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016Y1 -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016Y1
KR200241016Y1 KR2020010009029U KR20010009029U KR200241016Y1 KR 200241016 Y1 KR200241016 Y1 KR 200241016Y1 KR 2020010009029 U KR2020010009029 U KR 2020010009029U KR 20010009029 U KR20010009029 U KR 20010009029U KR 200241016 Y1 KR200241016 Y1 KR 200241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housing
hol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기 filed Critical 김송기
Priority to KR2020010009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016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화문 도어클로저는 하우징의 상단부와 도어브라켓의 일측에 서로 치합되는 스플라인홈과 스플라인편를 형성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과, 하우징에 설치된 힌지축의 복원력을 좋게 하기 위해 시공 작업시 힌지축의 상단부를 잡을수 있는 공구(뺀찌)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감으로 조정을 해야함으로 시공작업이 불편 및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7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상부와 일측 외주에 다수의 결합너트홈(22)과 결합홈(24) 및 끼움홈(26)을 형성하고, 프레임브라켓(30)의 일측을 연장하여 하방고정부(36)을 갖춘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고정부(32)를 형성하고, 도어브라켓(40)의 일측에 관통홀(42)을 형성하여 결합너트(44)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압력조정구(46)를 설치하여 프레임브라켓(30)의 상측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도어브라켓(40)과 프레임브라켓(30)의 위치가 각각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시공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도어브라켓(40)에 설치된 압력조정구(46)에 의해 힌지축(4)의 복원력을 시각적으로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의 도어클로저{Door closer of the front door}
본 고안은 현관문의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의 상측에 도어브라켓을 설치하고 프레임 측면에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프레임브라켓의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하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프레임 상단에 압력조정구를 설치하여 도어클로저의 압력을 시각적으로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현관문의 도어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또는 연립주택 등의 현관에 설치되는 방화문(현관문)에는 문을 열면 자동으로 닫히려는 힘을 발생시키는 도어클로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클로저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과, 상기 승강되는 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힌지축과 그 내부에 유체가 주입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도어클로저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특히 하우징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의 흐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특허등록출원 제 98-55489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고, 그 구성관계와 그 작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도어클로저를 예시도 1 과 2 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유압조절바디(2)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이 돌출되어 내면에 스플라인홈(3)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힌지축(4)이 설치된 원통형의 하우징(1)과, 하부 외면에 나사부(5)가 형성되며, 중앙에 일부 육각홀(6)이 형성되어 하우징의 상부에 끼워지는 연결구(7)와, 도어(8)의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돌출된 결합부(9)의 둘레에 스플라인편(11)이 형성된 도어브라켓(10)과, 상기 연결구(7)와 나사결합되면서 도어프레임(12)에 고정되는 프레임브라켓(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종래의 도어클로저는 원통형의 하우징(1)과 도어(8)상단에 부착되는 도어브라켓(10) 및 도어프레임(12)상단에 부착되는 프레임브라켓(1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에 부착된 도어브라켓(10)이 회전(도어를 열을때)하면 하우징(1)에 설치된 육각봉으로 이루어진 힌지축(4)이 회전하게 되고, 힌지축(4)이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1)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14)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4)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힌지축(1)의 하측부가 나선부를 이루고 있으며 피스톤(14)은 하우징(1)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있으므로 힌지축(4)이 회전할 때 