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425Y1 - 낚시대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대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25Y1
KR200239425Y1 KR2019980014729U KR19980014729U KR200239425Y1 KR 200239425 Y1 KR200239425 Y1 KR 200239425Y1 KR 2019980014729 U KR2019980014729 U KR 2019980014729U KR 19980014729 U KR19980014729 U KR 19980014729U KR 200239425 Y1 KR200239425 Y1 KR 2002394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iece
piece
ground
rot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147U (ko
Inventor
박경태
Original Assignee
박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태 filed Critical 박경태
Priority to KR2019980014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25Y1/ko

Links

Landscapes

  • Fishing Rod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형과 지반에 관계없이 앞받침대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앞받침대의 각도 조정이 용이하게 되면서 미세한 각도 조정이 가능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지지본체에 지반에 박을 수 있는 팩과 각도조정용의 회전편과 고정편이 장설되어 있고 회전편과 고정편에는 각각 내치차와 외치차를 형설하여 두치차를 치합시켜 편심륜이 장설된 축으로써 내치차를 회전하여 회전편을 각도조정하게 된다.
외치차의 회전은 공지의 유성치차 운동을 하여 별도의 회전편의 고정장치가 없어도 각도유지가 되며 축의 미세회전으로 회전편의 미세회전이 되는 장점이 있다.
지반에 설치할때에도 팩을 이용하거나 지지본체 배면을 이용하여 통상의 설치와는 달리 앞받침대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편리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낚시대 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치합(齒合) 상태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본체 2 : 팩
4 : 요형(凹形)고정편 6 : 외치차(外齒車)
7 : 회전편 9 : 내치차(內齒車)
11 : 축 12 : 핸들
18 : 링(Ring)
본 고안은 지형과 지반 상황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대낚시용 앞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낚시대용 받침대는 앞받침대와 뒷받침대로 구분되어 지반에 각각 꽂아 고정시킨 후 각선단의 V형 받침간에 낚시대를 올려늘고 낚시질을 하였던 것으로 양호한 낚시질을 위해서는 앞받침대를 지면에 경사지게 꽂아야 하는점과 경사각도 조정에 불편한점이 많았고, 지면에 경사지게 꽃은 앞받침대를 견고하게 꽂기가 어려워 낚시중 앞으로 쓰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쾌적한 낚시질을 하는데 불편한점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선고안이 있으나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회전편과 고정편 원주방향에 일정한 각도를 분할하여 경사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이는 낚시질할 때 미세한 경사각도 조정이 필요할때는 구조상 불가능하였고, 경사각도 조정후 경사각도 유지에 별도의 고정장치가 있어야 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지지본체 부분만 요지부동하게 삽입하거나 무거운 물체로서 지지시켜 주면서, 피지본체 상부에 장설될 손잡이만 회전하면 미세한 각도 조정이 되고,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이 회전편이 견고하게 각도유지가 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지지본체(1) 하부에 뾰족한 팩(2)이 장설되어 있고 지지본체(1) 상부(3)에는 요형(凹形) 고정편(4)을 형설하고, 그 일단(5)의 내면에 공지의 외치차(外齒車)(6)를 철형(凸形)으로 형설하고 회전편(7)의 한면(8)에 공지의 내치차(內齒車)(9)를 요형(凹形)으로 형설하여, 이 두치차(6)(9)를 치합(齒合)하고 편심륜(偏心輪)(10)과 소경부(小徑部)(19), 대경부(大徑部)(15)가 장설된 축(11)으로써 고정편(4)과 링(Ring)(18) 회전편(7)을 관통 결합하고 너트(21)로써 손잡이(12)가 나합 되게된 것이다.
제2도와 제3도는 고정편(4)과 회전편(7)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편심륜(10)은 내치차(9)의 중심구멍(13)에 삽설되고 축(11)의 소경부(19)는 외치차(6)의 중심구멍(14)에 삽설되고, 대경부(15)는 요형고정편(4)의 타단 중심구멍(17)과 링(Ring)(18)의 중심구멍(20)에 삽설되어 있다.
여기서 링(Ring)(18)은 내치차(9)와 외치차(6)의 치차운동시 내치차(9)가 외치차(6)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반이 양호한 지역에서는 지지본체(1) 하부의 뾰족한 팩(2)이 지면에 박히도록 상부(3)를 적당히 타격하여 고정시키고, 지지본체(1) 상부(3)에 장설된 손잡이(12)를 회전하면 축(11)이 회전하져 제2도와 제3도에 도시한것과 같이 편심륜(10)이 회전하여 회전편(7)의 한면(8)에 요형으로 내설된 내치차(9)가 고정편(4) 내부에 철형으로 장설된 외치차(6)의 원주 방향으로 공지의 유성치차(遊星齒車)운동을 하면서 회전편(7)이 회전을 하여 소망하는 각도만큼 손잡이(12)를 회전하면 회전편(7)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편(7) 회전은 축(11)의 회전으로 편심륜(10)이 회전하여 내치차(9)가 외치차(6)주위를 유성치차 운동하므로서 발생하므로 축(11)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편(7)에 힘을 가하더라도 회전편(7)은 움직이지 않고 본래의 각도를 유지하므로 낚시질 할 때 회전편(7)의 각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낚시질을 할 수 가 있는 것이다.
또한 지면이 단단하여 지지본체(1)의 팩(2)을 박을수 없는 경우에는 제4도에 도시한것과 같이 지지본체의 배면(16)을 지면에 대고 그위에 무거운 돌이나 기타 물체를 올려놓아 고정시킨 후 손잡이(12)를 회전하여 회전편(7)의 경사각도를 조정할 수가 있어 종래와 같이 경사지게 꽂는 불편함이 없는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시한바와 같이 지지본체(1) 하부에 통상의 팩(2)이 장설되어 있고 지지 본체(1) 상부(3)에는 요형(凹形) 고정편(4)를 형설하고 그 일단(5)의 내면에 공지의 외치차(外齒車)(6)을 철형(凸形)으로 형설하고 회전편(7)의 한면(8)에 공지의 내치차(內齒車)(9)를 요형(凹形)으로 형설하여, 두치차(6)(9)를 치합(齒合)하고, 편심륜(偏心輪)(10)과 소경부(小徑部)(19), 대경부(大徑部)(15)가 장설된 축(11)으로써 고정편(4)과 링(Ring)(18), 회전편(17)을 관통, 결합하고 너트(21)로써 손잡이(12)가 나합되게된 낚시대용 받침대.
KR2019980014729U 1998-08-05 1998-08-05 낚시대받침대 KR2002394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29U KR200239425Y1 (ko) 1998-08-05 1998-08-05 낚시대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729U KR200239425Y1 (ko) 1998-08-05 1998-08-05 낚시대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47U KR19980065147U (ko) 1998-11-25
KR200239425Y1 true KR200239425Y1 (ko) 2001-11-22

