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50Y1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 Google Patents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8950Y1 KR200238950Y1 KR2020010010133U KR20010010133U KR200238950Y1 KR 200238950 Y1 KR200238950 Y1 KR 200238950Y1 KR 2020010010133 U KR2020010010133 U KR 2020010010133U KR 20010010133 U KR20010010133 U KR 20010010133U KR 200238950 Y1 KR200238950 Y1 KR 2002389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lifter
- present
- electric railway
- electric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의 상단에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캐리어의 상면을 회전 이동하는 로울러(21); 상기 힌지축의 상단 적소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운동하며,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체인이 구비된 테이블(30); 상기 고정체인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며, 모터와 구동벨트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터 테이블(40); 상기 테이블의 적소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리프터 캐리어를 조정하는 콘트롤운전석(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을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설 및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을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설 및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전차선(電車線,electric car line)은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선으로, 일명 트롤리선(trolley line)이라고도 한다. 이때 상기 트롤리선은 보통 한줄이며, 레일과 짝을 지어 전기회로를 형성하는 것이 많고, 두 줄의 전차선을 병행해서 부설하고 레일에는 전류를 흘리지 않는 것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차선을 가설 및 보수를 하기 위해서는 레일을 따라 캐리어가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였던 것이나, 종래의 기술은 캐리어에 리프트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는 높은 곳에 위치한 전차선을 가설 및 보수하기 위해 별도의 리프터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상기 리프터 장치는 이동할 수 없어 작업자는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리프터를 받치고 있는 판이 회전할 수 없어 작업자는 작업반경이 좁아지게 되어 작업능률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을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설 및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제2목적은 리프터를 소정간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리트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넓혀 작업능률 및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캐리어에 있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의 상단에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캐리어의 상면을 회전 이동하는 로울러; 상기 힌지축의 상단 적소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운동하며,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체인이 구비된 테이블; 상기 고정체인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며, 모터와 구동벨트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터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적소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리프터 캐리어를 조정하는 콘트롤운전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
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
어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캐리어 20: 힌지축
21: 로울러 30: 테이블
31: 고정체인 40: 리프터 테이블
41: 모터 42: 구동벨트
50: 콘트롤운전석 102: 전차선
본 고안에 적용된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는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적용된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는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을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설 및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인 부호 10은 레일(103)을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이다.
본 고안은 상기 리프트 캐리어를 터널(100) 내부에서 작업하는 것을 도면상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터널(100) 외부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10)의 상면에는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캐리어(10)의 상면을 회전 이동하는 로울러(21)가 구비된다.
부호 30은 상기 힌지축(20)의 상단 적소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운동하며,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체인(31)이 구비된 테이블(30)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인(31)의 상단 양측에는 모터(41)와 구동벨트(42)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터 테이블(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30)의 적소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리프터 캐리어를 조정하는 콘트롤운전석(5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도면상 미 설명부호 101은 브라켓트이고, 102는 전차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브라켓트(101)에 전차선(102)을 가설하거나 또는 가설된 전차선(102)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적용된 리프트 케리어를 사용하게 된다.
즉, 레일(103)위에 위치한 캐리어(10)는 레일(103)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1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설치된 테이블(30)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는 콘트롤운전석(50)에서 본 고안에 적용된 리프트 캐리어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전자가 레일(103)을 따라 이동되는 리프트 캐리어를 작업구간에서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리프터 테이블(40)에 올라가면 유압실린더(도면상 미 도시함)의 구동에 의해 리프터 테이블(40)이 도 1 의 가상선과 같이 전차선(102)의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리프터 테이블(40) 위에서 전차선(102)을 가설하거나 또는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일측의 리프터 테이블(40)만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타측의 리프터 테이블(40)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리프터 테이블(40)은 도 1 의 가상선과 같이 모터(41)와 구동체인(42)의 구동에 의해 고정체인(31)의 상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전차선(102)을 가설 및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종방향에서 전차선(102)을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횡방향에서도 전차선(102)을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횡방향으로 전차선(102)을 작업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테이블(30)이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로울러(21)는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캐리어(10)의 상면에서 회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테이블(30)이 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작업자는 전차선(102)의 횡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리프터 테이블은 레일(103)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동시에 정역회전 함으로 인해 작업자는 360도 전구간에서 전차선(102)을 가설 및 보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기철도에서 전차 또는 전기기관차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밴더그래프 등의 집전장치에 직접 접촉하는 전차선을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가설 및 보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리프터를 소정간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신속·정확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리트터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반경을 넓혀 작업능률 및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은 물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캐리어에 있어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캐리어의 상단에 설치되며, 힌지축을 중심으로 캐리어의 상면을 회전 이동하는 로울러;상기 힌지축의 상단 적소에 설치되어 정역 회전운동하며,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체인이 구비된 테이블;상기 고정체인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며, 모터와 구동벨트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동시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터 테이블;상기 테이블의 적소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리프터 캐리어를 조정하는 콘트롤운전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133U KR200238950Y1 (ko) | 2001-04-11 | 2001-04-11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133U KR200238950Y1 (ko) | 2001-04-11 | 2001-04-11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8950Y1 true KR200238950Y1 (ko) | 2001-10-11 |
Family
ID=7306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0133U KR200238950Y1 (ko) | 2001-04-11 | 2001-04-11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8950Y1 (ko) |
-
2001
- 2001-04-11 KR KR2020010010133U patent/KR2002389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13653B2 (en) | Rail-guided cart system and branching control method for a rail-guided cart system | |
CN110258213B (zh) | 机器人化钢轨打磨车 | |
ES2132868T3 (es) | Maquina para el tendido de una linea de contacto. | |
JP4416713B2 (ja) | 軌陸作業機 | |
CN108313068A (zh) | 列车主动导向式悬挂单轨道岔系统 | |
KR200238950Y1 (ko) | 전기철도용 전차선을 작업하기 위한 리프터 캐리어 | |
JP2018047803A (ja) | 脱線復旧装置付き鉄道車両 | |
FR3093739B1 (fr) | Machine de meulage du profile des rails d'une voie de chemin de fer | |
AU2466897A (en) | A machine for laying a track | |
EP1294989A1 (en) | Roller rail clamp | |
KR100926524B1 (ko) | 크레인용 트래버서 | |
DE10313698A1 (de) | Einrichtung zur Stromversorgung elektrisch betriebener Schienenfahrzeuge | |
ATE275672T1 (de) | Zweiwegefahrzeug zum abladen von schienen | |
US5161758A (en) | Connecting system for trolley rails for transport vehicle | |
PL355616A1 (en) | Railway track machining system | |
KR20100021118A (ko) | 시트 전원인가장치 | |
KR20110134477A (ko) | 단일 통행 레인을 따라 안내되는 차량을 갖는 수송 장비 | |
KR102231715B1 (ko) | 콘크리트 매립형 궤도의 선로전환기 블록 쇄정장치 | |
US20190010664A1 (en) | Point switch, and railway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point switch of said type | |
JP2011012466A (ja) | 新交通システムの分岐装置 | |
KR20160049931A (ko) | 팬터그래프 장치 | |
CN115593446B (zh) | 随行轨道系统及轨道车辆 | |
CN106586424B (zh) | 一种多自由度运输小车导向机构 | |
CN200949014Y (zh) | 轮胎式集装箱起重机用滑触线机构 | |
JP4120882B2 (ja) | 有軌道台車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