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84Y1 -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884Y1
KR200238884Y1 KR2019970045613U KR19970045613U KR200238884Y1 KR 200238884 Y1 KR200238884 Y1 KR 200238884Y1 KR 2019970045613 U KR2019970045613 U KR 2019970045613U KR 19970045613 U KR19970045613 U KR 19970045613U KR 200238884 Y1 KR200238884 Y1 KR 200238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pipe
oil filter
diesel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847U (ko
Inventor
오인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5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88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0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 F01M2001/105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venting or purifying means, e.g. of filters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f the purifica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장시간 주차시 오일 필터 내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리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의 바이패스 필터(131)의 윗쪽으로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수평의 오일 필터(150)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필터(131)의 유입측인 제2파이프(131a)에는 적어도 오일 필터(150)의 배출측 보다 높게 한 수직 파이프(10)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수직 파이프(10)의 중간에는 오일 필터 (150)의 내부와 통하는 유입 파이프(20)를 연결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를 제공하고 한 것이다.
[색인어]
오일 필터, 바이패스 필터, 오일 리턴

Description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
본 고안은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시간 주차시 오일 필터 내에 고여 있는 오일이 바이패스 필터를 통해 오일 팬으로 리턴되는 것을 막아 시동 초기에 발생하게 되는 오일 부족으로 터보 차저, 캠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혼합기를 실린더 내로 흡입하고, 압축, 착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팽창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고, 이 변환된 구동력을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켜 주행을 가능하게 한 것이며, 착화과정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배기 행정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부품들이 상호작용을 하게 되고, 이 상호작용을 통해 마찰이 일어나게 되며, 부품중 일부는 큰 하중을 받으면서 고속으로 마찰되는 경우가 많다.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부하는 엔진의 토오크 손실을 유발시키며, 또한 그 부품을 마모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고, 엔진의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윤활장치가 설치된다.
윤활장치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 팬의 오일을 오일 펌프의 흡입력과 토출력을 이용하여 흡입한 후 각 구동부위로 오일을 공급토록 함으로써, 윤활과 냉각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젤 엔진의 오일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19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드레인 콕(112)이 설치되어 있는 오일 팬(110)의 내측에 오일 스트레이너(200)가 오일 펌프(130)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고, 그 토출측에 오일이 오일 쿨러(140)를 경유하여 오일 필터(150)의 흡입측에 유입되도록 한다.
오일 필터(150)의 토출측에 제1가지관(161)과 제2가지관(162) 및 제3가지관(163)이 구비된 분류 파이프(160)를 연결하고, 제1가지관(161)이 제1로커축(170)에 연결되고, 제2가지관(162)이 제2로커축(170a)에 연결되고, 제3가지관(163)이 크랭크 축(182)과 커넥팅 로드(181) 및 피스톤(180)에 오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도는 일반적인 디젤 엔진의 오일 필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펌프 하우징의 저면에 수직의 바이패스 필터(1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 필터(131)의 상부 일측에 수평의 오일 필터(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 필터(150)의 내측에는 제1파이프(150a)가 수평으로 펌프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이패스 필터(131)에는 제2파이프(131a)와 체크 밸브(132)가 구비되어 있는 제3파이프(132d)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132)는 스프링(132a)과 볼(132b)로 구비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 제4파이프(132c)가 절곡되어 개방부가 오일 팬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90a는 실린더 헤드이다.
엔진 오일이 순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엔진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펌프(130)의 구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흡입력에 의해 오일 팬(110)에 채워져 있는 오일은 오일 스트레이너(200)를 거치면서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면서 오일 펌프(130)의 흡입측으로 유입된다.
흡입측으로 유입된 오일은 오일 쿨러(140)를 거쳐 냉각된 후 오일 필터(150)를 경유하여 분류 파이프(160)에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제1가지관(161)과 제2가지관(162) 및 제3가지관(163)을 통해 각 구동부위로 공급되어 윤활과 냉각을 시키고 오일 팬으로 리턴되어 재순환된다.
리턴되는 오일은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필터(150)내로 유입된 후 그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제1파이프(14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고, 이어 그 저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제2파이프(131a)를 통해 바이패스 필터(131)내로 유입된다.
바이패스 필터(131)내로 유입된 오일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제3파이프(132d)와 체크 밸브(132) 및 제4파이프(132c)를 통해 오일 팬으로 리턴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엔진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장시간 있게 되면 오일 필터내의 오일이 그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바이패스 필터의 제2파이프를 통해서 전량이 오일 팬으로 리턴되어 비어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시동을 걸게 되면 오일 팬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은 오일 필터의 내부를 다 채운 다음 각 구동부위로 공급되기 때문에 이때의 지연된 시간, 즉 오일 필터에 오일이 차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에는 터보 차저, 캠 등과 같은 구동부위에 오일이 공급되지 못해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장시간 주차시 오일 필터 내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리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직의 바이패스 필터(131)의 윗쪽으로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수평의 오일 필터(150)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필터(131)의 유입측인 제2파이프(131a)에는 적어도 오일 필터(150)의 배출측 보다 높게 한 수직 파이프(10)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수직 파이프(10)의 중간에는 오일 필터(150)의 내부와 통하는 유입 파이프(20)를 연결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젤 엔진의 오일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일반적인 디젤 엔진의 오일 필터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리턴 방지장치가 설치된 디젤 엔진의 오일 필터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리턴 방지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유입 파이프 12 : 암나사부
20 : 수직 파이프 22 : 수나사부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리턴 방지장치가 설치된 디젤 엔진의 오일 필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 리턴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실린더 블럭(19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오일 팬(110)의 내측에 오일 스트레이너(200)가 오일 펌프(130)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있고, 이 오일 펌프(130)의 흡입력으로 오일이 오일 쿨러(140)를 경유하여 오일 필터(150)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오일 필터(150)의 배출측에 분류 파이프(160)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 제1로커측(170)과 제2로괴축(170a) 및 크랭크 축(182)으로 오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펌프 하우징의 저면에 수직의 바이패스 필터(13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바이패스 필터(131)의 일측에 수평의 오일 필터(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오일 필터(150)의 배출측에는 제1파이프(150a)가 수평으로 펌프 하우징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이패스 필터(131)의 상부에는 제2파이프(131a)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132a)과 볼(132b)로 구비된 체크 밸브(132)가 제3파이프(132d)에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오일 필터(150)에서 나온 오일이 일부 들어갈 수 있는 바이패스 필터(131)의 제2파이프(131a)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직 파이프(10)를 연결하고, 이 수직 파이프(10)의 중간에 수평으로 유입 파이프(20)를 연결하면서 한쪽을 오일 필터(150)의 배출측, 즉 제1파이프(150a) 내에 배치시킨다.
이때의 수직 파이프(10)와 유입 파이프(20)는 각각의 암나사부(12)와 수나사부(22)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구조로 연결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통형의 파이프를 사용하였으나, 오일을 통과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의 파이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수직 파이프(10)의 높이는 오일 필터(150) 높이의 9할을 차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엔진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오일 펌프(130)의 구동으로 각 구동부위로 오일이 공급되는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엔진의 시동을 끈 상태에서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각 구동부위로 공급되었던 오일이 리턴되는데, 이때 오일 필터(150)내에 채워져 있던 오일이 리턴되기 위해서는 유입 파이프(20) →수직 파이프(10) →제2파이프(131a)를 통해 바이패스 필터(131)로 유입된 후 오일 팬으로 보내지게 되는 경로를 거치게 되므로, 오일 필터(15)의 내부에는 항상 유입 파이프(20)가 위치되는 높이까지는 오일이 채워져 있게 된다.
따라서, 엔진 시동 초기에 오일 필터에 오일을 채우는데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되므로, 터보 차저, 캠 등과 같은 구동부위에 신속하게 오일을 공급하지 못해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엔진 정지 후에도 오일 필터 내에 일정량의 오일이 항상 남아있게 되어 엔진 시동 초기에 오일의 공급 지연으로 발생하게 되는 마모를 최소화함으로써, 터보 차저, 캠 등과 같은 구동부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직의 바이패스 필터(131)의 윗쪽으로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수평의 오일필터(150)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필터(131)의 유입측인 제2파이프(131a)에는 적어도 오일필터(150)의 배출측 보다 높게 한 수직 파이프(10)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수직 파이프(10)의 중간에는 오일 필터(150)의 내부와 통하는 유입 파이프(20)를 연결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오일 필터의 오일 리턴 방지장치.
KR2019970045613U 1997-12-31 1997-12-31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KR200238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613U KR200238884Y1 (ko) 1997-12-31 1997-12-31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613U KR200238884Y1 (ko) 1997-12-31 1997-12-31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47U KR19990032847U (ko) 1999-07-26
KR200238884Y1 true KR200238884Y1 (ko) 2001-12-28

