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889Y1 -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89Y1
KR200239889Y1 KR2020010010702U KR20010010702U KR200239889Y1 KR 200239889 Y1 KR200239889 Y1 KR 200239889Y1 KR 2020010010702 U KR2020010010702 U KR 2020010010702U KR 20010010702 U KR20010010702 U KR 20010010702U KR 200239889 Y1 KR200239889 Y1 KR 200239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ame
support
upper frame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성
Original Assignee
신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성 filed Critical 신광성
Priority to KR2020010010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89Y1/ko

Links

Landscapes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가 연결된 상부프레임(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된 길이조절구(3)와, 손잡이(10)와, 상부지지대(8)와, 상기 상부지지대 (9)의 후방에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9,9')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측부연결대(7,7')와, 상기 측부연결대(7,7')사이에 형성된 상부연결대(5,5')와,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구(6)로 연결되어 두개를 한 조로 하여 'X'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길이조절구 (3)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부에 형성된 길이조절대(3')와, 상기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12)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X'자 형상의 결합부에는 전후방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X자고정구(11)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상부프레임(1,1')에 끼워 고정시키는 등판(21)과,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상부에 걸처 고정시키는 바닥판(25)으로 구성되어 결합된 안전시트(20)로 구성된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Baby carriage combined safety seat}
본 고안은 자동차 의자에 설치하여 자동차 주행시 유아들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된 자동차 안전의자에 유모차의 기능을 부가시킨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 유아가 함께 탑승시에는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장구가 필요하다. 이는 자동차 시트 또는 부모의 품안에 안겨있게 되는 유아가 자동차 주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급작스런 출발이나 급제동으로 인해 중심을 잃고 앞쪽으로 쏠리거나 시트 밖으로 튀어나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보조의자는 유아의 탑승시에는 안전장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던 반면 유아가 탑승치 않을 때에는 상기한 유아보조의자가 장애물로 돌변하여 그 좌석에는 다른 사람이 앉을 수 없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유아보조의자의 부피가 너무 크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데서 기인된 것이며, 일 예로 유아보조의자는 등받이와 바닥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의 경우 부피가 너무 커 이동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고,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등받이와 바닥판이 절첩되게 형성하여 부피를 줄이도록 된 개량형의 경우에도 각각의 등받이와 바닥판으로 입설되는 측면보호대로 인해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유아보조의자는 가격이 고가인데 반해 사용범위가 자동차에만 국한되고 있어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차량에서 하차 시에는 유아를 직접 안고 다니거나 별도의 유모차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러움과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안전의자와 유모차가 별개의 독립물품으로 되어 있어 필요시 각기 구입하여야 하는 비경제적 폐단이 있었음은 물론, 야외 등지로의 외출시 안전의자와 유모차를 각기 휴대해야함에 따르는 번거로움 및 자동차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1-2969호는 바닥판과 등판의 측면 보호대가 축핀으로 고정되어 상호 절첩될 수 있도록 되고, 각각의 측면 보호대에는 이를 고정 및 해지하는 고정부재가 부설되고, 전면 보호대에는 바닥판의 양쪽 날개가 유동됨이 없도록 지지 고정하는 지지부재와, 유아보조의자의 바닥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좌대를 포함하는 다목적 유아보조의자에 관한 것이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3-6589호는 좌석부만 고정시키고, 등받이 받침대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하고, 받침대 상측에 삽설 고정시킨 걸림밀대의 길이와 방향이 변환되게 하고 바퀴장착부가 접철되게 하여 필요시 자동차 유아용 안전의자 등산용 지게로 변형,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의자 겸용 유모차에 관한 것이며,
