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226Y1 - 압력스위치 - Google Patents

압력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226Y1
KR200239226Y1 KR2020010010708U KR20010010708U KR200239226Y1 KR 200239226 Y1 KR200239226 Y1 KR 200239226Y1 KR 2020010010708 U KR2020010010708 U KR 2020010010708U KR 20010010708 U KR20010010708 U KR 20010010708U KR 200239226 Y1 KR200239226 Y1 KR 200239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body case
switch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재천
Original Assignee
(주)정광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광기공 filed Critical (주)정광기공
Priority to KR2020010010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226Y1/ko

Links

Landscapes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압력을 정확하게 셋팅시킴과 아울러 그 설정압력에 따른 인입 압력치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내부로 접속스위치가 설치되어 지고 일측에는 헤드가 돌출되도록 압력 셋팅스크류가 설치되는 몸체케이스와, 그 일면으로 표시판과 밑면으로 압력이 유입되어 작동되는 피스톤부가 형성되는 유입구가 설치된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 내측 상부로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일단으로 레벨지시판이 고정되어 스프링의 상단이 삽입되는 압력조절판과, 하부에는 밑면으로 끼움홈과 그 외측으로 상기 스프링의 밑면이 삽입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압력셋팅부와; 상기 압력조절판과 지지판 사이의 중간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케이스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스위치의 접속부와 고정되어 지며 폭방향으로 고정축이 설치되는 작동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의 양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밑면으로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에 의해 유동되는 가동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작동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력 스위치{pressure switch}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해 주는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압력을 정확하게 셋팅시킴과 아울러 그 설정압력에 따른 인입 압력치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압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 스위치라 함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유압이나 공압등과 같은 압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것으로, 그 작동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으며, 이러한 압력 스위치는 주로 유압기기, 공작기계, 산업기계의 윤활 및 구리스 시스템 등에서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되는 종래의 압력 스위치를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면으로 스크류 고정되는 표시판(102)이 설치되어 지고 밑면에는 압력이 유입되도록 피스톤부(112)가 형성된 유입구(110)가 설치되며 내부 일측에는 본체케이스의 상면으로 헤드가 돌출되어 최소 압력을 셋팅할 수 있도록 압력 셋팅스크류(120)가 설치되고 그 측으로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120)와 연결판(122)으로 하측에 스프링(124)과 이 스프링의 밑단이 고정되도록 가동체(130)와 가동핀(140)을 설치하되, 상기 가동핀(140)의 상단에는 내부 일측으로 설치되는 접속스위치(150)와 접촉되도록 중간부분이 상향으로 절곡된 접지판(160)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력 스위치(1)의 작동은 먼저, 작업자가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하여 설정압력을 셋팅한 후 유입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부로 인하여 가동체와 가동핀이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단으로 설치된 절곡된 접지판이 유동되면서 접속스위치와 접촉되어 그 접촉된 신호를 인가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는 설정압력을 셋팅하기 위한 스프링이 압력 셋팅스크류에 의해 직접적으로 셋팅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연결판으로서 셋팅되어 짐에 따라 편하중이 발생되어 정확한 설정압력을 셋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스프링의 하단이 가동체로 고정되어 짐으로서, 스프링의 압축 및 팽창과정에서 비틀림으로 인한 스프링의 굴절현상이 발생하여 보다 큰 편하중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가동핀이 상,하로 유동되면서 접속스위치와 접촉되도록 상향으로 절곡된 접지판은 여러번의 작동에 따른 그 절곡된 부위의 탄성계수 변화에 따라 인입되는 압력 압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접속스위치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 또한 초래되었다.
