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044Y1 -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044Y1
KR200239044Y1 KR2019980008785U KR19980008785U KR200239044Y1 KR 200239044 Y1 KR200239044 Y1 KR 200239044Y1 KR 2019980008785 U KR2019980008785 U KR 2019980008785U KR 19980008785 U KR19980008785 U KR 19980008785U KR 200239044 Y1 KR200239044 Y1 KR 2002390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transfer
suction roller
shaft
paper mon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770U (ko
Inventor
장상환
Original Assignee
장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상환 filed Critical 장상환
Priority to KR2019980008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0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0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044Y1/ko

Link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구로 투입된 지폐가 기계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에 있어서 일괄 투입된 지폐를 낱장씩 분류하여 투입되게 하고, 투입된 낱장의 지폐를 이송하고 배출하는 동작에 있어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롤러마찰식 지폐이송장치에 비하여 기계적 소음을 제거하는 것과 지폐이송도중 지폐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폐이송벨트와 지폐이송플라이휠 사이로 지폐가 밀착되어 이동하도록 하며,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여 지폐이송플라이휠을 주동롤러축에 장착하므로 비상정지시 장치 내부에 지폐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폐이송도중 지폐의 상/하/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센서를 이용한 지폐의 상태 파악이 용이해지므로 금융자동화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
본 고안은 투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낱장으로 분류하여 기계 내부를 경유시키며 배출되는 과정동안 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숫자를 감지하는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입된 지폐가 기계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구로 배출하기까지 소음 및 흔들림 등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된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금융기관에서는 지폐를 분류하는 지폐분류기와 현금을 입/출금하는 현금입/출금기 및 지폐를 계수하는 지폐계수기 등의 금융자동화 장치를 사용하는바, 이러한 금융자동화 장치는 롤러와 롤러 사이로 지폐가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마찰식의 지폐이송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지폐이송장치는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지폐 안내용의 플레이트를 지폐 이송로 상에 부착하여 투입구측 롤러를 빠져나온 지폐가 회전하여 배출구 측의 롤러 사이로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마찰식 지폐이송장치는 지폐의 진입시 롤러와 롤러 사이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소음과 지폐가 회전하면서 플레이트와 부딪쳐 발생하는 소음 및 투입구측의 롤러와 롤러 사이로 지폐가 진입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소음이 종합적으로 발생하여 장치의 동작 중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 계수 기능 이외의 권종판별이나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향상된 기능을 갖춘 금융자동화 장치의 경우, 지폐가 롤러와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도중 지폐가 좌/우/상/하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이송 경로에서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센서의 감지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고, 따라서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지폐 계수기 등의 금융자동화 장치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장치 동작 중의 소음을 최소화하고, 지폐의 이송 중 흔들림을 방지하여 각종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극대화하며, 더욱이 장치의 비상정지시 장치 내부에 지폐가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폐이송구조가 적용된 지폐계수기의 일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폐이송구조가 적용된 지폐계수기의 요부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지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 구동모타풀리 2 - 구동모타축