국내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94-528호는 안전시이트의 측판과 좌판저부에 바퀴수납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등판 내측단부와 좌판 내측단부에는 축보스를 돌출 형성하여 샤프트를 축설하고, 상기 샤프트 양단에는 하부에 바퀴가 축설되며, 상부에 스톱퍼가 고착 설치된 로드를 절첩가능 상태로 결합, 설치하는 한편, 측판 외측에는 브라켓를 통해 상하 회동 가능한 손잡이를 설치하고, 측판의 선단중앙에는 결합구를 돌출, 형성하여 끼움편을 통한 햇빛가리개의 분해결합이 가능토록 하며 좌판 및 등판 상에는 훅크를 통한 등받이와 다리받침구의 분해결합이 가능토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겸하는 유아용 자동차 안전시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들은 유모차의 기능을 부가한 차량용 유아 안전의자의 목적은 동일하나, 구조 및 조작방법이 상이하고, 부피가 크며, 그에 따라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 안전의자와 유모차를 기능을 결합시킨 것으로서, 안전의자의 측면에서 하부내측으로 하부프레임과 바퀴가 접철시켜 삽입 가능토록 한 것이며, 동시에 등판 상부에는 손잡이는 조절구를 통하여 높낮이 조절을 하여 필요시 유모차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기능을 결합시킨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프레임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몸체부 상세도
도4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사용시 측면상세도
도5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
결합부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
결합부의 또 다른 예
도7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안전의자 길이조절구의 다양한 예
<도면의 부호>
상부프레임(1,1'), 하부프레임(2,2'), 길이조절구(3), 길이조절대(3'),
하부지지대(4,4'), 상부지지대(5,5'), 고정구(6), 측부연결대(7,7'),
상부지지대(8), 각도조절대(9,9'), 손잡이(10), X자고정구(11), 바퀴(12),
안전시트(20), 등판(21), 좌측어깨판(22), 우측어깨판(22'),
상부프레임삽입통공(22a,22a'), 안전벨트고정홈(23), 안전벨트(24),
바닥판(25), 좌측측면판(26), 우측측면판(26'), 안전벨트고정구(27),
발판(28), 그물망(29), 햇빛가리개(30), 스프링(31), 바퀴지지대(32,32'),
바퀴지지대연결부(33,33'), 바퀴결합부(34,34'),
바퀴지지대연결부삽입홈(35), 바퀴축삽입통공(36,36'), 바퀴축(37)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가 연결된 상부프레임 (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된 길이조절구(3)와, 상기 좌, 우측 상부프레임(1,1')과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간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8)와, 상기 상부지지대(8)의 후방에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9,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측부연결대(7,7')와, 상기 측부연결대(7,7')사이에 형성된 상부연결대(5,5')와,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구(6)로 연결되어 두개를 한 조로 하여 'X'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1,1')과 동일한 길이조절구(3)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조절대(3')와, 상기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12)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X'자 형상의 결합부에는 전후방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X자고정구(11)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4')와, 상기 상부프레임(1,1')에 끼워 고정시키는 등판(21)과,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상부에 걸처 고정시키는 바닥판(25)으로 구성되어 결합된 안전시트(20)로 구성된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손잡이(10)와 하부프레임(2,2')은 파이프형상의 프레임 내에 다른 프레임이 삽입되면서 길이를 줄이거나 반대로 길이를 늘일 수 있도록 하여 길이조절구(3)로 길이를 조정하며,
시트는 ABS재질로 금형사출하며(프레임을 등판, 좌우측어깨판 및 바닥측면판 뒤쪽에 넣을 수 있게 하고 등판, 바닥판을 분리 조립할 수 있게 함), 시트는 탈, 부착이 가능하며, 세탁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고 안전벨트는 안전 규정에 맞게 제조한 것을 이용하며, 밑받침의 전방 1/3은 발판으로 사용하고, 후방 2/3는 망사그믈을 내부에 장착하여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여유 있게 제작하여 밑받침 또는 망사그물을 이용하여 간단한 유모차 사물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프레임 상세도, 도3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몸체부 상세도, 도4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사용시 측면상세도, 도5는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결합부 상세도, 도6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결합부의 또 다른 예, 도7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안전의자 길이조절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였으며, 상부프레임(1,1'), 하부프레임(2,2'), 길이조절구(3), 길이조절대 (3'), 하부지지대(4,4'), 상부지지대(5,5'), 고정구(6), 측부연결대(7,7'), 상부지지대(8), 각도조절대(9,9'), 손잡이(10), X자고정구(11), 바퀴(12), 안전시트(20), 등판(21), 좌측어깨판(22), 우측어깨판(22'), 상부프레임삽입통공(22a,22a'), 안전벨트고정홈(23), 안전벨트(24), 바닥판(25), 좌측측면판(26), 우측측면판(26'), 안전벨트고정구(27), 발판(28), 그물망(29), 햇빛가리개(30), 스프링(31), 바퀴지지대(32,32'), 바퀴지지대연결부(33,33'), 바퀴결합부(34,34'), 바퀴지지대연결부삽입홈(35), 바퀴축삽입통공(36,36'), 바퀴축(37)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연결된 상부프레임 (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된 길이조절구(3)와, 상기 좌, 우측 상부프레임(1,1')과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간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 (8)와, 상기 상부지지대(8)의 후방에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9,9')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측부연결대(7,7')와, 상기 측부연결대(7,7') 사이에 형성된 상부연결대(5,5')와,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구(6)로 연결되어 두개를 한조로 하여 'X'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1,1')과 동일한 길이조절구(3)와, 상기 하부프레임 (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조절대 (3')과, 상기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12)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X'자 형상의 결합부에는 전후방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X자고정구(11)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4')와, 상기 상부프레임(1,1')에 끼워 고정시키는 등판(21)과,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상부에 걸처 고정시키는 바닥판(25)으로 구성되어 결합된 안전시트(20)로 구성된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임을 알 수 있으며,
도3은 본 고안을 차량의 유아 안전의자로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안전시트(20)는 등판(21)과, 상기 등판(21)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 바닥판(25)과, 상기 바닥판(25)의 하부에 형성된 전방의 발판(28)과, 상기 발판(28)의 후방에 형성된 그물망(2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21)은 상부프레임삽입통공(22a,22a')이 형성된 좌, 우측어깨판 (22,22')과, 상기 등판(21)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전밸트고정홈(23)과, 상기 안전밸트고정홈(23)에 유아의 체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3방향으로 형성된 안전밸트(24)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에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열결할 수 있는 통상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25)은 좌, 우측면판(26,26')과, 상기 바닥판(25)의 전면 상부중앙에 부착된 안전밸트고정구(27)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유아 안전의자로 접었을 때의 측단면 구성도로서, 'X'자로 결합시킨 하부프레임(2,2')을 접철하여 안전시트(20)의 좌, 우측면판(26,26')내로 삽입시키고, 바퀴(12)를 접철하여 바닥판(25) 하부 내측으로 내삽시킨 구조임을 알 수 있고,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결합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 하부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한 바퀴지지대(32,32')와, 바퀴지지대(32,32')의 내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측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31)과, 상기 바퀴지지대(32,32')의 하부에는 바퀴결합부(34,34')를 연결시키는 바퀴지지대연결부(33,33')와, 상기 바퀴지지대연결부(33,33')에 결합되는 바퀴를 고정시키는 바퀴결합부(34,34')와,
상기 바퀴결합부(34,3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지지대연결부(33,33')에 결합되는 바퀴지지대연결부삽입홈(35)과, 상기 바퀴결합부(34,34')의 하부 일측 중앙에 형성된 바퀴축삽입통공(36,36')과, 바퀴(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축삽입통공(36,36')에 삽입되는 바퀴축(37)으로 구성된 바퀴 접철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바퀴를 접철시에는 바퀴지지대(32,32')를 하부로 잡아당기면 스프링의 작용으로 바퀴지지대(32,32')가 하부프레임(2,2`)의 외측으로 탈착되어 90℃ 회전시켜 접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 도6은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하부프레임에 장착된 바퀴결합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길이조절구(3)를 도시한 것으로서, 통상의 유모차나, 건조대의 길이조절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길이조절구(3)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30) 및 장남감을 올려놓을 수 있는 놀이판 등은 통상의 유모차에 착탈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길이조절구(3)는 상기 좌, 우측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좌, 우측 하부프레임(2,2')에 적용되는 것이 모두 동일한 것이다.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의 사용방법은 먼저 일반적으로 유모차로 사용하다가, 차량의 유아 안전의자로 사용시 길이조절구(3)로 손잡이(10)와, 하부프레임 (2,2')의 길이를 축소시키고, X'자로 결합시킨 하부프레임(2,2')을 접철하여 안전시트(20)의 좌, 우측면판(26,26')내로 삽입시키고, 바퀴(12)를 접철하여 바닥판 (25) 하부 내측으로 내삽시켜 고정시킨 후에, 발판(28)과 그물망(29)을 닫고 차량의 안전벨트를 안전의자의 등판후면 벨트홈(미도시) 내로 가로로 끼워 차량안전벨트홈에 고정시킨 후, 유아를 상기 유아안전의자에 앉힌 다음, 유아안전의자의 안전벨트(24)로 유아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는 유모차와 차량의 안전의자를 이중으로 구입해야 하는 이중부담이 없고, 차량에 탈, 부착이 용이하며, 조립이 간단하고, 부피가 작아 차량에 큰 설치공간이 필요 없으며, 기존 차량의 안전의자도 쉽게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에 있어서, 손잡이가 연결된 상부프레임(1,1')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상단에 형성된 길이조절구(3)와, 상기 좌, 우측 상부프레임(1,1')과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상부프레임 (1,1')의 