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748Y1 - 연소기 - Google Patents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748Y1
KR200239748Y1 KR2020010012152U KR20010012152U KR200239748Y1 KR 200239748 Y1 KR200239748 Y1 KR 200239748Y1 KR 2020010012152 U KR2020010012152 U KR 2020010012152U KR 20010012152 U KR20010012152 U KR 20010012152U KR 200239748 Y1 KR200239748 Y1 KR 200239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wall
inlet
cas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원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010012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748Y1/ko

Links

Landscapes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소각장치등에 장착되는 연소기(B)를 구성함에 있어서;
2차공기주입관(114)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복수개의 토출공(122b)이 형성된 배출관(12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배출부(150)가 형성되고, 1차공기주입관(112)이 형성된 케이스(110)와 복수개의 토출공(122a)이 형성된 유입관(13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입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50)와 유입부(140)가 용접등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유입부의 토출공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가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되어 유입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배출부의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온고압 가스의 배출량이 조절되고, 배출부의 토출공이 사선으로 관통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고온고압 가스가 각기 토출공의 연장선상에 가상으로 형성된 가상꼭지점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고온고압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소기{Burner}
본 고안은 소각장치등에 장착되어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2차공기주입관이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의 양 끝단이 격벽에 의해 막혀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동일한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배출관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배출부가 형성되고,
1차공기주입관이 형성된 외벽과 상기 외벽과 내벽의 양 끝단이 격벽에 의해 막혀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유입관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와 유입부가 용접등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연소기는 가스발생로에서 발생된 가스를 별도의 불꽃 발생수단으로 부터 발생된 불꽃등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연소시키는 것이었다
이와같이 불꽃등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연소시키는 종래의 연소기는 상기 불꽃의 온도를 올리는데 한계가 있고, 이에따라 가스발생로에서 발생된 가스가 연소기에서 완전연소되지 않아 다이옥신등의 오염물질이 대기중으로 상당량 배출되어 환경을 파괴하는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가스발생로에서 발생된 가스를 완전연소하는 것에 의해 열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고온고압의 가스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연소온도 조절이 용이하며,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성분들이 완전연소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연소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배출부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유입부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연소기가 적용된 소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연소기, 100:1차연소로, 200:가스발생로, 300:2차연소로, 400:사이클론, 110:케이스, 112:1차공기주입관, 113:외벽, 114:2차공기주입관, 115:내벽, 116a,116b:공간부, 118:격벽, 120:배출관, 122a,122b:토출공, 130:유입관, 140:유입부, 150:배출부, 152:연소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배출부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유입부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연소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연소기가 적용된 소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시예시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고온집중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로(200)와, 상기 가스발생로(200)와 연결관(10a)에 의해 연결되어 고온집중의 가스를 고온집중의 상태에서 연소되도록 하는 1차연소로(200)와, 상기 1차연소로(200)로부터 주입된 열이 연소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2차연소로(300)와, 상기 2차연소로(300)와 연결관(10c)에 의해 연결되고 먼지 및 열을 회수하는 사이클론(400)으로 구성되는 소각장치등 고온고압의 가스를 연소시키는 장치에 장착되는 연소기(B)를 구성함에 있어서;
2차공기주입관(114)이 형성된 외벽(113)과 상기 외벽(113)과 내벽(115)의 양 끝단이 격벽(118)에 의해 막혀 공간부(116a,116b)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115)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122b)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배출관(12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배출부(150)가 형성되고,
1차공기주입관(112)이 형성된 외벽(113)과 상기 외벽(113)과 내벽(115)의 양끝단이 격벽(118)에 의해 막혀 공간부(116a)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115)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122a)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유입관(13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입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50)와 유입부(140)가 용접등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부(150)에 형성된 토출공(122b)은 내벽(115)으로부터 배출관(120)에 관통되어 사선으로 형성되고, 유입부(140)에 형성된 토출공(122a)은 내벽(115)으로부터 유입관(130)에 관통되어 수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이다.
미 설명부호 10c는 연결관을 나타내고 160은 1,2차공기주입관에 공기를 주입하는 송풍수단을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을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발생로(200)에서 발생된 고온고압의 가스는 연결관(10a)을 통해 상기 유입부(140)를 지나 유입관(13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130) 입구측에 유입관(13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토출공(122a)을 통해 1차공기주입관(112)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공간부(116a)를 지나 토출되게 된다.
