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1040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1040B1
KR101781040B1 KR1020150130369A KR20150130369A KR101781040B1 KR 101781040 B1 KR101781040 B1 KR 101781040B1 KR 1020150130369 A KR1020150130369 A KR 1020150130369A KR 20150130369 A KR20150130369 A KR 20150130369A KR 101781040 B1 KR101781040 B1 KR 10178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onizer
discharge
disposed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698A (ko
Inventor
안지혜
현옥천
백승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0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9Collecting-electrodes 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B03C3/363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located before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공기 중의 오염물질 포집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공기흡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전면에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상기 공기흡입구와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리부는, 와이어형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방전극의 외주를 감싸는 원통형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방전대응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장치를 구성하는 전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균일 방전을 통해 이온의 고른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공기 중의 오염물질 입자가 집진부에 원활히 포집될 수 있도록 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흡착하여 걸려내는 방식과, 전기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이온화하여 흡착하는 방식으로 크게 대별된다.
이 중에서, 상기 전기 집진장치를 이용하는 방식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전리부에서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리부는 접지되어 있으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대응극과, 상기 각 방전대응극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복수개의 방전극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는 접지전극이면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집진대응과, 상기 각 집진대응극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는 복수개의 집진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기 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청정기가 동작될 때 공기는 상기 전리부 및 상기 집진부를 연속적으로 지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리부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입자가 대전되고, 이 대전된 오염물질입자는 상기 집진부에 포집되므로 결국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입자가 제거된다.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상기 전리부에서 대전된 다음 집진부에서 포집되기까지의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리부를 구성하는 각 방전극으로 DC+ 펄스로 된 고전압이 인가되면, 접지전극인 상기 방전대응극과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이 일어나므로 무수히 많은 전자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된 전자는 곧바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입자에 대전되므로 상기 오염물질입자가 이온화되어 -극을 띠는 대전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 집진부를 구성하는 집진전극으로 DC 고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접지전극인 상기 집진대응극이 -극을 띠고, 상기 집진전극은 +극을 띠고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극으로 대전된 오염물질입자가 공기와 함께 집진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상기 오염물질입자만이 +극을 띠는 집진전극에 달라붙게 되어 결국, 상기 집진부를 지난 공기에는 오염물질입자가 포함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전기 집진장치를 사용하는 공기청정기는, 상기 전리부를 구성하는 상기 방전대응극이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방전극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방전극 및 상기 방전대응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이 직선방향의 가까운 영역으로 국부적으로 걸려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이온화가 고르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집진부의 포집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 포집 성능이 향상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공기흡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전면에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에 상기 공기흡입구와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전리부와,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리부는, 와이어형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방전극의 외주를 감싸는 원통형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방전대응극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포집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력소비가 저감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공기의 유로 변경이 자유롭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전기 집진장치의 사이즈가 작아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전극 및 방전대응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측면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구(13)가 형성되고, 전면에 공기토출구(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캐비닛(10)의 측면은 캐비닛(10)의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캐비닛(10)의 좌측면 및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도 3 내지 도 4에서 후술하는 전기 집진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 집진장치(20)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전리부(24)(26)와, 상기 전리부(24)(26)에서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22)를 포함한다. 공기흡입구(13)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오염물질은 전리부(24)(26)에서 대전된 후, 집진부(22)에 포집되고, 상기 오염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공기만 공기토출구(11)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오염물질은 먼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유해 기체, 악취를 풍기는 냄새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집진부(22)가 수용되는 집진부수용부(12)와, 전리부(24)(26)가 수용되는 전리부수용부(14)(16)를 포함한다. 집진부수용부(12) 및 전리부수용부(14)(16)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집진부수용부(12)는 집진부(22)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집진부(22)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전리부수용부(14)(16)는 전리부(24)(26)의 형상에 대응되는 대략 반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리부(24)(26)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전리부수용부(14)(16)는 집진부수용부(12)의 후방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전리부수용부(14)(16)는 집진부수용부(12)보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리부수용부(14)(16)는 집진부수용부(12)의 후방 좌측면에 형성되는 좌측 전리부수용부(14)와, 집진부수용부(12)의 후방 우측면에 형성되는 우측 전리부수용부(16)를 포함한다.