피스톤(14)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주입되어 있는 유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14)은 내장된 스프링(15)을 압축시키게 됨으로서, 압축된 스프링(15)은 피스톤(14)을 밀어 올리려는 힘을 갖게 되어 도어를 열고 손을 놓게 되면 피스톤(14)이 상방향으로 올라가면서 힌지축(4)을 역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힌지축(4)이 역회전함에 따라 도어는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1)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유체는 피스톤(1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도어의 닫히는 속도는 일정하게 되며, 상기 도어의 닫히는속도는 피스톤(14)의 상측과 하측을 연통시켜 주는 유압통로, 즉 유압조절바디(2)의 상·하단에 설치된 유압조절볼트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체가 주입되고 상하이동 가능한 피스톤(14)이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14)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스프링(15)이 설치되고, 피스톤(14)을 작동시키는 힌치축(4)이 설치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의 상단부에 스플라인결합을 이루는 도어브라켓(10), 그리고 연결구(7)에 의해 도어브라켓(10)과 축결합을 이루는 프레임브라켓(13)으로 이루어져 있는 도어클로저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에서 도어를 열고 도어를 놓게 되면 도어는 서서히 닫히게 되어 도어를 열은 사람이 도어를 닫지 않아도 도어는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클로저는 설치시 도어브라켓(10)은 도어상단에 부착하고 프레임브라켓(13)은 도어프레임(12) 상단에 부착한후 도어프레임(12)에 도어(8)를 결합시 연결구(7)를 끼움으로서 도어(8)가 도어프레임(12)에 고정이 된다. 이렇게 문이 고정이 된 후 도어(8) 하방의 구멍으로 하우징(1)를 상방향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하우징(1)의 힌지축(4)의 육각면에 연결구(7)의 육각홀(6)이 결합해야 하므로 연결구(7) 회전시켜 결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1)의 상단부와 도어브라켓(10)의 일측에 서로 치합되는 스플라인홈(3)과 스플라인편(11)를 형성해야 하는 복잡한 구성과, 하우징(1)에 설치된 힌지축(4)의 복원력을 좋게 하기 위해 시공 작업시 힌지축(4)의 상단부를 잡을수 있는 공구(뺀찌)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감으로 조정을 해야함으로 시공작업이 불편 및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현관문 도어클로저 설치시 지닌 문제점을 해소 하기 위하여 도어의 상측에 도어브라켓을 설치하고 프레임 측면에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프레임브라켓의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설치하므로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도어클로저가 부착된 프레임 상단에 압력조정구를 설치하여 도어클로저의 압력을 시각적으로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현관문의 도어클로저를 제공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되는 하우징과, 도어에 부착되는 도어브라겟과, 프레임에 부착되는 프레임브라켓으로 이루어진 현관문의 도어클로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다수의 결합너트홈과 결합홈을 형성하고, 일측 외주에 끼움홈을 형성하며, 프레임브라켓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고정부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고정부에는 다수의 결합홀과 일측으로 하방고정부를 형성하고, 도어브라켓의 일측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결합너트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압력조정구를 설치하되, 상기 압력조정구는 중앙에 육각홀을 형성하고, 상단에 등간격의 표시못을 각인하며, 상기 표시못과 수직상 일치하는 외주면에 등간격의 조종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우징을 프레임브라켓에 결합하고 도어프레임에 프레임브라켓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브라켓이 설치된 도어를 들어 올려 결합는 것으로 조립작업이 간단해 지고, 표시못이 각인된 압력조정구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것으로 힌지축의 복원력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클로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 은 종래 도어클로저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우징, 22 - 결합너트홈,
24 - 결합홈, 26 - 끼움홈,
30 - 프레임브라켓,
32 - 하우징고정부, 34 - 결합홀,
36 - 하방고정부,
40 - 도어브라켓, 42 - 관통홀,
44 - 결합너트, 46 - 압력조정구,
48 - 육각홀, 50 - 표시못,