Family

ID=69510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729U KR200239425Y1 (ko) 1998-08-05 1998-08-05 낚시대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35B1 (ko) * 2014-11-07 2016-06-30 권관혁 낚시대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47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425Y1 (ko) 낚시대받침대
JPH0531867Y2 (ko)
GB2035534A (en) Adjus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headlamp
US3531927A (en) Rotary raking wheel tooth and mounting
CN108160219A (zh) 一种新型生物医药研磨设备
KR200189418Y1 (ko) 낚시대 받침대
JPS608374B2 (ja) 運動変換装置
FR2828792A1 (fr) Dispositif implante dans une chaussure de golf, permettant de liberer le pied porteur en fin de swing protegeant des traumatismes lies a la phase finale du swing
JPH08108375A (ja) 狭所用ねじ回し
KR100702159B1 (ko) 파라솔 고정구
CN213695080U (zh) 一种绿化工程用树苗扶植装置
CN216345029U (zh) 一种可调节建筑工程测绘仪支架
US2573037A (en) Rolling colter provided with driving lugs
CN220840000U (zh) 一种可调节拧动方向的拧动工具
CN220529040U (zh) 一种发声直柄式锁紧轮座
CN220734110U (zh) 一种钓鱼渔具固定支架
CN211855943U (zh) 一种生态环境监测用土壤取样装置
KR100490231B1 (ko) 지팡이용 손잡이의 각도 조절장치
KR0137498Y1 (ko) 낚시대용 받침대
JPS5912315Y2 (ja) オ−ガドリルヘツドにおけるカッタ−ビツトの取付装置
KR0130072Y1 (ko) 다목적 낚시대 받침구
KR200220115Y1 (ko) 훌라후프
KR0132522Y1 (ko) 낚시용 받침대의 받침통
KR200189378Y1 (ko) 낚시받침대의 각도조절장치
KR880000088Y1 (ko) 전,후 풍향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