또, 상기 몸체케이스의 일측면으로 스크류 고정되는 표시판 또한 몸체케이스와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설치작업으로 인한 표시판의 분리로 분실이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속한 분해 및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 압력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수단 또한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정압력을 정확하게 셋팅시킴과 아울러 그 설정압력에 따른 인입 압력치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표시판의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신속히 분해 및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압력 스위치의 작동을 램프로서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압측의 차압 변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구를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로 접속스위치가 설치되어 지고 일측에는 헤드가 돌출되도록 압력 셋팅스크류가 설치되는 몸체케이스와, 그 일면으로 표시판과 밑면으로 압력이 유입되어 작동되는 피스톤부가 형성되는 유입구가 설치된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 내측 상부로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를 형성하고 일단으로 레벨지시판이 고정되어 스프링의 상단이 삽입되는 압력조절판과, 하부에는 밑면으로 끼움홈과 그 외측으로 상기 스프링의 밑면이 삽입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는 압력셋팅부와; 상기 압력조절판과 지지판 사이의 중간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케이스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스위치의 접속부와 고정되어 지며 폭방향으로 고정축이 설치되는 작동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의 양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의 밑면으로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에 의해 유동되는 가동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작동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판은 밑단이 상기 몸체케이스의 밑단과 힌지결합되고 상단으로 고정스크류로 고정되어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판에는 램프표시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접속스위치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끼움구에 접지단자와 램프가 설치된 램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작동판의 선단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으로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부로부터 나사결합되는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의 하단이 삽입되며 그 중간으로 일측에 레벨지시판이 설치되어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작동판의 밑면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와셔에 보조 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설치되는 차압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입구는 상기 피스톤부가 형성되어 몸체케이스에 나사결합되는 제1 유입구와 그 외측면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 유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종래 압력 스위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력 스위치
10 : 압력셋팅부
12 : 나사결합부 14 : 레벨지시판
15 : 압력조절판 16 : 끼움홈
18 : 지지판
20 : 작동부
22 : 고정축 24 : 작동판
26 : 가동브라켓
30 : 램프표시부
40 : 램프부
42 : 끼움구 44 : 접지단자
46 : 램프
50 : 차압 조절부
51 : 관통공 52 :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
54 : 레벨지시판 55 : 조절부재
56 : 스프링 고정와셔 58 : 보조 스프링
60 : 제1 유입구 60a : 제2 유입구
100 : 몸체케이스
102 : 표시판
110 : 유입구
112 : 피스톤부
120 : 압력 셋팅스크류
150 : 접속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일반적인 접속스위치(150)가 설치되어 지고 일측에는 헤드가 돌출되도록 압력 셋팅스크류(120)가 설치되는 몸체케이스(100)와, 그 일면으로 표시판(102)과 밑면으로 압력이 유입되어 작동되는 피스톤부(112)가 형성되는 유입구(110)가 설치된 압력 스위치(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몸체케이스(1) 내측 상부로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120)가 나사결합되어 그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어 압력을 셋팅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부(12)를 형성하고 일단으로 상기 표시판으로 표기된 압력레벨을 지시할 수 있도록 레벨지시판(14)이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스프링(124)의 상단이 삽입되는 압력조절판(15)과, 하부에는 밑면으로 상기한 피스톤부의 피스톤 선단으로 스토퍼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끼움홈(16)과 그 외측으로 상기 스프링(124)의 밑면이 삽입되는 지지판(18)으로 구성되는 압력셋팅부(10)가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압력조절판(15)과 지지판(18) 사이의 중간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케이스(10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스위치(150)의 접속부와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지며 폭방향으로 고정축(22)이 설치되는 작동판(24)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22)의 양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8)의 밑면으로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에 의해 유동되는 가동브라켓(26)으로 구성되는 작동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표시판(102)은 밑단이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밑단과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힌지결합하고 