52 - 조정홀.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클로저의 설치상태 사시도 이며, 도 5 는 도 4의 일부 절개 단면도 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우징(20)의 상부에 다수의 결합너트홈(22)과 결합홈(24)을 형성하고, 일측 외주에 끼움홈(26)을 형성하며, 프레임브라켓(30)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고정부(32)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고정부(32)에는 다수의 결합홀(34)과 일측으로 하방고정부(36)를 형성하고, 도어브라켓(40)의 일측에 관통홀(42)을 형성하여 결합너트(44)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압력조정구(46)를 설치하며, 상기 압력조정구(46)는 중앙에 육각홀(48)을 형성하고, 상단에 등간격의 표시못(50)을 각인하며, 상기 표시못(50)과 수직상 일치하는 외주면에 등간격의 조종홀(5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압력조정구(46)는 도어브라켓(40)의 관통홀(34)에 끼워져 하단부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밴딩처리 되어 도어브라켓(40)과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0은 압력조정구(46)의 조정홀(52)에 끼워지는 무두보울트와 하방고정부(36)를 고정시키는 무두보울트 이고, 62는 하우징고정부(32)의 결합홀(34)을 통해 하우징(20)을 고정시키는 결합보울트 이며, 64는 끼움홈(26)에 형성된 너트홈 이고, 66은 하방고정부(36)에 형성된 결합너트홀 이며, 68은 하우징고정부(32)의 밑면에 형성된 결합돌기 이고, 이하 종래고안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 고안을 예시도 4와 5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프레임브라켓(30)을 도어프레임(12)의 수직면에 설치하고, 하우징(20)의 힌지축(4)을 하우징고정부 (32)의 중앙홀에 끼우면 하우징(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4)에 하우징고정부 (32)의 결합돌기(68)가 끼워지며, 또한 하우징(20)의 상단 외부에 형성된 끼움홈 (26)에 하우징고정부(32)의 하방고정부(36)이 끼워지고 결합보울트(62)와 무두보울트(60)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12)에 하우징(20)이 부착된 프레임브라켓(30)이 설치되고, 도어(8)의 상단 일측에는 도어브라켓(40)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브라켓 (40)은 일측으로 관통홀(4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2)에 수직상 동일한 위치의 등간격으로 표시못(50)과 조정홀(52)이 형성된 압력조정구(46)이 수직하방향으로 끼워져 하단부의 나사부에 결합너트(44)가 체결되어 회동가능한 압력조정구(4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도어브라켓(40)이 설치된 도어(8)를 들어서 압력조정구(46)의 육각홀(48)에 하우징(20)의 힌지축(4)이 끼워지는 것으로 설치작업은 완료가 된다.
이때, 힌지축(4)의 복원력을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축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8)를 열게 되면 힌지축(4)은 도어브라켓(40)의 압력조정구(46)와 면접촉을 이루고 있으므로 도어(8)가 열리는 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도면상 시계반대방향)하게 된다.
상기 도어(8)가 회전됨과 동시에 하우징(20)의 힌지축(4)이 회전되면 하우징 (20)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14)이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5)을 압착시키게 됨으로, 열린 도어를 놓게 되면 압착된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14)이 상승하면서 힌지축(4)을 복원(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20)에 설치된 힌지축(4)은 처음부터 일정한 복원력을 갖추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복원력은 도어브라켓(40)에 설치된 압력조정구(46)에 의해 간단하게 조정된다.
상기 압력조정구(46)는 도어브라켓(40)의 관통홀(42)에 단순히 끼움식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압력조정구(46)의 상단과 그 하측의 외주에는 수직상 동일한 위치에 등간격의 표시못(50)과 조정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끼워지는 무두보울트(60)의 선단부가 조정홀(52)에 끼워져 압력조정구(46)는 도어브라켓(40)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즉, 무두보울트(60)의 단부가 압력조정구(46)의 조정홀을 벗어나게 하여 압력조정구(46)을 일정각도, 예를 들어 60° 120° 180°등로 회전(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시키면 힌지축(4)도 동일하게 회전이 되면서 회전된 만큼 복원력을 갖게 되고, 상기 무두보울트(60)을 조여 선단부가 조정홀(52)에 끼워지는 것으로 힌지축 (4)의 복원력은 일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20)이 프레임브라켓(30)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프레임브라켓(30)의 상측으로 도어브라켓(40)이 얹어지는 것으로 설치가 됨으로서, 설치작업이 간단해지고, 특히 도어브라켓(40)에 설치된 압력조정구(46)에 의해 하우징(20)에 설치된 힌지축의 복원력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브라켓(30)에 하우징(20)이 결합된 상태로 공장에서 출하되므로서 현장 시공시 작업자가 프레임브라켓(30)을 도어프레임(12) 측면에 고정 시키는 작업후 도어(8)에 부착된 도어브라켓(40)의 육각홀(48)을 프레임브라켓(30)과 일체를 이루는 힌지축(4)에 끼우고 압력조정구(46)를 이용하여 힌지축(4)과 연결된 피스톤(14)에 의해 스프링(15)의 압력을 조정한후에 무두보울트를 고정 시키므로서 작업이 끝이 나므로 작업의 안정성과 시공시간의 단축과 작업자의 편안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예시도 6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압력조정구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일부분 종단면도로서,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도어브라켓(40)의 관통홀(42)에 압력조정구(46)를 끼워넣고, 압력조정구(46)의 하단부에 프레스 압력을 가하면 하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밴딩처리 되어 압력조정구(46)는 도어브라켓(40)과 회동가능 하도록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조정구(46)가 설치된 도어브라켓(40)을 