상기 토출공(122a)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커팅에어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따라 고온고압으로서 빠른 속도로 전진하는 가스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과 동시에 가스에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산소가 공급된 고온고압의 가스는 상기 유입관(130)을 지나 배출관(120)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러한 고온고압의 가스는 배출관(120)의 끝단측에 배출관(120)을 사선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공(122b)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산소가 공급되어 연소부(152)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토출공(122b)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2차공기주입관(114)으로 부터 공급된 공기가 공간부(116b)를 지나 토출공(122b)을 통해 토출되는 것으로서, 고온고압의 가스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토출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연소부(152)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공(122b)이 사선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토출공(122b)들의 연장선이 만나는 연소부(152)내 가상의 꼭지점에 고온고압의 가스가 집중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연소부(152)에서 집중된 고온고압의 가스가 소정의 점화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되면 고열의 열공기가 발생되고, 이러한 열공기는 연결관(10b)을 통해 2차연소로(300)로 공급되어 난방수등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열공기는 고온고압의 가스가 연소부(152)에서 완전연소에 가까운 상태로 연소되어 형성된 것으로, 2차연소로(300)에서 연결관(10c)을 지나 사이클론(400)에 이르러 먼지등 이물질이 집진되면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공기중에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소기에 의하면, 유입부에 복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유입되는 고온고압 가스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것, 상기에 따라 유입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것, 배출부의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온고압 가스의 배출량이 조절되는것, 배출부의 토출공이 사선으로 관통되어 형성됨으로 인해 고온고압 가스가 각기 토출공의 연장선상에 가상으로 형성된 가상꼭지점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고온고압의 가스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수 있도록 하는 것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연소기(B)를 구성함에 있어서;
    2차공기주입관(114)이 형성된 외벽(113)과 상기 외벽(113)과 내벽(115)의 양 끝단이 격벽(118)에 의해 막혀 공간부(116a,116b)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115)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122b)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배출관(12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배출부(150)가 형성되고,
    1차공기주입관(112)이 형성된 외벽(113)과 상기 외벽(113)과 내벽(115)의 양 끝단이 격벽(118)에 의해 막혀 공간부(116a)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벽(115)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서 복수개의 토출공(122a)이 형성되는 소정두께의 유입관(130)이 상기 케이스(110) 내측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유입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150)와 유입부(140)가 용접등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50)에 형성된 토출공(122b)은 내벽(115)으로부터 배출관(120)에 관통되어 사선으로 형성되고, 유입부(140)에 형성된 토출공(122a)은 내벽(115)으로부터 유입관(130)에 관통되어 수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기.
KR2020010012152U 2001-04-26 2001-04-26 연소기 KR200239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52U KR200239748Y1 (ko) 2001-04-26 2001-04-26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52U KR200239748Y1 (ko) 2001-04-26 2001-04-26 연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762A Division KR100655161B1 (ko) 2001-04-26 2001-04-26 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748Y1 true KR200239748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152U KR200239748Y1 (ko) 2001-04-26 2001-04-26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7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748Y1 (ko) 연소기
KR100655161B1 (ko) 연소기
KR100669220B1 (ko) 가스 연소 장치
KR200276033Y1 (ko)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KR101176914B1 (ko) 완전연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KR101362671B1 (ko) 연소부피를 줄이는 매트릭스수단을 갖춘 증기발생 보일러
JPS61223417A (ja) 加熱用燃焼装置
KR20180138243A (ko) 악조건하에서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한 공기와 가스 사전 혼합형 버너
JPH10160147A (ja) 加圧燃焼装置
KR100280227B1 (ko) 버너
SU953372A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 топлива (варианты)
KR20050106247A (ko) 중질유용 버너
KR900003227B1 (ko) 덕트(Duct) 버어너 가열장치
KR200266784Y1 (ko)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100451529B1 (ko) 점화 및 연소 장치
KR100407546B1 (ko) 가스직화식 난방기기용 연소기
KR100405241B1 (ko)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244119Y1 (ko) 폐기물소각장치
KR100405242B1 (ko) 가스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0226162Y1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한 고온 소각로
PT866269E (pt) Instalacao de caldeira para geracao de calor
KR19980011648U (ko) 싸이클론 방식의 소각로에 있어서 오일버너의 장착구조
JP2021081095A (ja) ヒータレスガス化バーナーの燃焼方法
KR920000278Y1 (ko) 건류가스용 버어너
JP3817513B2 (ja) 焼却炉及び焼却炉用助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8

Year of fee payment: 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