상단으로 고정스크류로 고정되어 여닫히도록 함으로서, 설치작업에 따른 표시판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도 표시판이 별도로 분리되지 않게 됨에 따라 분실됨은 물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판(102)에는 천공되어 스크린 막등의 씌워진 일반적인 램프표시부(30)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접속스위치(150)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일반적인 끼움구(42)에 스프링이나 통상의 접지단자(44)와 LED 등과 같은 램프(46)가 설치된 램프부(40)를 구비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압력 스위치의 작동시 상기 램프가 켜지면서 압력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작업자의 육안으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짐에 따라 먼저 작업자가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하여 설정압력을 셋팅시키고, 즉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압력조절판이 같은 수직선상에서 하강되면서 지지판 사이에 내장된 스프링이 갖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압력을 셋팅시킨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압력 셋팅스크류를 중심으로 압력조절판과 지지판 사이에서 수직선상으로 설치되어 지고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직접적으로 셋팅됨으로서, 설정압력의 셋팅시 편중됨 없이 셋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정압력의 셋팅이 완료되어 몸체케이스의 밑면으로 설치된 유입부를 통하여 인입되는 압력은 상기 유입부에 형성된 피스톤부의 피스톤이 상승되면서 가동브라켓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가동브라켓은 작동편의 고정축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작동편의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을 기점으로 작동편이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스프링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작동편은 접속스위치의 접속부와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압력신호를 접속스위치로 전달하게 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압축되는 스프링은 상기 가동브라켓으로인하여 편중됨 없이 균일한 압력으로 수축되어져 정확한 압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고, 또 상기 스프링은 상단이나 하단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압력조절판이나 지지판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이므로 압력 셋팅 및 인입 압력에 의해 압축 및 팽창에 따른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비틀림으로 인한 편하중 또한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한 압력에 의해 압력 스위치의 차압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램프부의 램프는 상기와 같이 설정압력의 상압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됨에 따라 작업자가 육안으로서 간편하게 압력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판(24)의 선단에는 관통공(51)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51)으로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상부로부터 나사결합되는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52)의 하단이 삽입되며 그 중간으로 일측에 레벨지시판(54)이 설치되어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55)와 상기 작동판(24)의 밑면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와셔(56)에 보조 스프링(58)의 상단과 하단이 설치되는 차압 조절부(50)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상기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에 나사결합된 조절부재가 상,하로 조절되면서 보조 스프링과 스프링 고정와셔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고, 상기 스프링 고정와셔는 그 조절폭에 따라 상기 작동편의 밑면으로 지지되어 지며 그로 인해 저압측의 변위압을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입되는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편의 상측으로 작동시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가 작동편의 관통공으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상승되었다가 하강되는 작동편은 상기 작동편의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 고정와셔에 먼저 닿게 되어 인입되는 상승압력에는 상관없이 차압의 변위 폭을 넓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부재에 설치된 레벨지시판에 의해 조절된 그 차압의 설정압력 또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속스위치와 접촉되는 램프부를 상기한 상압에서 램프가 작동되던 것을 저압측의 압력이 작동되는 것을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램프부를 뒷집어서 접지단자가 접속스위치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서, 저압측 압력의 작동여부도 램프표시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피스톤부(112)가 형성되어 몸체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는 제1 유입구(60)와 그 외측면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 유입구(60a)로 구성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그 유입구(110)를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즉, 물, 해수, 기름 및 화학적 부식성이 강한 유체의 압력에 따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이 유입되는 상기 제1 유입구(60)를 필요로 하는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되는 용도에 알맞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건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압력 스위치에 있어 최소 설정압력을 셋팅시 스프링의 편중됨 없이 조절시킴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설정압력을 셋팅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 설정압력에 따른 유입되는 압력 또한 편중됨에 없이 정확한 압력치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표시판를 폴더식으로 설치함으로서, 분실 및 파손 방지를 최소화함은 물론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압력 스위치의 작동여부를 램프를 통하여 작업자의 육안으로서,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작동판의 선단으로 설치되는 차압조절부에 의해 인입되는 상승압력과는 상관없이 차압의 변위폭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유입부를 그 특성에 맞는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다 오랜 기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5)