3 - 구동벨트 4 - 흡입롤러풀리
5 - 투입모터풀리 6 - 타이밍벨트
7 - 투입롤러축 8 - 투입롤러
9 - 투입롤러 10 - 지폐이송플라이휠
11 - 흡입롤러축 12 - 반발롤러
13 - 피드롤러 14 - 상부지폐이송롤러
15 - 상부지폐이송롤러 16 - 하부지폐이송롤러
17 - 하부지폐이송롤러 18 - 지폐이송벨트
19 - 지폐이송벨트 20 - 반발롤러 축
21 - 지폐이송플라이휠 22 - 흡입롤러
23 - 지폐누름롤러 24 - 지폐집적휠
25 - 플레이트 26 - 지폐주행경로
27 - 지폐 28 - 지폐
30 - 상부 벨트회전축 41 - 하부 벨트회전축
A - 장폭 B - 단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투입된 지폐를 이송부로 피트(feed)시키기 위한 피드롤러 직후에 설치되고, 투입된 지폐가 무리한 힘을 받지 않고 유연하게 회전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적절한 지름의 크기를 가진 흡입롤러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지폐이송롤러를 피드롤러 직후와 지폐 배출부 끝 부분에 위치시키며, 이 상/하 지폐이송롤러를 지폐이송벨트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흡입롤러의 좌/우측에 흡입롤러축을 매개로 하여 흡입롤러와 동시에 회전하는 지폐이송플라이휠을 장착하고, 이 지폐이송플라이휠의 지폐이송벨트와 접촉되는 부분을 고무재질로 사용하므로 지폐이송플라이휠과 지폐이송벨트의 밀착되는 힘에 의해 지폐이송벨트와 지폐이송롤러가 회전하도록 하여 플라이휠과 지폐이송벨트 사이를 지폐가 밀착된 상태로 유동 없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폐이송플라이휠은 공지의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여 주동롤러축에 장착된다. 따라서 흡입롤러가 멈추더라도 지폐이송플라이휠이 지폐이송방향으로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장치 동작중 에러발생에 의한 비상정지시 진입된 지폐를 배출시켜 장치 내부에 지폐가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적용한 지폐계수기의 동력전달방법과 지폐의 진행동작을 설명하면 구동모타(도시생략)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구동모타축(2)에 부착되어 작동되는 구동모타풀리(1)에 전달되고, 구동벨트(3)를 매개로 흡입롤러풀리(4)에 전달되어 이를 시계방향(도면상의)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롤러풀리(4)와 투입롤러축(7)에 설치된 투입롤러풀리(5)는 타이밍벨트(6)를 매개로 연결되므로, 상기 풀리(4)가 회전될때, 풀리(5)와 축(7)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축(7)상게 구비된 투입롤러(8, 9)는 축(7)과 함께 회전되며 투입구에 적재된 지폐(27)의 맨 아래에서부터 1회전 하는 동안 1매씩 끌어당긴다.
또한, 지폐누름롤러(23;도 1 참조)가 구비된다. 흡입롤러(11)에 흡입롤러 (22)가 설치되어 투입롤러(8, 9)를 경유한 지폐가 흡입롤러(22)의 표면에 밀착되며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롤러축(11)의 회전에 따라서 흡입롤러(22)는 지폐 진행방향,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흡입롤러(22) 상부에서 이 흡입롤러(22)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반발롤러(12)는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여 반발롤러축(20)에 부착된다. 이 반발롤러(12)는 지폐 진행방향의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흡입롤러(22)와 반발롤러(12) 사이에 지폐가 겹쳐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진행된 지폐는, 지폐 진입시 지폐의 진입하려는 힘에 의해 지폐진입방향으로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피드롤러(13)의 누르는 힘을 받으면서 본 고안에 따른 지폐이송플라이휠(10,21) 및 이와 맞물려 회전하는 지폐이송벨트(18,19)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폐이송플라이휠(10,12)은 상기 흡입롤러(22)의 좌우측에서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여 흡입롤러축(1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입롤러축(11) 주위에서 흡입롤러축(11)과 평행하게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상하부 벨트회전축(31,41)이 각각 구비되고, 이 상하부 벨트회전축 (31,41)에 각각 롤러(14,15;16,17)가 구비되며, 이 각각의 롤러(14,16;15,17)를 매개로 한쌍의 지폐이송벨트(18,19)가 설치된다. 한편 장치의 상호 관계를 상세히 도시하기 위해서, 도 2에는 상부 벨트회전축(31)을 도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회전축(31)과 상기 하부 벨트회전축(41)은 상기 지폐 이송벨트(18,19)의 지폐와 맞닿은 외주면이 상기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의 외주면(a)과 면접촉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지폐가 흡입롤러(22)를 통해 이송될 때, 상기 지폐이송플라이휠(10, 21)의 외주면(a)과 상기 지폐이송벨트(18, 19)의 외주면 사이에서 지폐가 면접촉되면서 안정되게 이송된다.
