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908Y1 - 근 적외선 식별장치 - Google Patents

근 적외선 식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908Y1
KR200238908Y1 KR2020000034914U KR20000034914U KR200238908Y1 KR 200238908 Y1 KR200238908 Y1 KR 200238908Y1 KR 2020000034914 U KR2020000034914 U KR 2020000034914U KR 20000034914 U KR20000034914 U KR 20000034914U KR 200238908 Y1 KR200238908 Y1 KR 2002389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sample
image
light
emitt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명섭
김홍조
박준용
최일훈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2020000034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9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9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908Y1/ko

Links

Landscapes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 적외선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암실환경을 만들기 위해 비투과성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시료(2)를 수용하기 위한 시료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임의의 파장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3)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3)를 통해 광원을 조사하여 맺히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흑백카메라(4)와; 인식된 화상을 화면을 통해 영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적외선 영역의 물질 특성 시험을 위해 조사되는 파장 광이 암실내에서는 특수필터 역할을 하는 발광다이오드의 파장 광에 시료가 갖는 색상중 해당하는 색상을 착출하여 얻어지는 가시영상을 흑백카메라로 감지하고, 감지된 영상신호는 모니터를 통해 시료로부터의 특정 파장의 감응성 시험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가증권의 인쇄물, 칼라 프린터 출력물, 필기구의 특성을 분석하여 위·변조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 적외선 식별장치{Discrimination apparatus using for infrared rays}
본 고안은 근 적외선 식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는 근 적외선 영역의 광특성을 가시적으로 간단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치를적용하여 적외선 영역의 물질 특성 시험과 특정 파장의 감응성 시험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가증권의 인쇄물, 필기구의 특성을 분석하여 위·변조 여부를 신속하면서 편리하게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 적외선 식별장치는 센서의 기술 발달로 도난방지기, 리모콘, 광통신 장비, 각종 자동화 설비와 같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근 적외선 센서(LED)의 광특성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비이다.
또한, 상기 근 적외선장치의 이용은 유가증권에 적용되는 특수잉크, 칼라 프린터용 잉크 종류, 각종 필기구의 특성에 따른 위조, 변조 여부 등을 판단하기 위하여 근 적외선 영역에서의 광특성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적외선 인식기술은 근 적외선과 원 적외선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근 적외선(Near IR) 인식 기술은 주로 화상으로 보여지는 것이 아니라, 시료에 적외선 광을 조사했을 때, 표준 백색판과 흑체의 반사율에 대비한 상대 신호값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분광기(Spectroscope-photo meter)나 각종 자동화 기기(CD, 자판기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원적외선의 인식 기술은 주로 물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영상으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사물의 온도 분포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근 적외선 영상 장비의 경우에는 다양한 파장을 가지는 할로겐 램프 등을 물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을 카메라 렌즈 앞부분에 부착된 필터에 의하여 특정 파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장비는 특정 필터를 사용해야 하고, 장비의 특성상 광량이 매우 적어 고감도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근 적외선을 이용하는 장치에 있어 특수 필터와 고감도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특수 필터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소자(LED)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소자가 갖는 광을 선택하는 방안과 선택된 광을 인식할 수 있는 CCD카메라를 적용하여 적외선 영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암실환경을 만들기 위해 비투과성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시료를 수용하기 위한 시료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임의의 파장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를 통해 광을 조사하여 맺히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흑백카메라; 인식된 화상을 화면을 통해 영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를 포함하여서 된 근 적외선 식별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근 적외선 식별장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실시예로 사용되기 위해 적외선 흡수잉크와 반사잉크를 혼합하여 인쇄한 시료사진(좌)과 본 고안의 장치를 통해 시료를 관측한 상태의 사진(우),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를 통해 각종 필기구의 잉크 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시료도(좌)와 본 고안의 장치를 통해 시료를 관측한 상태의 시료도(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시료
3: 발광다이오드 4: 흑백카메라
5: 모니터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시료(2)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구가 마련된 케이스(1)는 암실환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비투과성 재질로 제작되고,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는 임의의 파장 영역의 광을 조사하기 위한 적외선 발광다이오드(3)가 설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는 케이스(1) 내에 수용되는 시료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갖는 범위에서 다수개 설치되어 광원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발광다이오드를 통한 적외선으로 하여금 보여지는 이미지(가시 영상)를 인식할 수 있는 흑백카메라(4)가 설치된다. 여기서 흑백카메라(4)는 외부에 마련되는 모니터(5)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근 적외선 식별장치에 대하여 각각의 다양한 시료를 통해 얻는 가시 영상 및 여기에 적외선 광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 내의 적정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전원의 인가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는 케이스 내에 투입된 시료가 갖는 도형, 문자 등의 색상에 대하여 조사되는 광원과 대비되는 색상을 얻을 수 있는 특수필터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시료는 관찰 대상이 되는 피사체로서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으로 광원에서 차별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각 요소들의 특성을 생활에서 구현하자면, 아무 것도 보이지 않는 어두운 방안에 전구를 켜면 방안의 사물들은 다양한 색상이 나타나게 되나, 적색(단색광)을 가지는 빛을 켜게되면 적색과 흑색으로만 가시영역을 갖는 사물이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암실의 분위기에서 요구되는 파장의 특성을 갖는 발광다이오드로 광을 조사하여 흑백카메라로 감지한 영상을 모니터로 재현하게 되면, 근 적외선 영역의 특정 파장의 영상을 육안으로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케이스 내에서 조사되는 광원은 파장의 범위를 갖는 광원의 선택에 따라 적외선 광 분포도를 갖는 발광다이오드를 발광됨에 있어, 이때의 광원은 암실내에서 특수필터의 역할을 하여 가시영상은 근 적외선에 감응되는 흑백카메라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에 나타나게 함으로서 적외선 영상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여 도 3의(좌)와 같이 인쇄된 시료를 관찰하면 도 3의(우)와 같은 시료가 갖는 특성에 따라 근 적외선 색상이 필터링되어 관찰할 수 있는 가시영상이 얻어 진다.
또한, 여러 필기구를 사용한 서명날인은 도 4의(좌)와 같이 육안으로 비슷한 흑색으로 나타나지만, 본 고안의 장치를 이용하여 관찰된 시료는 도 5의(우)와 같이 필기구에 사용된 잉크 특성에 따라 근 적외선 영역에 감응되는 정도를 식별하여 백색, 회색, 흑색 등의 농담차이로 나타나게 되어 위조, 변조 등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3)에서 발광되어 시료에 조사하는 광원은 기존의 시료로부터 다양하게 조사시키는 할로겐 램프의 사용과 더불어 물체에 조사되 반사광을 카메라 렌즈 앞에 설치한 특수필터를 통해 특정파장만을 조사시키기 위한 고가 장비에 비하여, 조사되는 광량을 향상시키므로써 흑백카메라(4)만으로도 특정 가시영상물을 얻어 모니터(5)를 통해 식별이 가능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식별장치의 문제점인 고가의 카메라사용에 따른 비경제적인 단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파장을 여과시켜 고감도 카메라에 특정 가시영상을 얻기 위한 필터 등의 부수장비가 필요치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적외선 영역의 물질 특성 시험을 위해 조사되는 파장 광이 암실 내에서는 특수필터 역할을 하는 발광다이오드의 파장 광에 시료가 갖는 색상 중 해당하는 색상을 착출하여 얻어지는 가시영상을 흑백카메라로 감지하고, 감지된 영상신호는 모니터를 통해 시료로부터의 특정 파장의 감응성 시험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가증권의 인쇄물, 칼라 프린터 출력물, 필기구의 특성을 분석하여 위·변조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암실환경을 만들기 위해 비투과성 재질로 제작되고, 내부에 시료(2)를 수용하기 위한 시료투입구가 형성된 케이스(1)와;
    케이스(1)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임의의 파장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3)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3)를 통해 광원을 조사하여, 맺히는 이미지를 인식하는 흑백카메라(4)와;
    인식된 화상을 화면을 통해 영상으로 보여주는 모니터(5)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 적외선 식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400nm이하와 780nm이상의 파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 적외선 식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는 색상에 따라 결정되는 파장 광의 특성으로 시료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 적외선 식별장치.
KR2020000034914U 2000-12-13 2000-12-13 근 적외선 식별장치 KR2002389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14U KR200238908Y1 (ko) 2000-12-13 2000-12-13 근 적외선 식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914U KR200238908Y1 (ko) 2000-12-13 2000-12-13 근 적외선 식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908Y1 true KR200238908Y1 (ko) 2001-09-25

