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366Y1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366Y1
KR200239366Y1 KR2020010010070U KR20010010070U KR200239366Y1 KR 200239366 Y1 KR200239366 Y1 KR 200239366Y1 KR 2020010010070 U KR2020010010070 U KR 2020010010070U KR 20010010070 U KR20010010070 U KR 20010010070U KR 200239366 Y1 KR200239366 Y1 KR 200239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munication
main body
ion generator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010010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366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통의 내부에 전기집기판을 복층구조로 설치하거나 세로로 설치하여 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담배연기, 쑥연기와 같은 부유물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다량 집진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는 전원스위치(SW)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음이온발생기(20)와 고압트랜스(HVT)를 수용하는 본체(30)와, 상하측에 공기배출구(44)와 공기유입구(42)가 형성되고, 본체(3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통(40)과, 연통(40)의 외측에 걸리어 공기유입구(42)를 가리고, 지면(50)으로부터 이격된 포집용 갓(60)과, 연통(40)의 상부에 씌워지고 배출그릴(72)이 형성된 상부커버(70)와, 연통(40)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전기집진장치(8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air cleaner}
본 고안은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통의 내부에 전기 집기판을 복층구조로 설치하거나 세로로 설치하여 이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담배연기, 쑥연기와 같은 부유물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다량 집진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는 먼지, 담배연기, 꽃가루, 황사와 같은 미세한 부유물과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 아황산가스, 각종 유해가스에 의해 오염되어 있으며, 이들 부유물과 유해가스들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정화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기정화기는 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한 후 필터로 통과시켜서 정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공기정화기에 적용되어 온 건식필터는 대부분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으로서, 매번 필터를 구입하여야 되기 때문에 유지비에 부담을 안게 되었다.
또한, 종래 필터에 의한 공기정화방식은 먼지와 같이 입자 크기가 다소 큰 것은 만족한 정도로 걸러주는데 비해 입자 크기가 미세한 담배연기나 유해가스는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교환한지 오래된 필터를 그대로 방치한 채 사용하는 경우 오히려 필터에 적채된 먼지가 공기로 재 유입되어 공기를 다시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신체의 국부(손이나 발)에 뜸을 뜨면서 발생되는 연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우선 뜸으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실내로 퍼진 다음 실내 공기와 함께 연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실내의 공기가 1차적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뜸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퍼지기 전에 포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실내공기가 1차로 오염된 후 정화하는 악순환을 거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집진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뜸을 뜰 때 발생되는 연기가 실내로 퍼지기 전에 포집하여 정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에는 전원스위치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음이온발생기와 고압트랜스를 수용하는 본체와, 상하측에 공기배출구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통과, 연통의 외측에 걸리어 공기유입구를 가리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포집용 갓과, 연통의 상부에 씌워지고 배출그릴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연통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전기집진장치로 구성하여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하부에 공기배출구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그 내측 벽면에는 슬릿으로부터 이어지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씌워지고, 공기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그릴이 형성된 커버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안팎으로 출입되며, 가이드 리브에 끼워져서 상하 복수 층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방전홀이 형성된 집진판과, 상기 각 집진판 밑에 이격된 상태로 본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통공과 방전핀이 설치된 대전판과,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집진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1통전편과,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의 음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대전판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2통전편으로 구성하여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일 실시예에서 상부커버와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저면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집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집진판과 대전판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에 따른 집진판과 대전판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일 실시예에서 본체와 연통의 접점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전기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음이온발생기 22 : 전원스위치 24 : 고압트랜스
30,400 : 본체 44,402 : 공기배출구 42,404 : 공기유입구
40 : 연통 50 : 지면 60 : 포집용 갓
72,502 : 배출그릴 70 : 상부커버 80 : 전기집진장치
92,202,704 : 방전핀 90,200,700 : 대전판 94,222,602 : 방전홀
96,220,600 : 집진판 100,120 : 분할연통 102,122 : 홈
406 : 슬릿 408 : 가이드 홈 410,412 : 가이드 리브
500 : 커버 702 : 통공 800 : 제 1통전편
820 : 제 2통전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전원스위치(SW)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음이온발생기(20)와 고압트랜스(HVT)를 수용하는 본체(30)와, 상하측에 공기배출구 (44)와 공기유입구(42)가 형성되고, 본체(3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통(40)과, 연통(40)의 외측에 걸리어 공기유입구(42)를 가리고, 지면(50)으로부터 이격된 포집용 갓(60)과, 연통(40)의 상부에 씌워지고 배출그릴(72)이 형성된 상부커버(70)와, 연통(40)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전기집진장치 (80)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연통(40)의 중간에는 상기 포집용 갓(60)이 걸리는 환형걸림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벽으로는 상기 전기집진장치(80)로 이어지는 탄성접점(43a)(43b)이 설치되어 있다.