공기흡입구(13)는 전리부수용부(14)(16)의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토출구(11)는 집진부수용부(12)의 전면에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집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전극 및 방전대응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 집진장치(20)를 더 포함한다. 전기 집진장치(20)는 공기흡입구(13)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킨 후, 그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10) 내에는 에어필터 및 송풍장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필터는 공기흡입구(13)가 형성된 캐비닛(10)의 내측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구(13)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는 집진부(2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흡입구(13)를 통해 공기가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에어필터, 전리부(24)(26) 및 집진부(22)를 통과한 공기를, 공기토출구(11)로 송풍한다. 상기 송풍장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기흡입구(13)를 통해 캐비닛(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에서 일차적으로 오염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전기 집진장치(20)의 전리부(24)(26)로 유동되고, 상기 전리부(24)(26)에서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비교적 입자가 미세한 오염물질은 대전된 후 집진부(22)로 유동되며, 상기 집진부(22)에서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이 포집된 후 깨끗한 공기만 상기 송풍팬을 지나 공기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흡입구(1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공기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리부(24)(26)는 집진부(22)의 후방 측면에 배치되어, 집진부(22)보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리부(24)(26)는 집진부(22)의 후방 좌측면에 배치되어 좌측 전리부수용부(14) 내에 수용되는 좌측 전리부(24)와, 집진부(22)의 후방 우측면에 배치되어 우측 전리부수용부(16) 내에 수용되는 우측 전리부(26)를 포함한다. 이하, 좌측 전리부(24) 및 우측 전리부(26)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측 전리부(24)만을 예로 들어 전리부(24)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리부(24)는 고전압을 인가받는 와이어형의 방전극(21)과, 접지전극이면서 방전극(21)과 이격되어 방전극(21)의 외주를 감싸는 원통형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방전대응극(23)을 포함한다.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방전극(21)은 방전대응극(23)의 중심을 상하로 지나도록 배치된다. 방전극(21)은 평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방전대응극(23)은 평단면 형상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방전극(21)에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방전극(21)에서 무수히 많은 전자가 나오면서,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 사이로 유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상기 전자가 달라붙어서 -극을 띠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는 방전대응극(23)이 원통형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전극(21)에 고전압의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 사이에 전기장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방전극(21)에서 나오는 전자는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전리부(24)로 유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고르게 -극으로 대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은 집진부(22)에 고르게 포집될 수 있으므로,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방전대응극(23)이 그물망으로 형성되게 되면, 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차압이 35% 정도 적게 걸리게 되므로, 공기청정기(100)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방전대응극(23)이 그물망으로 형성되게 되면, 전리부(24)의 폭이 좁아짐으로써 전기 집진장치(20)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고, 공기의 유로 변경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어 원하는 타입의 공기청정기(100)를 제작할 수 있다.
전리부(24)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프레임(25a)(25b)(25c)과, 복수의 지지프레임(25a)(25b)(25c)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27)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프레임(25a)(25b)(25c)은 외측 둘레의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프레임(25a)(25b)(25c)에는 원형의 관통홀(25d)이 형성된다. 관통홀(25d)로 방전대응극(23)을 삽입하면, 각각의 지지프레임(25a)(25b)(25c)은 방전대응극(23)의 외주면을 감싸서 지지하게 된다. 방전극(21)은 방전대응극(23)의 중심을 상하로 지나기 때문에,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은 관통홀(25d)을 관통하게 된다.
복수의 지지프레임(25a)(25b)(25c)은, 최상에 배치되는 최상지지프레임(25a)과, 최하에 배치되는 최하지지프레임(25b)과, 최상지지프레임(25a) 및 최하지지프레임(25b)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지지프레임(25c)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27)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지지프레임(25a)(25b)(25c)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지지프레임(예를 들어, 25b와 25c)을 연결한다.