한편, 지폐는 지폐계수기 내에서 롤러축과 수평하게 놓여져서 이송로를 진행하는데, 지폐의 양쪽 단부로부터 장폭(A)의 대략 1/4 지점의 접촉부(c)가 지폐이송 플라이휠(10,12)의 외주면(a)과 지폐이송벨트(18, 19) 사이로 맞물려 진입하게 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지폐이송플라이휠(10,12) 사이의 간격이 지폐 접촉부 (c) 사이의 간격으로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지폐이송플라이휠(10, 21)의 외주면(a)은 고무재료로 제작한다. 이에 따라, 지폐의 밀착성이 향상 된다.
한편, 참조부호 25는 지폐 이송로 상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로, 지폐의 계수 및 권종을 판단하는 센서가 위치된다.
또한, 참조부호 R은 상부 지폐이송롤러(14,15)로부터 하부 지폐이송롤러 (16,17)까지의 지폐가 밀착되는 구간을 나타내며, 이 구간 내에서 지폐의 감지가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의 화살표는 지폐 이송로를 나타낸다.
한편, 흡입롤러(22)는 지폐가 이송 중에 급격하게 구부러지지 않고 완만한 각을 유지하면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흡입롤러(22)의 원주를 지폐의 단폭(B) 길이보다 적어도 크게 제작한다. 이에 따라, 지폐가 하부지폐이송롤러(16, 17)를 빠져나가 지폐집적휠(24)에 도달하기까지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쪽으로 처지지 않고, 지폐 진행방향과 최대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드롤러(13)를 경유한 지폐는 2부분의 접촉부(c)가 휠(10, 12)의 외주면(a) 및 지폐이송벨트(18, 19)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구간(R)를 진행하므로,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또한, 이송되는 지폐의 움직임이 제거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데이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지폐이송장치는 주로 벨트이송방식으로 지폐를 이송하므로 안내 역활의 플레이트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며, 이송로상의 플레이트와의 접촉이 없게 되므로 충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방지 시킨다.
밀착성을 유지하고 이송 중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다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이송벨트(18,19)는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의 곡면과 맞닿고, 흡입롤러축(11)의 회전력이 지폐이송벨트(18,19)에 전달되도록 하는 바, 지폐이송벨트(18,19)는 수평으로 펴지려는 힘에 의하여 지폐이송플라이휠 (10,21)쪽으로 장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흡입롤러축(11)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폐이송플라이휠(10,21) 및 흡입롤러(22)는 지폐이송벨트(18,19)의 장력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밀착효과가 유효하게 나타나게 되고, 지폐가 지폐이송플라이휠 (10,21)과 지폐이송벨트(18,19) 사이로 진입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밀착하려는 힘에 의하여 지폐이송플라이휠(10,21) 및 흡입롤러(22)의 외주면(a)과 지폐이송벨트 (18,19) 사이로 밀착되고, 밀착된 상태에서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송되게 된다.