즉, 첨부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상측에 형성된 격판(31)으로 노출된 두 개의 하부접점(33a)(33b)에 상기 탄성접점(43a)(43b)의 하단부가 접촉하고, 이 탄성접점(43a)(43b)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커버(70)에 설치된 상부접점(71a)(71b)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포집용 갓(60)은 예컨대, 반구형으로 형성하였으며, 그 중앙에는 관통구멍(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61)의 내주연에는 상기 연통(40)에 형성된 환형걸림턱(41)에 걸리는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집진장치(80)는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에 접속되고,상부커버(70)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며, 복수의 방전핀(92)을 갖는 장방형의 대전판(90)과,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상부커버(70)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대전판(90)의 바깥쪽에서 이격되며, 복수의 방전홀(94)을 갖는 장방형의 집진판(96)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대전판(90)의 사이를 띄우기 위한 블록 스페이서(95)가 하단부에 끼워진다.
또, 상기 본체(30)와 연통(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연장연통(도시 않됨)을 구비하여 연통(40)의 높이를 더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5 및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집진장치(80)를 수용하는 연통(40)은 좌우로 분할되고, 양쪽의 분할연통(100)(120)의 내벽에는 홈(102)(122)이 상하로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전기집진장치(80)는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홈(102)에 끼워져 고정되며, 복수의 방전핀(202)을 갖는 원반모양의 대전판(200)과,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대전판(200)의 상측에 위치된 홈(122)에 끼워져 고정되며, 복수의 방전홀(222)을 갖는 원반모양의 집진판(220)으로 구성하였다.
또, 상기 대전판(200)에는 상승되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공(203)이 방전핀(202)의 사이사이에 형성된다.
첨부도면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공기배출구(402)와 공기유입구(404)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슬릿(406)이 형성되며, 그 내측 벽면에는 슬릿(406)으로부터 이어지는 가이드 홈(408)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410)(412)가 형성된 본체(400)와, 본체(400)의 상부에 씌워지고, 공기배출구(402)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그릴(502)이 형성된 커버(500)와, 본체(400)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406)을 통해 안팎으로 출입되며, 가이드 리브(410)(412)에 끼워져서 상하 복수 층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방전홀(602)이 형성된 집진판(600)과, 상기 각 집진판(600) 밑에 이격된 상태로 본체(400)에 설치되고, 복수의 통공(702)과 방전핀(704)이 설치된 대전판(700)과, 상기 본체(4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집진판(600)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1통전편(800)과, 상기 본체(4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대전판(700)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2통전편(820)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본체(400)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406)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잡이용 홈(407)을 형성하여 집진판(600)의 일부가 밖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집진판(600)을 청소할 때 손으로 잡고 인출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체(40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장방형의 공기유입구(404)는 뜸을 뜨고 있는 양손을 동시에 집어 넣고 뜸연기를 흡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안쪽으로는 고압트랜스(HVT)와 이온발생기(20)가 위치된다.
또, 상기 제 1통전편(800)과 제 2통전편(820)은 본체(400)의 내벽에 서로 전연된 상태로 부착되고, 각각 집진판(600)과 대전판(700)에 접촉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SW)를 닫게 되면, 상용 교류전원(약 110VAC-220VAC)으로부터 전원스위치(SW)를 통해 전원트랜스포머(10)로 이어지는 폐회로가 형성되면서 전원트랜스포머(10)의 2차측에서 전압이 출력된다.
