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049Y1 - 일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049Y1
KR200240049Y1 KR2020010013586U KR20010013586U KR200240049Y1 KR 200240049 Y1 KR200240049 Y1 KR 200240049Y1 KR 2020010013586 U KR2020010013586 U KR 2020010013586U KR 20010013586 U KR20010013586 U KR 20010013586U KR 200240049 Y1 KR200240049 Y1 KR 200240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bend
lines
inwar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욱
Original Assignee
최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욱 filed Critical 최동욱
Priority to KR2020010013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049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종래에는 폴리 스틸렌 폼을 그릇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과, 종이 컵과 같이 양면이 에틸렌 수지 시트로 코팅한 종이 용기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 스틸렌 폼으로 성형한 일회용 그릇은 제조방법이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화학 제품으로 제조되는 것이여서 재 활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1회용 종이 컵의 경우에는 기계적 제조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컵이 생수를 음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생수를 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탁자나 식탁등에 놓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사용상 많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한 원 재료의 상, 하 양 끝단에서 안쪽으로 선정한 임의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1절곡선과, 좌, 우 양끝단에서 임의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2절곡선을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선 과 제2절곡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에 의해 교차점 과 제1,2구획부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교차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1구획부의 끝단 중앙에서 안쪽으로 최소의 거리를 가진 지점까지 바깥에서 사선방향으로 제3절곡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교차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 중앙에 해당하는중앙점까지 각각의 제4절곡선을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중앙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의 좌,우 끝단 중앙까지 제5절곡선을 각각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한 중앙점 사이에 제6절곡선을 바깥쪽에 형성하여 상기한 제1,2,3,4,5,6절곡선을 각각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를 간단하게 사용 및 작은 부피로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용기{A FOODS VESSEL}
본 고안은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일회용 물컵, 일회용으로 음식물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바쁜 생활로 인해 패스트 푸드가 다양해지고, 또한 그 음식물 섭취 방법 또한 식당에서 거리의 카페, 간이 음식점으로 변화되는 등 크게 변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특히, 각종 튀김류, 스낵류등을 담기 위한 일회용 용기의 사용이 크게 발달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일회용 용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폴리 스틸렌 폼을 그릇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과, 종이 컵과 같이 양면이 에틸렌 수지 시트로 코팅한 종이 용기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 스틸렌 폼으로 성형한 일회용 그릇은 제조방법이 간단한 장점은 있으나 화학 제품으로 제조되는 것이여서 재 활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매립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에는 자연으로의 환원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단점과 소각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접는 경우에는 쉽게 파손이 되기 때문에 보관에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근래에 들어 각종 생수을 담아 음료하기 위한 1회용 컵 및 패스트 푸드점에서는 종이로 제작한 용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1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근래에 사용되는 1회용 종이 컵(3)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양면에 에틸렌 시트를 코팅한 시트지를 사용하여 용기 형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판(1)과 상단은 안쪽으로 말아 구성한 측면판(2)을 일체로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작을 행한다.
이러한 종이 컵(3)은 소주잔에서부터 물컵, 음료수 컵 및 각종 간단한 음식물을 담기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이 컵(3)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를 완전히 구성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여서 이 역시 보관시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제조 공정에서 하부판(1)과 상부판(2)을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하는 바업을 취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즉, 보관을 위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컵(4)이 생수를 음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컵(4)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납짝하게 형성한 것이여서, 보관에 커다란 공가능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생수를 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담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탁자나 식탁등에 놓아 사용할 수 없는 등의 사용상 많은 단점이 있다.