  1. 내부로 접속스위치가 설치되어 지고 일측에는 헤드가 돌출되도록 압력 셋팅스크류가 설치되는 몸체케이스와, 그 일면으로 표시판과 밑면으로 압력이 유입되어 작동되는 피스톤부가 형성되는 유입구가 설치된 압력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100) 내측 상부로 상기 압력 셋팅스크류(12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12)를 형성하고 일단으로 레벨지시판(14)이 고정되어 스프링(124)의 상단이 삽입되는 압력조절판(15)과, 하부에는 밑면으로 끼움홈(16)과 그 외측으로 상기 스프링(124)의 밑면이 삽입되는 지지판(18)으로 구성되는 압력셋팅부(10)와; 상기 압력조절판(15)과 지지판(18) 사이의 중간에는 일단이 상기 몸체케이스(10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접속스위치(150)의 접속부와 고정되어 지며 폭방향으로 고정축(22)이 설치되는 작동판(24)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22)의 양단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8)의 밑면으로 위치하여 상기 피스톤부의 피스톤에 의해 유동되는 가동브라켓(26)으로 구성되는 작동부(2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102)은 밑단이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밑단과 힌지결합되고 상단으로 고정스크류로 고정되어 여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판(102)에는 램프표시부(30)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접속스위치(150)의 단자와 접촉되도록 끼움구(42)에 접지단자(44)와 램프(46)가 설치된 램프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24)의 선단에는 관통공(51)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51)으로 상기 몸체케이스(100)의 상부로부터 나사결합되는 보조 압력 셋팅스크류(52)의 하단이 삽입되며 그 중간으로 일측에 레벨지시판(54)이 설치되어 나사결합되는 조절부재(55)와 상기 작동판(24)의 밑면으로 위치하는 스프링 고정와셔(56)에 보조 스프링(58)의 상단과 하단이 설치되는 차압 조절부(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는 상기 피스톤부(112)가 형성되어 몸체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는 제1 유입구(60)와 그 외측면으로 나사결합되는 제2 유입구(6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스위치.
KR2020010010708U 2001-04-16 2001-04-16 압력스위치 KR200239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8U KR200239226Y1 (ko) 2001-04-16 2001-04-16 압력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8U KR200239226Y1 (ko) 2001-04-16 2001-04-16 압력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226Y1 true KR200239226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08U KR200239226Y1 (ko) 2001-04-16 2001-04-16 압력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2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506B1 (ko) 2009-08-03 2012-08-14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압력 스위치
KR20220076880A (ko) 2020-12-01 2022-06-08 (주)제이.케이.에스 기계식 차압 조정형 압력스위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506B1 (ko) 2009-08-03 2012-08-14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압력 스위치
US8302482B2 (en) 2009-08-03 2012-11-06 Smc Kabushiki Kaisha Pressure switch
DE102010023888B4 (de) * 2009-08-03 2016-02-04 Smc Kabushiki Kaisha Druckschalter
KR20220076880A (ko) 2020-12-01 2022-06-08 (주)제이.케이.에스 기계식 차압 조정형 압력스위치
KR102520153B1 (ko) * 2020-12-01 2023-04-11 (주)제이.케이.에스 기계식 차압 조정형 압력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9226Y1 (ko) 압력스위치
US5899434A (en) Flow rate control valve
US5651387A (en) Valve cartridge
US4085305A (en) Liquid flow switch
NO20011959L (no) Elastomer montasje (C)
EP1345483A3 (de) Kontaktierungseinrichtung für Ventilantriebe und damit ausgestattete Ventilanordnung
US5884480A (en) Fluid power control circuit
CN209781793U (zh) 一种电动球阀的漏水保护旋钮
CN113531179B (zh) 一种油压千斤顶低压溢流阀的装配工艺
JPH089623Y2 (ja) 圧力変換器
US1069750A (en) Force-pump.
WO2001012997A3 (de) Pressensicherheitsventil
CN210769636U (zh) 可更换式油缸缸筒
EP1132627B1 (en) Pilot valve container for a multiway valve
CN220296763U (zh) 用于单轴抛光的测力传感器
CN220354056U (zh) 一种微流量导通时避免电动机频繁启动的水泵
CN220930239U (zh) 阀门
CN218631806U (zh) 一种带延时保护的压力开关
KR200252479Y1 (ko) 수도용 감압밸브
JP5868078B2 (ja) 圧力スイッチ
CN212337217U (zh) 扩张式过电缆封隔器
KR100384153B1 (ko) 밸브 바디에 채용된 튜브 조립체
CN116517845A (zh) 一种立式泵的排气结构
KR0136463B1 (ko) 자동펌프의 압력센서
KR100737468B1 (ko) 공압 실린더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