이때, 전원트랜스포머(10)의 2차측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정류부(12)를 거치면서 다시 직류로 변환되어 구동부(14)와 고압트랜스포머(HVT)를 거쳐서 음이온발생기(2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구동부(14)에 접속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는 점등되어 현재 가동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고압트랜스포머(HVT)를 거치면서 전압은 약 2000V∼200V로 승압되며, 이 고압트랜스포머(HVT)의 이차측에 접속되어 있는 음이온발생기(20)에서는 배전압 정류작용에 의해 약 -4000V 내지 -6000V의 음전압이 출력되어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를 통해서는 대전판(90)(200)(700)에 음전하를 공급하게 되고, 양극단자를 통해서는 집진판(96)(220)(600)에 양전하를 공급하게 된다.
이후,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대전판(90)(200)(700)상의 방전핀(92)(202)(704)과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집진판(96)(220)(600) 사이에 -4000V 내지 -6000V의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공기 절연이 파괴되면서 공기중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공기중의 부유입자가 음전하로 대전되면서 양전하로 대전되어 있는 집진판(96)(220)(600)에이끌려 흡착된다.
즉,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손에 뜸을 뜨는 과정에서 포집용 갓(60)의 밑으로 손을 집어넣게 되면, 뜸으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공기의 상승기류를 따라 공기유입구(42)를 통해 연통(40)내부로 흘러들게 되고, 연통(40) 내부로 유입된 연기는 대전판(90)의 방전핀(92)을 거치면서 대전되어 집진판(96)에 흡착된다.
이후 전기집진장치(80)를 거쳐서 정화된 공기는 상부커버(70)의 배출그릴(72)을 통해 실내로 재 배출되며, 먼지나 유해가스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결과로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로 분할 가능하게 만든 것으로, 대전판(200)과 집진판(220)이 상하 복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로 분할된 분할연통(100)(120)을 통해 상승되는 연기는 우선 대전판(200)의 통공(203)을 통과 집진판(220)의 방전홀(222)을 통해 흐르면서 방전핀(202)에 의해 대전되고, 집진판(220)의 표면에 차례로 흡착된다.
즉, 공기가 연통(40)을 통해 상승되면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연기, 유해가스 등이 순차적으로 집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배가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체(400)의 전면에 형성된 장방형의 공기유입구(40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대전판(700)의 통공(702)을 통과 집진판(600)의 방전홀(602)을 통해 약간의 저항을 받으면서 상승되면서 동시에 상하 복층구조로 되어 있는 대전판(700)의 방전핀(704)에 의해 대전되면서 집진판(600)의 표면에 흡착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집진되어 커버(5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그릴(502)을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이후 중에 집진판(600)의 표면이 더러워지게 되면, 슬릿(406)의 중앙에 형성된 손잡이용 홈(407)으로 노출된 집진판(600)을 손가락으로 잡은 다음 앞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집진판(600)이 가이드 홈(408)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앞으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인출한 집진판(600)을 걸레나 휴지 등으로 닦은 다음 다시 슬릿(406)을 통해 삽입하게 되면, 처음과 같은 상태로 먼지 흡착력이 복원되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집진판과 대전판이 복층구조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며, 굴뚝과 같은 연통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모터팬과 같은 동력원의 도움 없이도 공기를 흡입하여 자연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연통의 외측에 뜸연기를 포집할 수 있는 포집용 갓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뜸연기가 실내로 퍼지기 전에 미리 포집하여 집진할 수 있으므로, 실내를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고압의 직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이온발생기(20)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전면에는 전원스위치(SW)가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음이온발생기(20)와 고압트랜스(HVT)를 수용하는 본체(30);
    상하측에 공기배출구(44)와 공기유입구(42)가 형성되고, 본체(30)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연통(40);
    연통(40)의 외측에 걸리어 공기유입구(42)를 가리고, 지면(50)으로부터 이격된 포집용 갓(60);
    연통(40)의 상부에 씌워지고 배출그릴(72)이 형성된 상부커버(70);