특히, 오염된 손으로 일회용 컵(4)의 안쪽에 넣어 벌리거나 입 바람으로 불어 공간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오염이 쉽게되는 문제점과 공간을 사용자가 형성하여야 한다는 문제점과 생수를 담기위한 공간이 너무 작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로 인하여 본 고안에서는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보관을 행할 수 있으면서도 양 끝단을 간단하게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용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용기는 음식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를 형성하는 절곡부가 서로 어우려져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탁자나 식탁등에 놓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절단한 시트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등에 일정한 이렇게 일정한 크기를 가진 절단 시트지에 상, 하 양 끝단에서 안쪽으로 선정한 임의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1절곡선과, 좌, 우 양끝단에서 임의의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2절곡선을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선 및 제2절곡선의 형성에 의한 교차점 및 제1,2구획부를 각각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교차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1구획부의 끝단 중앙에서 안쪽으로 최소의 거리를 가진 지점까지 바깥에서 사선방향으로 제3절곡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교차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 중앙에 해당하는 중앙점까지 각각의 제4절곡선을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중앙점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의 좌,우 끝단 중앙까지 제5절곡선을 각각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한 중앙점 사이에 제6절곡선을 바깥쪽에 형성하여 상기한 제1,2,3,4,5,6 절곡선을 각각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 절곡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를 형성함으로서 가능하였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회용 용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3a,b,c,d,e,f,g,h,i,j,k,l 및 도 4a,b,c,d는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용기의 제조 공정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참고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용기의 보관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 제1절곡선 12,12': 제2절곡선
14, 15, 14', 15': 제3절곡선 19: 제6절곡선
51, 52, 51', 52': 교차점 60, 60' :제2구획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 도 3에서 제조 과정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면에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합성수지 시트 예컨데, 폴리 에틸렌 시트등의 시트를 피착한 시트지를 일정한 크기에 따라 절단을 행한다.
이때 상기한 시트지의 크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그 규격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일정한 크기를 가진 절단 시트지(10)에 상, 하 양 끝단에서 안쪽으로 선정한 임의의 거리(L+a)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1절곡선(11,11')을 안쪽에 형성한다.
이러한 것은 상기한 제1절곡선(11,11')을 절곡하였을 때 최소한의 양끝단이 서로 포개어 질수 있도록 하여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첨부한 도면 도 3a에 도시하였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좌, 우 양끝단에서 2L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2절곡선(12,12')을 안쪽에 형성한다.
이를 첨부한 도면 도 3c에 도시하였고, 도 3d는 도 3c의 B-B선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한 제2절곡선(12,12')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되겠으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용기의 높이를 구성하는 것인데, 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좌, 우 양끝단에서 2L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중앙의 부분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므로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정육면체의 용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그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저면이 넓은 형태의 용기를 제공하는 반면 길이가 긴 경우에는 높이가 긴 형태의 용기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상기의 제1절곡선(11,11') 및 제2절곡선(12,12')의 형성에 의하여 교차점(51),(52),(51'),(52') 및 제1구획부(50,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교차점(51),(52), (51'),(52')에서 상기 각각의 제1구획부(50),(50')의 끝단 중앙에서 안쪽으로 최소의 거리를 가진 지점(13),(13')까지 바깥에서 사선방향으로 제3절곡선(14),(15),(14'),(15')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3절곡선(14) 및 제3절곡선(15)이 서로 만나고, 상기 제3절곡선(14') 및 제3절곡선(15')가 서로 만나게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를 첨부한 도면 도 3e에서 도시하였고, 도 3f는 도 3e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3g는 도 3e의 D-D선 단면도이다.
이와 마찬 가지로 이러한 상기의 제1절곡선(11,11') 및 제2절곡선(12,12')의 형성에 의하여 교차점(51),(52),(51'),(52') 및 제2구획부(60,60')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교차점(51),(52), (51'),(52')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60,60')의 중앙에 해당하는 중앙점(61),(61')까지 각각의 제4절곡선(17,18),(17',18')를 안쪽에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중앙점(61),(61')에서 상기한 각각의 제2구획부(60,60')의 좌,우 끝단 중앙까지 제5절곡선(16),(16')를 각각 안쪽에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를 첨부한 도면 도 3h에서 도시하였고, 도 3i는 도 3h의 E-E선 단면도이고, 도 3j는 도 3h의 F-F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 도 3k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중앙점(61),(61')사이에 제6절곡선(19)을 바깥쪽에 형성한다.
도 3l는 도 3k의 G-G선 단면도이다.
