럭(A')은 고정볼트(6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그 이유는 다이블럭의 좌측 단부가 경사져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가공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가공치수 오차로 인하여 다이블럭의 위치가 정확하게 셋팅되지 못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가공부 다이블럭(A')의 좌측면이 직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여 가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재공급부 다이블럭(A')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가공부 다이블럭(A')만 교체하여 설치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다이스를 교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서의 도면부호 58은 소재를 이송하는 트랜스퍼를 받쳐주는 받침대이며, 도면부호 56은 백 플레이트이다.
또한,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가공부 다이블럭(A') 하부의 고정용 볼트공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개량함으로써, 고정볼트(54)를 완전히 풀지 않고서도 가공부 다이블럭을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블럭(A')의 우측에는 위치결정 쐐기부재(20) 및 조정나사(30)가 형성되어, 상기 조정나사를 풀고 조임에 따라 상기 쐐기부재(20)가 하강되면서 상기 다이블럭(A')과 기계본체를 체결하거나 또는 상승운동에 의하여 해제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다이블럭 고정볼트 및 위치결정 구조를 해제한 후 가공부 다이블럭(A')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서의 도면부호 59는 소재이송부 다이블럭(A') 및 가공부 다이블럭(A')이 재치되는 받침판이며, 도면부호 60은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하는 지지대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의 위치결정용 쐐기부재(20) 및 조정나사(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 및 분해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상기 쐐기부재(20) 및 조정나사(30)가 분해된 상태의 가공부 다이블럭(A')의 측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의 쐐기부재의 형상 및 이에 합치되는 가공부 다이블럭(A')의 우측 단부의 홈의 형상은 도브 테일(Dove-tail)으로 이루어지되, 조정나사가 안내되는 나사공(21)을 형성하는 안내부(24)가 다이블럭(A')에 맞닿는 쪽의 상기 쐐기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20) 및 다이블럭의 요홈(10)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 아래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부 다이블럭(A')의 우측 측면은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정나사(30)의 나사부(33)와 나사 결합되는 다이블럭의 체결공(13)의 외형(12)이 길죽한 타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블럭(A')의 요홈(10)에 합치되는 쐐기부재(20)의 안내부에 형성된 나사공(21)에는 조정나사(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정나사(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홈(31)에는 일방향이 개방된 너트형상의 가이드부재(15)가 수용되고, 그 개방된 공간 및 상기 조정나사의 홈(31) 내에는 상기 쐐기부재(20)의 돌출부(22)가 함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위치결정 쐐기부재 및 조정나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공부 다이블럭(A')을 기계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이블럭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형 볼트공(11)과 고정볼트(54)가 일치되도록 하여 다이블럭을 기계본체 하부의 받침판(29) 위에 재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이블럭의 위치를 정확히 셋팅하기 위하여 조정나사(3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조정나사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33)가 상기 다이블럭(A')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체결공(13)에 나삽된다. 이 때 상기 조정나사의 몸체 중간부분의 홈(31)에 상기 쐐기부재(20)의 돌출부(22)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쐐기 부재(20)도 따라서 다이블럭(A')과 기계본체(1) 사이로 이동되면서 삽입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쐐기부재(20)는 상기 다이블럭(A')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서 상기 다이블럭이 정확하게 위치결정이 된 후에는 상기 고정볼트(54)를 죔으로써 다이블럭의 셋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다이블럭(A')을 해체 및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작업과정의 역순으로 해체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정나사(30)를 푼 다음 상기 고정볼트(54)를 완전히 빼지 않고 약간만 푼 상태에서도 상기 다이블럭을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해체가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가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사판(50) 및 다이블럭(A)의 가공정밀도의 오차가 다이블럭 셋팅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이블럭을 기계본체에 셋팅하도록 하는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고속정밀 성형가공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높은 가공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할 제품의 종류에 따른 다이스의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속정밀 프레스성형 가공분야의 산업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고속정밀 성형기(Former)에서의 다이블럭을 성형가공기 본체에 장착하는 위치결정 구조에 있어서,
    다이블럭을 소재의 이송을 위한 소재이송부(A')와 가공부(A')로 분할하여 구성하되, 상기 소재이송부 다이블럭(A')에 고정볼트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볼트(61)에 의하여 본체(1)에 체결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공부 다이블럭(A')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볼트공(11)을 형성하여 고정볼트(60)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도 상기 다이블럭(A')을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다이블럭의 우측 상단부에는 도브 테일(Dove-tail)형상의 요홈(10)을 본체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요홈(10)에 합치되는 쐐기부재(20)가 조정나사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다이블럭(A')을 상기 본체(1)에 정확하게 위치결정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20)는 상기 다이블럭(A')의 요홈(10)에 합치되는 안내부(24)에 형성된 나사공(21)에 조정나사(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정나사(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홈(31)에 돌출부(22)가 함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조정나사(30)는 하부에는 나사부(33)가 형성되며, 그 중간부에는 일방향이 개방된 너트형상의 가이드부재(15) 및 상기 쐐기부재(20)의 돌출부(22)가 함입될 수 있는 홈(31)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블럭 위치결정 구조.
KR2020010010538U 2001-04-14 2001-04-14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KR200241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38U KR200241342Y1 (ko) 2001-04-14 2001-04-14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538U KR200241342Y1 (ko) 2001-04-14 2001-04-14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42Y1 true KR200241342Y1 (ko) 2001-10-11

Family

ID=7306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538U KR200241342Y1 (ko) 2001-04-14 2001-04-14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185A (en) Rotatable master die set and quick change unit die system
KR950001029B1 (ko) 순차 이송 가공 장치
JPH01271011A (ja) プレス曲げ加工用工具
CN1075404C (zh) 可互换成形模具的冲模装备和用于该冲模装备的标准模架
KR200241342Y1 (ko) 다이블럭의 위치결정 구조
US4912960A (en) Automatic precision stamping press and method for changing tools
KR20080021357A (ko) 무포스트 금형장치
JPH05131294A (ja) ロータリプレス
JP5316858B2 (ja) 成形シートの抜刃型
CN211515593U (zh) 一种模组化拉拔辊模
CN102632135B (zh) 灯杆法兰底盖冲孔模具
CN219703236U (zh) 一种卡扣模具
KR10101460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트리퍼 조립체
JP3930395B2 (ja) 圧造成形機
CN220161077U (zh) 一种折弯机多模具快速切换系统
CN219189468U (zh) 一种方便刀具拆卸替换的零件机床
KR100415533B1 (ko) 고속정밀 성형기의 세팅 테이블
JP2001025934A (ja) ダイアッセンブリ取付機構
CN213826662U (zh) 汽车尾箱组件用连续模具
JP2000153320A (ja) ダイの芯出し調整機構
CN219561476U (zh) 一种全自动的开口销钻孔机
CN217018266U (zh) 五金模具自动固定对位套模
CN218904928U (zh) 快装型夹具
KR910001516Y1 (ko) 천공기 및 밀링기용 금속가공 복제장치
KR900004264Y1 (ko) 프레스기의 유-벤드 펀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