Family

ID=5389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613U KR200238884Y1 (ko) 1997-12-31 1997-12-31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8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50B1 (ko) * 2013-11-27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압 연동 유로를 갖춘 오일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84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3095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ry sump lubricating system
EP0809004A1 (en) V type diesel engine
CN101424201B (zh) 挡油盘
KR200238884Y1 (ko) 디젤엔진용오일필터의오일리턴방지장치
EP0239303A2 (en) Reciprocatory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277044C (zh) 内燃机中润滑油通道的结构
KR100410497B1 (ko) 자동차의 윤활장치
KR19980038434U (ko) 엔진 윤활장치
EP0242044B1 (en) Gas compressors
KR100221729B1 (ko) 실린더 헤드 윤활용 오일공급라인
KR100401918B1 (ko) 실린더 헤드 오일의 드레인 구조
KR0139576Y1 (ko) 자동차 엔진윤활장치
CN2040149U (zh) 机动车发动机预润滑加油机
KR100380050B1 (ko) 엔진 오일 공급 시스템
KR19980010436U (ko) 차량의 엔진오일 드레인 방지구조
KR101154392B1 (ko) 엔진의 오일팬 결합장치
KR100271438B1 (ko) 자동차의 오일 팬
KR19990049965A (ko) 자동차의 엔진 윤활장치
KR19980040132U (ko) 윤활장치의 오일 스트레이너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19980045646U (ko) 엔진 윤활장치
KR100240388B1 (ko) 차량의 균일한 오일압력 유지장치
KR19990052772A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팬
JPH0463202B2 (ko)
JPS58150014A (ja) 2サイクル燃料噴射機関の潤滑油供給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