이러한 상기의 제1,2,3,4,5,6 절곡선의 형성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을 순서에 입각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한 절곡선들을 형성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진 상,하 금형으로 압축방법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한 제1,2,3,4,5,6 절곡선의 형성을 완료한 다음, 상기한 제1,2,3,4,5,6 절곡선을 각각 절곡하는 절곡을 취하게 되는데 이를 첨부한 도면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절곡선(11,11')를 안쪽으로 절곡하는 절곡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 우 양단을 안쪽으로 밀어주는 작업을 행하여 제3절곡선(14,15),(14'15')가 바깥에서 안쪽으로 절곡되고, 상기한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2절곡선(12,12')의 일부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한 제1구획부(50,50')가 각각 3개의 삼각형으로 구획되면서 접히게 되면서 제6절곡선(19)이 바깥에서 안쪽을 향해 절곡되고 또한 제4절곡선(17,18),(17',18')과 제5절곡선(16),(16')가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절곡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도 4b에서는 상기한 제3절곡선(14,15),(14'15')과 상기한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2절곡선(12,12')의 일부가 절곡되는 상태를 그 일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4c에서는 제6절곡선(19),제4절곡선(17,18),(17',18') 및 제5절곡선(16)(16')이 절곡되는 상태를 그 일부만을 발췌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상, 하부를 밀어 주는 방법에 의하여 압축을 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1절곡선(11,11'), 제3절곡선(14,15),(14',15'), 제4절곡선(17,18),(17',18'), 제5절곡선(16),(16') 및 제6절곡선(19)이 완전히 절곡되어 이를 정면에서 보면 첨부한 도면 도 4d의 상태와 같이 접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5절곡선(16),(16')에 의해 절곡된 부분(첨부한 도면 도 4 d의 양 끝단부)을 안쪽으로 밀어주면 제5절곡선(16),(16')가 펴지면서 제1절곡선(11,11')에서 상기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외한 제1절곡부(11,11')의 일부가 서서히 절곡하게 되고, 또한 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제5절곡부(17,18),(17',18')가 강제로 펴지면서 제6절곡부(19)가 펴지게 됨과 제2절곡부(12,12')가 절곡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용기(101)형태를 구성하게 된다.
이를 첨부한 도면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기를 살펴보면, 상기한 제1절곡선(11,11')과 제2절곡선(12,12')가 교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중앙에 위치하는 제3구획부(97)가 용기(101)에서 밑면 즉, 바닥을 형성하는 것임을 알 수 있고, 제2절곡선(12,12')이 절곡되는 폭 길이에 의해 용기(101)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주파 접착 방법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절단 시트지(10)의 상, 하 끝단(90,90')을 절단시트지(10)의 본체상에 접착을 행하여 밀봉한다.
이러한 밀봉을 완전히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시 가압하여 납짝하게 부피를 줄이는 상태로 형성(첨부한 도면 도 4d 참조)한다.
이렇게 부피를 완전히 줄인 상태에서 첨부한 도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겹겹히 적층하여 소형 상자(99)를 단위로 포장하여 보관하면 되고, 또한 이러한 보관 상태에서 사용시마다 하나씩 배출하여 사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때 사용시 배출한 본 고안의 용기(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완전히 납짝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제5절곡선(16),(16')에 의해 절곡된 부분(첨부한 도면 도 4d의 양 끝단부)을 안쪽으로 밀어주면 제5절곡선(16),(16')가 펴지면서 제1절곡선(11,11')에서 상기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외한 제1절곡부(11,11')의 일부가 서서히 절곡하게 되고, 또한 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제5절곡부(17,18),(17',18')가 강제로 펴지면서 제6절곡부(19)가 펴지게 됨과 제2절곡부(12,12')가 절곡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용기(101)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101)를 구성하는 내부 공간에 생수 또는 음식물을 담아 필요의 용도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상부가 개구된 정육체형의 용기(101)를 제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제1,2,3,4,5,6절곡선을 절단된 시트지(10)에 어떠한 폭을 형태로 형성하는 가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가진 용기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지(10)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용 재질은 시트지(10)는 물론이고, 용도에 따라서는 단순한종이, 플라스틱류인 합성수지 시트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재질이 상이하다고 하여 본 고안의 취지를 벗어나는 것으로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이진 형태의 용기는 본 고안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는 것이므로 결국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부언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보관을 행할 수 있으면서도 양 끝단을 간단하게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용기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용기는 음식등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용기를 형성하는 절곡부가 서로 어우려져 사각형의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탁자나 식탁등에 놓은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용기는 소형 및 대형으로의 제작이 얼마든지 가능할 뿐만아니라 여러 다 방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분명하다.