장치의 동작중 에러발생에 의한 비상정지시 지폐이송장치로 진입된 지폐를 기계 내부에 걸리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흡입롤러축(11)에 장착함으로써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은 정상동작시에는 흡입롤러축(11)의 회전에 따라 흡입롤러(22)와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이 함께 회전하게 되나, 비상정지시에는 흡입롤러(22)는 즉시 정지되어 지폐가 더 이상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은 클러치베어링의 작용에 의하여 흡입롤러(22)와는 독립적으로 계속 회전하며 이미 지폐이송장치로 진입된 지폐나 지폐이송벨트 (18,19)와 지폐이송플라이휠(10,21) 사이를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한 지폐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지폐이송장치가 지폐계수기 등의 금융자동화 장치에 설치되면, 첫째로, 벨트이송방식 및 장치의 구조에 따라 지폐이송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차단하므로 장치 전체의 소음을 최소화하고, 둘째로, 지폐 투입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좌/우/상/하 흔들림 없이 구조물 사이를 밀착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폐 상태 판별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셋째로, 장치 동작중 에러발생에 의한 장치의 비상정지시 기계 내부에 지폐가 걸리지 않고 완전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송되는 지폐의 권종 및 매수를 센서로 감지하면서 이송시키는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에 있어서,
    흡입롤러축(11)과, 이 흡입롤러축(11)의 주위에서 이 흡입롤러축(11)과 평행하게 서로 마주보는 상부 회전벨트축(31) 및 하부 회전벨트축(41)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롤러축(11)에 그 외주면이 고무재질이고 원주길이가 지폐의 단폭길이(B)보다 적어도 큰 흡입롤러(22)를 구비하고, 이 흡입롤러(22)의 좌/우에 클러치베어링을 매개로 그 외주면(a)이 고무재질인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벨트호전축(31) 및 하부 벨트회전축(41)에 각각 한 쌍의 롤러 (14,15;16,17)를 구비하고, 이 각각의 롤러를 매개로 한 쌍의 지폐이송벨트(18,19)가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상부 벨트회전축(31)과 상기 하부 벨트회전축(41)은 상기 지폐이송벨트(18,19)의 지폐와 맞닿은 외주면이 상기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의 외주면(a)과 면접접촉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지폐가 흡입롤러(22)를 통해 이송될 때, 상기 지폐이송플라이휠(10,21)의 외주면(a)과 상기 지폐이송벨트(18,19)의 외주면 사이에서 지폐가 면접촉되면서 소음이 최소화되고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비상정지시, 흡입롤러가 멈추어도 상기 지폐 이송플라이휠이 계속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장치.
KR2019980008785U 1998-05-26 1998-05-26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KR2002390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5U KR200239044Y1 (ko) 1998-05-26 1998-05-26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5U KR200239044Y1 (ko) 1998-05-26 1998-05-26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70U KR19990041770U (ko) 1999-12-27
KR200239044Y1 true KR200239044Y1 (ko) 2001-12-01

Family

ID=6950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785U KR200239044Y1 (ko) 1998-05-26 1998-05-26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04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994B1 (ko) * 2000-05-10 2002-06-20 홍중후 지폐계수기
KR200472152Y1 (ko) * 2008-12-31 2014-04-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KR101459825B1 (ko) 2012-05-15 2014-1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101673532B1 (ko) * 2015-02-25 2016-11-07 (주)티비엠 지폐 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70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675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having controlled pressure rolls to ensure feeding of a single sheet
US6267372B1 (en) Device for separating sheets in a pile
EP0132329A2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0239044Y1 (ko) 금융자동화 장치의 지폐이송 장치
US4482057A (en) Record media dispensing apparatus
JP3432860B2 (ja) 紙葉類のスキュー制御搬送装置
US20030075487A1 (en) Automatic bil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orting device
JPS6047175B2 (ja) 現金自動支払機の一括放出装置
KR20060078539A (ko) 지폐류 출금기의 낱장분리장치 및 그 방법
JPH06342487A (ja) 紙葉類計数装置
JPS636110Y2 (ko)
JP3217530B2 (ja) 紙葉類搬送装置
KR101673532B1 (ko) 지폐 계수기
JP2003276924A (ja) 紙幣搬送装置
JPH04140243A (ja) 紙葉類の搬送装置
KR100966678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JP266509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1172175A (ja) 紙葉集積装置
JPH02243440A (ja) 遊技設備の紙幣類搬送装置
JP3649879B2 (ja) 紙葉類処理機における紙葉類取込み装置
JPH0745813Y2 (ja) 紙幣識別装置
JP2562199B2 (ja) 紙幣処理機
JPH0745811Y2 (ja) 紙幣識別装置
JP2004078284A (ja) 現金自動取引き装置
JPH01266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