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776Y1 -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8776Y1 KR200238776Y1 KR2020010010500U KR20010010500U KR200238776Y1 KR 200238776 Y1 KR200238776 Y1 KR 200238776Y1 KR 2020010010500 U KR2020010010500 U KR 2020010010500U KR 20010010500 U KR20010010500 U KR 20010010500U KR 200238776 Y1 KR200238776 Y1 KR 2002387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bstacle
- sensing means
- recognition means
- recognition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바디와; 바디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며,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바디상에 마련되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유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인식수단과; 감지수단과 인식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인식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기와; 감지수단 및 인식수단 그리고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바디상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보행중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고 이를 인식수단을 통해 청각이나 진동 감각을 통해 인지함으로써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자의 안전하고 신속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자가 보행(步行)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지팡이로 일정거리 범위내의 보도(步道)면을 두드리면서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면서 보행을 행하고 있는 바, 이와같이 지팡이를 통해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정확하게 장애물을 판단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과, 신속한 보행을 도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도 블록상에 자성체를 마련하고, 안내장치 즉, 지팡이의 하단부에 자성체를 인식하여 소리를 발하는 센서를 마련함으로써 시각 장애자의 길 안내를 도모하고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는 바, 이러한 안내장치는, 보도 블록을 전체적으로 교환하여야 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감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애물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 즉, 시각 장애자에게 바로 인식시킴으로써 시각 장애자의 보행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신속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바디 11 : 손잡이부
20 : 감지수단 20' : 초음파 탐지기
20' : 포토센서 30 : 인식수단
30' : 송신기 30' : 진동모터
40 : 제어기 50 : 배터리
S : 스위치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는, 상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며,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바디상에 마련되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유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인식수단과; 상기 감지수단과 인식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인식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기와; 상기 감지수단 및 인식수단 그리고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바디상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감지수단은, 바디의 일측 전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초음파 탐지기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감지수단은, 바디의 일측 전면에 마련되어 전방을 향해 소정 각도 범위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빔을 수광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마련된 포토센서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인식수단은, 바디의 손잡이부에 내장 설치되어 장애물의 감지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송신기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바디의 손잡이부에 내장 설치되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모터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는, 바디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바디(body;10)와 감지수단(20), 인식수단(30) 및 제어기(40) 그리고 배터리(50)로 대별된다.
바디(10)는 통상적인 지팡이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손잡이부(11)가 마련된다.
이 손잡이부(11)는 바디(10)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나사나 억지 끼움 방식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감지수단(20)는 바디(10)의 일측 하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감지수단(20)은 바디(1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도 무방하지만, 외관상 바디(10) 내측에 내장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감지수단(20)으로는 다양한 기기가 채용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주파수를 주사하고 반사된 주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초음파 탐지기(20')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광을 통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수,발광소자를 갖는 포토 센서(20')를 채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인식수단(30)은, 감지수단(20)에 의해 전방의 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이를 사용자 즉, 시각 장애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인식수단(30)으로는, 바디(10)의 손잡이부(11)에 장애물의 감지상태를 청각(聽覺)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송신기(30')를 내장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잡이부(11)에 진동모터(30')를 내장 설치하게 되면, 장애물의 감지시 진동을 부여하여 시각 장애자가 진동을 느낌으로써 장애물의 감지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될 것이다.
이와같이 인식수단(30)으로 진동모터(30')를 채용할 경우에는 소리로 인한 소음 발생이 없기 때문에 일반인에게도 소리에 의한 영향을 주지 않게되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수단(30)을 손잡이부(11)에 마련할 경우에는 설치의 용이성 및 교환 수리 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1)를 바디(10)를 중심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즉, 손잡이부(11)와 바디(10) 사이에 서로 암나사와 수나사를 형성하거나 또는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설치하여 조립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제어기(40)는 감지수단(20)과 인식수단(30)을 상호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감지수단(20)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될 때 인식수단(30)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50)는 바디(10)상에 내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감지수단(20)과 인식수단(30) 그리고 제어기(4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때 배터리(50)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즉, 사용할 때에만 배터리(50)를 통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디(10)상에는 배터리(50)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S)가 마련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각 장애자가 보행함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S)을 온(ON)시킨 상태에서 보행을 행하게 되면, 감지수단(20)을 구성하고 있는 초음파 탐지기(20')나 포토센서(20')가 일정거리 범위내의 장애물 유무를 감지한다.
이때 감지수단(20)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면, 제어기(40)를 통해 인식수단(30) 즉, 송신기(30')나 진동모터(30')를 작동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청각또는 손을 통한 진동 감각을 느낌으로써 전방의 장애물을 인식하여 이를 벗어나 보행을 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신속한 보행을 행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주지할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에 의하면, 보행중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고 이를 인식수단을 통해 청각이나 진동 감각을 통해 인지함으로써 장애물과의 접촉에 의한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 장애자의 안전하고 신속한 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 상부에 손잡이가 마련된 바디와;상기 바디의 일측 하면에 마련되며,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상기 바디상에 마련되며,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감지유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인식수단과;상기 감지수단과 인식수단 사이에 마련되어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인식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기와;상기 감지수단 및 인식수단 그리고 제어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바디상에 마련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바디의 일측 전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는 초음파 탐지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바디의 일측 전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장애물을 향해 소정각도 범위로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빔을 수광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마련된 포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바디의 손잡이부에 내장 설치되어 장애물의 감지상태를 청각적으로 인식시키는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은, 상기 바디의 손잡이부에 내장 설치되며,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바디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500U KR200238776Y1 (ko) | 2001-04-07 | 2001-04-07 |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0500U KR200238776Y1 (ko) | 2001-04-07 | 2001-04-07 |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8776Y1 true KR200238776Y1 (ko) | 2001-10-11 |
Family
ID=7306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0500U KR200238776Y1 (ko) | 2001-04-07 | 2001-04-07 |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8776Y1 (ko) |
-
2001
- 2001-04-07 KR KR2020010010500U patent/KR2002387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8582B1 (ko)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
US8514100B2 (en) | Vehicle approach warning system | |
WO2005082016A3 (en) | Body force alarm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00127007A (ko) |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 |
KR100615670B1 (ko) |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 |
KR200238776Y1 (ko) |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 |
CN115721533A (zh) | 步行信息提供系统 | |
JP4871927B2 (ja) | 色識別ステッキ | |
KR102113560B1 (ko) | 시각 장애인용 경보유닛 | |
KR102496149B1 (ko) | 장애물 감지 기능을 갖는 보조보행기 | |
KR102279982B1 (ko) |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 |
JPH06343669A (ja) | 視覚障害者用杖 | |
KR200203332Y1 (ko) |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 |
KR102026614B1 (ko) | 소리를 감지하여 진동으로 정보를 알려주는 진동벨트 | |
KR100652666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101632169B1 (ko)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길안내 시스템 | |
KR100388023B1 (ko) | 시각장애인 안내용 전자감지 지팡이 | |
JP2003144482A (ja) | 情報体感器 | |
KR101928639B1 (ko) | 안전사고방지용 스마트폰 케이스 | |
JPH06278982A (ja) | エスカレータ | |
JP2019170533A (ja) | 靴 | |
KR20210004730A (ko) | 다기능 지팡이 | |
KR20200141611A (ko) | 보행 안전 장치 | |
JP2003131556A (ja) | 視覚障害者用の歩行案内システム | |
KR200325179Y1 (ko) | 시각 장애인용 보행안내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