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562Y1 -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562Y1
KR200240562Y1 KR2019980008486U KR19980008486U KR200240562Y1 KR 200240562 Y1 KR200240562 Y1 KR 200240562Y1 KR 2019980008486 U KR2019980008486 U KR 2019980008486U KR 19980008486 U KR19980008486 U KR 19980008486U KR 200240562 Y1 KR200240562 Y1 KR 200240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glass
foreign matter
stirring cylinder
glass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570U (ko
Inventor
최낙중
Original Assignee
최낙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중 filed Critical 최낙중
Priority to KR2019980008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562Y1/ko
Priority to JP10174409A priority patent/JPH11322373A/ja
Publication of KR19990041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9/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218/00Methods for coating glass
    • C03C2218/30Aspects of methods for coating glass not covered above
    • C03C2218/32After-treatment
    • C03C2218/328Partly or completely removing a co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본 고안은, 프레임과;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축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교반부재가 구비된 교반통 및; 상기 교반통과 연결되어 교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형광물질등의 이물이 표면에 부착된 유리를 재생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학물질이나 외부로부터의 열을 가하지 않고, 그 대신 물만을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유리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및 장치가 간단하고 작업에 따르는 비용 및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glass}
본 고안은 각종 폐유리자재 예를 들어, 텔레비젼의 음극선관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재질에 부착되거나 도포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유리를 재생 할 수 있게 구성한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유리에는 형광물질이나 금속막 또는 흑연막등이 첨가물로서 도포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을 생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약 5% 내지 10%의 불량율이 발생하며, 이에 더하여 음극선관이 불량이 아닐지라도 여타의 조립공정의 불량에 의해 음극선관을 폐기하여야 할 수밖에 없는 조립불량율 또한 5% 내지 10%에 달한다. 그러므로 대량생산 체재하에서 생산되는 음극선관 중 조립불량으로 인하여 폐기되는 음극선관의 양은 매우 크다하겠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폐기되는 음극선관에 의한 낭비를 막기 위하여 음극선관을 이루는 유리를 재생할 필요가 절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사용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 폐음극선관을 가성소다 수용액으로 가열하여 열 및 화학적인 방법으로, 유리에 도포되어 있는 각종 첨가물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가성소다를 가열하기 위한 연료가 필요하며, 더구나 각 형광물등의 첨가물과 가성소다와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공해물질이 다량 생성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폐음극선관을 이루는 유리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대신 물을 사용하여 공해의 발생이 없음은 물론, 가열의 필요성이 없어 재생을 위한 에너지를 낭비함이 없이 신속하게 유리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아울러 대상물을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유리에 국한 하지 않고 일반적인 유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교반통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절제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교반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레임 12:관통구
16,17:교반통 18,19:나선형블레이드
20:롤러 22:전동축
24:유압모터 26:유압펌프
28:방음고무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과;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되 축 회전가능하고, 일측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교반부재가 구비된 교반통 및; 상기 교반통과 연결되어 교반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크게 프레임(10)과, 교반통(16)과, 유압모터(24)와, 유압펌프(26)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원통형의 교반통(16)을 축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에 다수의 롤러(20)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20)는 프레임(10)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그 외주면이 원통형의 교반통(16)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후술할 구동수단에 의해 교반통(16)이 회전하면, 자신도 동시에 회전하며 교반통(16)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롤러(20)는 교반통의 하중을 지탱하여야 하므로 개수가 많을수록 좋음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서 롤러(20)에 의해 지지되며 축회전하는 교반통 (16)은 원통 형상을 취하며, 일측면에 관통구(12)가 설치된다. 상기 관통구(12)는 교반통(16)내에 폐유리자재(이하, 원료)를 투입하거나, 교반통(16)으로부터 원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한 구멍으로서 외부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교반통(16)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12)가 형성된 일측면의 반대측 타측면에는 전동축(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동축(22)은 교반통(16)의 타측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교반통(16)을 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교반통(16)의 직경을 교반통 길이의 0.4 내지 0.6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통(16)을 축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서, 유압펌프(26)와 유압모터(24)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의 구동수단은 교반통(16)의 다양한 회전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회전토오크 및 회전속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유압펌프 (26) 및 이와 연결된 유압모터(24)가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모터를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동축(22)은 유압모터(24)와 전동기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데, 전동기구는 유압모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회전력의 전달을 위하여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유압모터(24)는 유압펌프(26)에 의해 유출하는 유압유의 압력으로 작동하고, 유압모터(24)의 회전력이 전동기구를 통해 교반통(16)에 전달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교반통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절제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통(16)의 내주면에는 나선형블레이드(18)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블레이드(18)는, 관통구(도 1의 12)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원료의 내부 이송을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교반통(16)의 내주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며, 교반통(16)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진행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나선형블레이드(18)는 하나의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나선형블레이드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라인으로 구성하여, 마치 공지의 두 줄 나사 또는 세 줄 나사와 결합하는 너트의 나사산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교반통(16)내부에서의 원료의 이송 및 교반특성을 달리하기 위한 것이다.