전리부(24)는 최상지지프레임(25a)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 시트(28)와, 최하지지프레임(25b)의 하측에 결합되는 로워 시트(29)를 더 포함한다. 어퍼 시트(28)는 최상지지프레임(25a)에 형성된 관통홀(25d)을 차폐하며 최상지지프레임(28)의 상측에 배치되고, 로워 시트(29)는 최하지지프레임(25b)에 형성된 관통홀(25d)을 차폐하며 최하지지프레임(25b)의 하측에 배치된다.
어퍼 시트(28)에는 최상지지프레임(25a)에 형성된 관통홀(25d)을 관통한 방전극(21)의 상단 및 방전대응극(23)의 상단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로워 시트(29)에는 최하지지프레임(25b)에 형성된 관통홀(25d)을 관통한 방전극(21)의 하단 및 방전대응극(23)이 하단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집진부(22)는, 전리부(26)에서 대전된 상기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복수의 유전체 필름(22b)을 가지는 필터(22a)와, 필터(22a)가 삽입되는 필터 케이스(22c)와, 필터 케이스(22c)의 후방에 결합되는 필터 커버(22d)를 포함한다.
필터(22a)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전체 필름(22b)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적층되어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유전체 필름(22b) 중 어느 하나에는 고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전극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이 인가되는 유전체 필름(22b)은 +극을 띠게 되고, 상기 접지전극인 유전체 필름(22b)은 -극을 띠게 된다. 이로 인해, 전리부(24)에서 -극으로 대전된 상기 오염물질은 집진부(22)를 통과하면서 상기 +극을 띠는 유전체 필름(22b)에 포집되기 때문에, 깨끗한 공기만 공기토출구(11)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필터 케이스(22c) 및 필터 커버(22d)는 전후로 배치되어 서로 결합된다. 필터 케이스(22c) 및 필터 커버(22d)는 모두 사각형상의 테두리를 가지고 있고, 그 테두리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면에는 전리부(24)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토출구(11)를 향해 유동하는 복수의 홀(22e)(22f)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22c) 및 필터 커버(22d)는 상기 사각형상의 테두리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에 필터(22a)를 수용하게 된다.
전리부(24)는 두 개로 구비되어 필터 커버(22d)의 후방 양측면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전리부(24)는 하나로 구비되어 필터 커버(22d)의 후방 일측면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전리부(24)가 하나로 구비되어 필터 커버(22d)의 후방 일측면에만 결합되는 경우, 캐비닛(10)의 전리부수용부(14)도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전리부(24)는 필터 커버(22d)의 후방 측면에 결합된 상태이면, 집진부(22)보다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송풍장치의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팬은 회전되고, 공기흡입구(13)에는 흡입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3)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캐비닛(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필터에서 비교적 입자가 큰 오염물질이 걸러진 후 전리부(24)(26)로 이동된다.
전리부(24)(26)로 이동된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비교적 입자가 작은 오염물질은, 방전극(21)에서 방출하는 전자에 의해 대전되어 -극을 띠게 된다.
전리부(24)(26)를 통과한 공기는 그 유동방향이 직교되게 전방으로 전환되어 집진부(22)로 통과하게 되는 데, 이 때 -극을 띤 상기 오염물질은 +극을 띤 상기 유전체 필름(22b)에 흡착된다. 따라서, 집진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극을 띤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깨끗한 공기이다.
집진부(2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장치의 상기 송풍팬을 지나 공기토출구(11)를 통해 전방으로 배출되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100)는, 전기 집진장치(20)를 구성하는 전리부(24)(26)의 방전대응극(23)이 원통형 그물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방전극(21) 및 방전대응극(23)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전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오염물질을 고르게 대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집진부(22)에 포집되는 상기 오염물질의 포집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방전대응극(23)에 걸리는 차압이 감소되게 되므로, 전력소비가 저감된다.