중간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대(8)와, 상기 상부지지대(8)의 후방에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구(9,9')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측부연결대 (7,7')와, 상기 측부연결대(7,7')사이에 형성된 상부연결대(5,5')와,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구(6)로 연결되어 두개를 한조로 하여 'X'자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하부프레임(2,2`)과,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상기 상부프레임(1,1')과 동일한 길이조절구(3)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조절구(3)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길이조절대(3')와, 상기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 형성된 바퀴(12)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X'자 형상의 결합부에는 전후방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X자고정구(11)와, 상기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의 하부에는 간격을 유지하며, 상부의 힘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4,4')와, 상기 상부프레임(1,1')에 끼워 고정시키는 등판(21)과, 상기 측부연결대(7,7')의 상부에 걸처 고정시키는 바닥판(25)으로 구성되어 결합된 안전시트(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20)는 등판(21)과, 상기 등판(21)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 바닥판(25)과, 상기 바닥판(25)의 하부에 형성된 전방의 발판(28)과, 상기 발판(28)의 후방에 형성된 그물망(29)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21)은 상부프레임삽입통공(22a,22a')이 형성된 좌, 우측어깨판 (22,22')과, 상기 등판(21)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된 다수의 안전밸트고정홈(23)과, 상기 안전밸트고정홈(23)에 유아의 체격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3방향으로 형성된 안전밸트(2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25)은 좌, 우측면판(26,26')과, 상기 바닥판(25)의 전면 상부중앙에 부착된 안전밸트고정구(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12)는 하부프레임(2,2`)의 길이조절대(3') 하부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한 바퀴지지대(32)와, 바퀴지지대(32)의 내측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측은 상기 길이조절대(3`)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스프링(31)과, 상기 바퀴지지대(32)의 하부에는 바퀴결합부(34)를 연결시키는 바퀴지지대연결부(33)와, 상기 바퀴지지대연결부(33)에 결합되고 바퀴를 고정시키는 바퀴결합부(34)와, 상기 바퀴결합부(3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지지대연결부 (33)에 결합되는 바퀴지지대연결부삽입홈(35)과, 상기 바퀴결합부(34)의 하부 일측중앙에 형성된 바퀴축삽입통공(36)과, 바퀴(1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축삽입통공(36)에 삽입되는 바퀴축(3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KR2020010010702U 2001-04-16 2001-04-16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KR200239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2U KR200239889Y1 (ko) 2001-04-16 2001-04-16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2U KR200239889Y1 (ko) 2001-04-16 2001-04-16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889Y1 true KR200239889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02U KR200239889Y1 (ko) 2001-04-16 2001-04-16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4294B2 (ja) 乳幼児用ベッドの支持構造
US6296259B1 (en) Child safety seat stroller
US8282119B1 (en) Two-level travel stroller for children
US20070235966A1 (en) Stroller with Removable Arm Bar
US5050504A (en) Baby walker with safety track feature
CA2149655A1 (en) Push-chair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JPH0310966U (ko)
US6669225B2 (en) Infant retention member for a stroller
US20030209883A1 (en) Sports utility stroller
GB2429401A (en) Child car seat with base and wheeled support
KR102357813B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NZ542980A (en) A wheeled vehicle foldable to a configuration to be carried
KR200239889Y1 (ko) 유모차겸용 유아 안전의자
KR20070039018A (ko) 다기능을 갖는 유모차
TW200536499A (en) Seat or chair for infant
US20080048482A1 (en) Infant seat assembly with retention member
KR100819146B1 (ko) 높이조절 의자
US4877289A (en) Cart car chair
CN112498460A (zh) 一种靠背可调的骑行玩具车
CN220147191U (zh) 提篮拆换系统
KR100390876B1 (ko) 유아용 카시트를 이용한 유모차
TWI409187B (zh) The combination of baby carriages and baby carriages and car seats
KR200483176Y1 (ko) 유아용 웨건
GB2446389A (en) Reconfigurable push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