교반통(16)의 내주면에는 전체적으로 방음고무판(28)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방음고무판(28)은 교반통(16)의 내부에서 교반되며 이송운동하는 원료와 교반통 (16)과의 부딪침에 의한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고무판을 교반통(16)의 내주면에 결합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나선형블레이드 (18)의 높이와 두께 및 간격은 교반통(16)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방음고무판(28)이 이루는 내주면을 기준으로 높이는 교반통(16) 최대 지름의 1/5 내지 1/4의 길이로, 두께는 대략 4mm 내지 8mm로 하고, 40cm 내지 60cm의 간격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통(16)의 내부에는 나선형블레이드(18)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료와 물을 관통구(12)를 통해 교반통(16)의 내부에 투입하고,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화살표 c의 방향으로 교반통(16)을 회전하면, 교반통(16)의 내부에 투입된 원료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물과 함께 혼합되며 교반되고 서로 부딪치며 마찰됨으로써, 유리 표면에 도포되어 있던 형광물질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 때 교반되는 원료는 나선형블레이드(18)에 의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가압되며 이송되어 교반통(16)의 내측벽에 다다른다.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송되어 내측벽에 도달한 원료는 방향을 바꾸어 다시 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다시 이동한 후, 나선형블레이드(18)에 의해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재차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통(16)의 내부에서 원료와 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화살표 a, b의 방향으로 왕복하는 원료는 상호 마찰하며 교반되므로, 유리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물질등의 부착 이물질은 유리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물에 의해 유리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되풀이하여 유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의 제거를 완료시킨다. 아울러 원료와 이에 혼합되는 물과의 중량비는 대략 10:1정도가 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된 후 유리를 교반통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통(16)내의 유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전동축 (22)을 역방향인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교반통(16)내의 유리는 나선형블레이드(18)에 의해 화살표 d의 방향으로 관통구(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교반통(16)내부의 원료의 이동은 나선형블레이드(18)에 의해 가능하며, 나선형블레이드(18)의 형성각도가 클수록 이동속도가 커짐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본 도면은 교반통(17)만을 단면도로서 나타내었으나, 이외의 구성요소는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교반통 (17)은 중앙부분의 직경이 양측 단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중앙부로부터 양측단부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의 교반통(17)의 최대 직경에 대한 최소직경은 대략 1/2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교반통(17)의 내부에도 방음고무판(28)과 나선형블레이드(19)가 마련되어 있다. 이외의 구성요소 및 작동은 상기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형광물질등의 이물이 부착된 유리를 재생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학물질이나 외부로부터의 열을 가하지 않고, 유리에 물만을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유리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및 장치가 간단하고 작업에 따르는 비용 및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음극선관에 사용되었던 유리만을 작업대상으로 하지 않고 재생하고자 하는 다른 다양한 대상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프레임(10)과;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취하며 상기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되 축 회전가능하고, 일측면에 관통구(12)가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교반부재가 구비된 교반통 (16,17) 및;
    상기 교반통(16,17)과 연결되어 교반통(16,17)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6,17)의 내주면에 형성된 교반부재는, 상기 교반통(16,17)의 내주면으로부터 교반통(16,17)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고 교반통 (16,17)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진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선형블레이드 (18,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블레이드(18,19)는 두 개의 나선형블레이드가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복수의 롤러(20)가 더 구비되어 교반통(16,17)을 지지하고 교반통(16,17)의 타측면에는 전동축(22)이 형성되며, 구동수단은 상기 전동축(22)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24)와 상기 유압모터(24)를 구동하는 유압펌프(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6,17)의 내주면에는 방음고무판(2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7)은 중앙부분의 직경이 양단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980008486U 1998-05-21 1998-05-21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KR200240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86U KR200240562Y1 (ko) 1998-05-21 1998-05-21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JP10174409A JPH11322373A (ja) 1998-05-21 1998-06-22 硝子表面の異物除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486U KR200240562Y1 (ko) 1998-05-21 1998-05-21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70U KR19990041570U (ko) 1999-12-15
KR200240562Y1 true KR200240562Y1 (ko) 2001-12-01

Family

ID=1953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486U KR200240562Y1 (ko) 1998-05-21 1998-05-21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22373A (ko)
KR (1) KR2002405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4590A1 (fr) * 2000-11-30 2002-06-06 Kazushi Yanagimoto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grenage asymetrique, engrenage asymetrique, engrenage non circulaire et asymetrique, mecanisme d'engrenage et machine de finition au tonneau
JP5903599B2 (ja) * 2011-10-06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平板状表示装置の解体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570U (ko) 1999-12-15
JPH11322373A (ja)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48039U (zh) 一种可移动的粉料螺旋输送装置
CN211677353U (zh) 一种化工生产搅拌装置
KR200240562Y1 (ko) 유리표면이물질제거장치
CN116329208A (zh) 一种管道清理装置
CN1305589C (zh) 用于平面显示板的清洁装置
CN215693294U (zh) 一种出料率高的密封剂加工用混合装置
CN113351571A (zh) 滚筒式超声波清洗装置
CN211329116U (zh) 一种水性涂料生产用分散装置
CN217568495U (zh) 一种中性除锈调整清洗剂原料分散装置
CN210815247U (zh) 一种药物中间体反应釜
CN217773928U (zh) 一种化工原料高效混合装置
CN111974287A (zh) 一种化工原料搅拌装置
CN216321095U (zh) 一种脱硫吸收塔旋转喷淋装置
CN219024314U (zh) 一种白乳胶反应釜
CN221017968U (zh) 一种农田土壤污染修复装置
CN218393336U (zh) 一种防潮材料加工用的混合设备
KR100550233B1 (ko) 2 실린더형 하이브리드 사출장치
CN216909926U (zh) 一种双轴搅拌设备
CN220443338U (zh) 一种节能环保工业危废液处理设备
CN219463012U (zh) 一种高效脱硫洗涤塔
CN219440730U (zh) 一种蒸发结晶装置和多筒体浓缩液结晶干燥装置
CN220678791U (zh) 一种医用垫片清洗装置
CN115400698B (zh) 一种木聚糖酶和木聚糖的催化反应设备
CN220337390U (zh) 一种行星传动装置及物料翻动装置
CN213078228U (zh) 一种用于农药生产的双螺旋锥形混合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