또한, 전기 집진장치(20)의 사이즈가 작아질 수 있고, 공기의 유로 변경이 자유롭게 되어 원하는 타입의 공기청정기(10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캐비닛 11: 공기토출구
12: 집진부수용부 13: 공기흡입구
14,16: 전리부수용부 21: 방전극
22: 집진부 22a: 필터
22b: 유전체 필름 22c: 필터 케이스
22d: 필터 커버 23: 방전대응극
24,26: 전리부 25a,25b,25c: 지지프레임
27: 연결프레임 28: 어퍼 시트
29: 로워 시트

Claims (10)

  1. 공기흡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공기토출구가 전면에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에 상기 공기흡입구와 대응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대전시키는 전리부; 및
    상기 캐비닛 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 중에서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리부는, 와이어형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과 이격되어 상기 방전극의 외주를 감싸는 원통형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방전대응극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공기토출구가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집진부수용부와,
    상기 공기흡입구가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리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집진부수용부의 후방 측면에 배치되는 전리부수용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는 상기 집진부의 후방 측면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리부는 상기 집진부의 후방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는 상기 집진부보다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는,
    상기 방전극 및 상기 방전대응극이 관통하고, 상기 방전대응극의 외주면을 감싸는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상에 배치되는 최상지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극의 상단 및 상기 방전대응극의 상단을 지지하는 어퍼 시트와,
    상기 복수의 지지프레임 중 최하에 배치되는 최하지지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방전극의 하단 및 상기 방전대응극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워 시트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대전된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복수의 유전체 필름을 가지는 필터와,
    상기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와 함께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용하고, 후방 측면에 상기 전리부가 결합되는 필터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수용부는 상기 집진부수용부의 후방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리부수용부는 상기 집진부수용부보다 측면으로 돌출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KR1020150130369A 2015-09-15 2015-09-15 공기청정기 KR101781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69A KR101781040B1 (ko) 2015-09-15 2015-09-15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69A KR101781040B1 (ko) 2015-09-15 2015-09-15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98A KR20170032698A (ko) 2017-03-23
KR101781040B1 true KR101781040B1 (ko) 2017-09-25

Family

ID=5849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369A KR101781040B1 (ko) 2015-09-15 2015-09-15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998B1 (ko) * 2018-09-04 2020-03-10 콤마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209304B1 (ko) 2018-11-29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살균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US20220016307A1 (en) 2018-11-29 2022-01-20 Lg Electronics Inc. Plasma sterilization module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WO2021145483A1 (ko) * 2020-01-16 2021-07-22 콤마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20021677A (ko) * 2020-08-14 2022-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집진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032B2 (ja) * 1993-05-28 2004-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032B2 (ja) * 1993-05-28 2004-10-06 松下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98A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040B1 (ko) 공기청정기
US20230285888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8192535B2 (en) Dust collector
US7316729B2 (en)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US2010002465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ir purification efficiency
KR101957095B1 (ko) 전기집진 기능을 갖는 소형 공기청정기
KR101082713B1 (ko) 집진장치
JP2008036471A (ja) 電気集塵装置及び空気処理装置
CN205606756U (zh) 电离式空气净化装置
KR20170051893A (ko) 전기식 집진필터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CN114484696A (zh) 一种空气过滤方法
KR20030075702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 필터
KR20030075703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KR20160099308A (ko) 전기집진장치
JP2008023445A (ja) 集塵装置
KR20200050066A (ko) 공기청정기
KR20030077156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CN1541776A (zh) 空气净化器的集尘过滤器
KR100484868B1 (ko) 전기식 공기청정기
KR20030085207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KR100236335B1 (ko) 전기집진기
KR20030075695A (ko) 공기청정기의 집진 필터
KR20160104864A (ko) 전기집진장치
CN1541775A (zh) 空气净化器的电子式集尘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