프레임브라켓(30)과 결합을 시키면 프레임브라켓(30)에 설치된 하우징(20)의 힌지축(4)이 압력조정구 (46)의 육각홀(48)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힌지축(4)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복원력은 간단히 조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예시도 3 내지 7도에 표현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상부와 일측 외주에 다수의 결합너트홈(22)과 결합홈(24) 및 끼움홈(26)을 형성하고, 프레임브라켓(30)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고정부(32)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고정부(32)에는 다수의 결합홀(34)과 일측으로 하방고정부(36)를 형성하고, 도어브라켓(40)의 일측에 관통홀(42)을 형성하여 결합너트(44)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압력조정구(46)를 설치하며, 상기 압력조정구(46)는 중앙에 육각홀(48)을 형성하고, 상단에 등간격의 표시못(50)을 각인하며, 상기 표시못(50)과 수직상 일치하는 외주면에 등간격의 조종홀(52)을 형성하여 프레임브라켓(30)의 상측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도어브라켓(40)과 프레임브라켓(30)의 위치가 각각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도어브라켓(40)에 설치된 압력조정구(46)에 의해 힌지축(4)의 복원력을 시각적으로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우징(20)의 상부에 다수의 결합너트홈(22)과 결합홈(24)을 형성하고, 일측 외주에 끼움홈(26)을 형성하며, 프레임브라켓(30)의 일측을 연장하여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고정부(32)를 형성하되, 상기 하우징고정부(32)에는 다수의 결합홀(34)과 일측으로 하방고정부(36)를 형성하고, 도어브라켓(40)의 일측에 관통홀(42)을 형성하여 결합너트(44)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압력조정구(46)를 설치하며, 상기 압력조정구(46)는 중앙에 육각홀(48)을 형성하고, 상단에 등간격의 표시못(50)을 각인하며, 상기 표시못(50)과 수직상 일치하는 외주면에 등간격의 조종홀(5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의 도어클로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조정구(46)는 도어브라켓(40)의 관통홀(34)에 끼워져 하단부가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밴딩처리 되어 도어브라켓(40)과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관문의 도어클로저.
KR2020010009029U 2001-03-31 2001-03-31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KR200241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29U KR200241016Y1 (ko) 2001-03-31 2001-03-31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29U KR200241016Y1 (ko) 2001-03-31 2001-03-31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016Y1 true KR200241016Y1 (ko) 2001-10-10

Family

ID=7306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29U KR200241016Y1 (ko) 2001-03-31 2001-03-31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0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68B1 (ko) 2020-03-30 2021-03-31 전선기 탄성 체결형 도어 클로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68B1 (ko) 2020-03-30 2021-03-31 전선기 탄성 체결형 도어 클로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161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EP2682553B1 (en) Auto-return apparatus for glass door
KR102319637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창틀 설치 프레임 조립체
US5568673A (en) Pivot pin assembly for folding door
US4707882A (en) Pneumatic damper
KR200215984Y1 (ko) 오토힌지의 텐션조절장치
KR200241016Y1 (ko) 현관문의 도어 클로저
KR101874254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2117779B1 (ko) 도어의 클로저 속도 조절 허용 구조
EP2087190B1 (en) Handle
KR200215990Y1 (ko) 비틀림력을 갖는 도어 힌지의 구조
EP0916802A2 (en) Automatically-orientating actuation pushbutton for automatic draft stopper and draft stopper provided with the pushbutton
EP1828515B1 (en) Adjustable door hinge
KR20030076863A (ko) 도어 개폐용 완충경첩
KR200373610Y1 (ko) 도어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102119450B1 (ko) 도어 개폐용 경첩의 조립구조
KR200338218Y1 (ko) 도어 개폐 완충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00016399U (ko) 환기창
KR200271646Y1 (ko) 경첩형 도어개폐장치
FI105711B (fi) Sarana
KR102517192B1 (ko) 여닫이도어의 틈새 조절구조
KR20190023124A (ko) 도어클로저
KR200267338Y1 (ko) 플로어 힌지 조립체
DE102004015209A1 (de) 3-teiliges Türband mit Höhenverstellung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