Family

ID=7306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914U KR200238908Y1 (ko) 2000-12-13 2000-12-13 근 적외선 식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9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6B1 (ko) * 2008-08-14 2009-06-15 크라제비전(주) 적외선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070467B1 (ko) 2011-01-19 2011-10-06 이형곤 답안 판독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판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6B1 (ko) * 2008-08-14 2009-06-15 크라제비전(주) 적외선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1070467B1 (ko) 2011-01-19 2011-10-06 이형곤 답안 판독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판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093B2 (en) First-order authentication system
RU2534367C2 (ru) Валидатор банкноты
JP4098237B2 (ja) カラーフォトセンサ
CN110494899B (zh) 发光安全特征及用于对其进行检测的方法和设备
US200700235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ty tag detection
US9619687B2 (en) Steganography with photo-responsive dyes
JP3827763B2 (ja) 赤外シンボル判別読取装置
KR101025359B1 (ko) 감지 장치
KR200238908Y1 (ko) 근 적외선 식별장치
JP6185801B2 (ja) 判定システム及び判定装置
EP0649524B1 (en) Light measurement apparatus
US10636239B2 (en) Handheld device and a method for validating authenticity of banknotes
US200401830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of an object
JP4471401B1 (ja) 帳票読取り装置および帳票検出方法
WO2017223099A1 (en) Authenticable digital code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1781176A (zh) 一种基于量子点的防伪检测方法
JP4628021B2 (ja) 画像検査装置
JP2002333817A (ja) ホログラム識別装置
JP3813212B2 (ja) 印刷物読み取り方法及び装置
WO2019198043A1 (en) Skin or hair treatment device for emitting high intense treatment light
JP2013089167A (ja) 識別装置
JP2018124133A (ja) フォトクロミック検出装置
EP07808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discrimination of banknotes and legal tender doc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