Claims (2)

  1. 절단한 시트지 또는 합성수지 시트등의 원 재료를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제조한 일회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재단된 원 재료상에;
    상, 하 양 끝단에서 안쪽으로 선정한 임의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1절곡선(11,11')이 안쪽에 형성하고,
    좌, 우 양끝단에서 안쪽으로 선정한 임의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서로 평행하는 제2절곡선(12,12')이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제1절곡선(11,11')과 제2절곡선(12,12')이 교차하는 것에 의하여 교차점(51),(52),(51'),(52'), 제1구획부(50,50') 및 제2구획부(60,60')를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교차점(51),(52), (51'),(52')에서 상기 각각의 제1구획부(50),(50')의 끝단 중앙에서 안쪽으로 최소의 거리를 가진 지점(13),(13')까지 바깥에서 사선방향으로 제3절곡선(14),(15),(14'),(15')을 각각 바깥에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교차점(51),(52), (51'),(52')에서 상기 각각의 제2구획부(60,60')의 중앙에 해당하는 중앙점(61),(61')까지 각각의 제4절곡선(17,18),(17',18')를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중앙점(61),(61')에서 상기한 각각의 제2구획부(60,60')의 좌,우 끝단 중앙까지 제5절곡선(16),(16')를 각각 안쪽에 형성하고,
    상기한 각각의 중앙점(61),(61')사이에 제6절곡선(19)을 바깥쪽에 형성하여;
    제1절곡선(11,11')를 안쪽으로 절곡하고, 제3절곡선(14,15),(14'15')을 바깥에서 안쪽으로 절곡하고, 상기한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2절곡선(12,12')의 일부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한 제1구획부(50,50')가 각각 3개의 삼각형으로 구획되면서 접혀지면서 제6절곡선(19)이 바깥에서 안쪽을 향해 절곡하고,
    상기 제4절곡선(17,18),(17',18')과 제5절곡선(16),(16')을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해 절곡하게 하면서 상기 제1절곡선(11,11'), 제3절곡선(14,15),(14',15'), 제4절곡선(17,18),(17',18'), 제5절곡선(16),(16') 및 제6절곡선(19)이 완전히 절곡시킨 다음;
    제5절곡선(16),(16')에 의해 절곡된 부분을 안쪽으로 밀어 제5절곡선(16),(16')이 펴지면서 제1절곡선(11,11')에서 상기 제1구획부(50,50')를 구성하는 부분을 제외한 제1절곡부(11,11')의 일부가 서서히 절곡하게 되고, 기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제5절곡부(17,18),(17',18')가 강제로 펴지면서 제6절곡부(19)가 펴지게 됨과 제2절곡부(12,12')가 절곡되면서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용기(101)를 구성하여 상, 하 끝단(90,90')을 용기(101)상에 접착하여 밀봉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선(11,11')과 제2절곡선(12,12')가 교차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중앙에 위치하는 제3구획부(97)가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고, 제2절곡선(12,12')이절곡되는 폭 길이에 의해 용기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용기.
KR2020010013586U 2001-05-10 2001-05-10 일회용 용기 KR200240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86U KR200240049Y1 (ko) 2001-05-10 2001-05-10 일회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86U KR200240049Y1 (ko) 2001-05-10 2001-05-10 일회용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316A Division KR100396008B1 (ko) 2001-05-09 2001-05-09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049Y1 true KR200240049Y1 (ko) 2001-10-15

Family

ID=731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586U KR200240049Y1 (ko) 2001-05-10 2001-05-10 일회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008B2 (ja) 横方向の接続特性を向上させたモジュール式の連結容器
US6360944B1 (en) Food container with a foldable condiment holder
US5460324A (en) Open container or drinking cup, compact prefolded
US4299324A (en) Folding beverage can container
CZ298274B6 (cs) Plastová skládací láhev s harmonikově uspořádanými žebry
KR200390243Y1 (ko) 용적축형식 변형용기
US4940189A (en) Container
JPH02139336A (ja) カバー付物品容器
KR100396008B1 (ko) 일회용 용기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일회용 용기
KR200240049Y1 (ko) 일회용 용기
KR102040508B1 (ko) 이중구조 뚜껑 용기
US6213335B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internal divider
JP2001031152A (ja) 断熱容器
WO2002047988A1 (en) Foldable pet bottle
RU2372262C2 (ru) Контейнер с полым дном
CN100482546C (zh) 袋状吹塑成型容器
KR20080000998A (ko) 일회용 접는 종이컵
KR19980059445U (ko) 절첩되는 일회용 종이컵
JP3299449B2 (ja) 食品収納用簡易容器
KR100354713B1 (ko) 일회용 접는컵
KR20190102659A (ko) 자립형 파우치
JPH06156480A (ja) 分類収納容器
CN211417886U (zh) 一种塑料容器
KR200292611Y1 (ko)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음료수 병
KR200165420Y1 (ko) 일회용 접는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