    연통(40)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상승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전기집진장치(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0)와 연통(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연장연통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80)는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에 접속되고, 상부커버(70)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며, 복수의 방전핀(92)을 갖는 장방형의 대전판(90);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상부커버(70)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대전판(90)의 바깥쪽에서 이격되며, 복수의 방전홀(94)을 갖는 장방형의 집진판(9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80)를 수용하는 연통(40)은 좌우로 분할되고, 양쪽의 분할연통(100)(120)의 내벽에는 홈(102)(122)이 상하로 복수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장치(80)는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홈(102)에 끼워져 고정되며, 복수의 방전핀(202)을 갖는 원반모양의 대전판(200);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대전판(200)의 상측에 위치된 홈(122)에 끼워져 고정되며, 복수의 방전홀(222)을 갖는 원반모양의 집진판(2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6. 고압의 직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음이온발생기(20)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있어서,
    상하부에 공기배출구(402)와 공기유입구(404)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슬릿(406)이 형성되며, 그 내측 벽면에는 슬릿(406)으로부터 이어지는 가이드 홈(408)을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410)(412)가 형성된 본체(400);
    본체(400)의 상부에 씌워지고, 공기배출구(402)로부터 외부로 이어지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배출그릴(502)이 형성된 커버(500);
    본체(400)의 전면에 형성된 슬릿(406)을 통해 안팎으로 출입되며, 가이드 리브(410)(412)에 끼워져서 상하 복수 층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방전홀(602)이 형성된 집진판(600);
    상기 각 집진판(600) 밑에 이격된 상태로 본체(400)에 설치되고, 복수의 통공(702)과 방전핀(704)이 설치된 대전판(700);
    상기 본체(4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20)의 양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집진판(600)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1통전편(800);
    상기 본체(400)의 내벽에 설치되어 음이온발생기(20)의 음극단자로부터 상기 각 대전판(700)에 병렬로 접속되는 제 2통전편(8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2020010010070U 2001-04-03 2001-04-03 공기정화기 KR200239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70U KR200239366Y1 (ko) 2001-04-03 2001-04-03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70U KR200239366Y1 (ko) 2001-04-03 2001-04-03 공기정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259A Division KR20010078987A (ko) 2001-05-30 2001-05-30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366Y1 true KR200239366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070U KR200239366Y1 (ko) 2001-04-03 2001-04-03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3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6081A (zh) * 2023-09-28 2023-12-12 广州镜湖香精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静电驱动的气味捕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06081A (zh) * 2023-09-28 2023-12-12 广州镜湖香精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静电驱动的气味捕集装置
CN117206081B (zh) * 2023-09-28 2024-05-17 广州镜湖香精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静电驱动的气味捕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692B1 (ko) 공기 청정기
CN209476007U (zh) 一种阶梯式水帘静电、uv光解复合式废气净化设备
JP2008036471A (ja) 電気集塵装置及び空気処理装置
KR101781040B1 (ko) 공기청정기
JP2008055404A (ja) 空気処理装置
KR100527358B1 (ko) 사이클론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239366Y1 (ko) 공기정화기
KR100427086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CN207013149U (zh) 一种空气净化器
KR20010078987A (ko) 공기정화기
CN212585097U (zh) 静电吸附装置及包含静电吸附装置的空气清净机
CN211166352U (zh) 一种多功能车载空气净化设备
KR100799713B1 (ko) 플러그인 타입의 공기청정기
CN209577023U (zh) 一种能高效净化油烟的家用抽油烟机
CN207667825U (zh) 一种基于电凝并的空气净化装置
TWM602072U (zh) 靜電吸附裝置及包含靜電吸附裝置的空氣清淨機
CN212179107U (zh) 一种负离子空气净化器
KR100404862B1 (ko) 공기정화장치
KR200322005Y1 (ko) 공기청정기
KR200239352Y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의 집진장치
JP3155955B2 (ja) 空気清浄装置
KR200303120Y1 (ko) 공기청정기의 음이온발생 장치
CN219415200U (zh) 一种便携式通气装置
KR20040087389A (ko) 공기 정화장치
KR100510982B1 (ko) 습식 전기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