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61Y1 - 화물결속구 - Google Patents

화물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61Y1
KR200238661Y1 KR2020010010913U KR20010010913U KR200238661Y1 KR 200238661 Y1 KR200238661 Y1 KR 200238661Y1 KR 2020010010913 U KR2020010010913 U KR 2020010010913U KR 20010010913 U KR20010010913 U KR 20010010913U KR 200238661 Y1 KR200238661 Y1 KR 200238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andle
belt
fixing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연
Original Assignee
이복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연 filed Critical 이복연
Priority to KR202001001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61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결속하는 화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측 핸들과 고정편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지지보강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화물 결속구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측 핸들과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부측 핸들의 견고성을 제공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하부측 핸들의 양측편에 각각 장공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턱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스프링으로 탄발 전진되게 착설하고, 상기 하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받침턱과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결착공을 격리되게 형성한 래칫의 반경보다 큰 돌환부를 연장 형성하며, 반호상의 권회봉으로 상/하부측 핸들과 이들의 내단 사이에 래칫을 끼워 축착하여 이루어진 화물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핸들의 양측편의 외주연을 소정길이만큼 굴곡시켜 구성한 플랜지와, 상기 상부측 핸들에 끼워지는 고정판의 고정턱에 소정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보강 돌기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물 결속구{A cargo bending apparatus}
본 고안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안정되게 결속하는 화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측 핸들과 고정편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지지보강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화물 결속구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일반적인 화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결속구는 상/하부측 핸들(100, 300)의 양측편(110, 310)에 각각 장공(120, 320)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턱(210, 410)을 갖는 고정판(200, 400)을 각각 탄성부재(220, 420)로 탄발 전진되게 착설한다.
상기 하부측 핸들(300)의 내단 외주연에는 받침턱(330)과 고정홈(340)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100)의 내단 외주연에는 결착공(510)을 격리되게형성한 래칫(500)의 반경보다 큰 돌환부(130)를 연장 형성하며, 반호상의 권회봉(600)으로 상/하부측 핸들(100, 300)의 양측편(110, 310)과 이들의 내단 사이에 래칫(500)을 끼워 축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물 결속구는 트럭의 적재함 일측 고정고리에 하부측 핸들에 결합되어 있는 벨트를 끼워 고정하고 길이가 긴 벨트는 그 끝단측 고리를 적재함의 타측에 고정한 후, 결속대상의 화물 상부를 통과 시킨다음, 벨트의 한단을 권회봉의 사이 간격부에 끼우고 상부측 핸들을 수회 회동시켜 상기 권회봉을 일측으로 회전 시킴으로써 상기 벨트가 상기 권회봉의 외면에 감착되도록 하여 주면 결속벨트의 길이가 짧아 지면서 화물을 결속 하게된다.
그러나 상기의 결속구는 상부측 핸들이 수회 회동하여 결속벨트를 권회봉에 감착하므로 반복적인 전단력에 의해 상부측 핸들이 자주 절단되었고 또한 상부측 핸들이 회동할 때 상기 상부측 핸들의 고정판의 고정턱이 랫치의 기어치를 물면서 탄발 유동하며 회동하므로 상기 고정턱이 자주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측 핸들과 고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부측 핸들의 견고성을 제공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물 결속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하부측 핸들의 양측편에 각각 장공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턱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스프링으로 탄발 전진되게 착설하고, 상기 하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받침턱과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결착공을 격리되게 형성한 래칫의 반경보다 큰 돌환부를 연장 형성하며, 반호상의 권회봉으로 상/하부측 핸들과 이들의 내단 사이에 래칫을 끼워 축착하여 이루어진 화물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핸들의 양측편의 외주연을 소정길이만큼 굴곡시켜 구성한 플랜지와, 상기 상부측 핸들에 끼워지는 고정판의 고정턱에 소정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보강 돌기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측 핸들 및 권회봉에 끼워져 화물을 결속하는 벨트상에 이동이 자유롭고 그 상부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밸트보호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화물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쇠와 벨트결합시 고무재질이며 소정탄성력을 지닌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상부측 핸들에 구비되는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 도 3b,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와 걸림쇠가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와 걸림쇠가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일반적인 화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측 핸들 11 : 상부측 핸들 양측편
12, 32 : 장공 13 : 돌환부
14 : 플랜지 20, 40 : 고정판
21, 41 : 고정턱 22, 42 : 탄성부재
23 : 보강돌기 30 : 하부측 핸들
31 : 하부측 핸들 양측편 33 : 받침턱
34 : 고정홈 50 : 래칫
51 : 결속공 52 : 기어치
60 : 권회봉 70 : 걸림쇠
80 : 벨트 81 : 벨트보호대
82 : 벨트삽입홀 83 : 걸림돌기
90 : 완충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화물 결속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를 나타낸 분해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상부측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상부측 핸들에 구비되는 고정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보호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와 걸림쇠가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결속구의 벨트와 걸림쇠가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측 핸들(10)의 양측편(11)의 외주연을 소정길이만큼 굴곡시켜 플랜지(14)를 형성하고 상/하부측 핸들(10, 30)의 양측편(11, 31)에 각각 장공(12, 32)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턱(21, 41)을 갖는 고정판(20, 40)을 각각 탄성부재(22, 42)로 탄발 전진되게 착설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10)의 양측편(11)에 구비된 고정판(20)의 고정턱(21)에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돌기(23)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하부측 핸들(30)의 내단 외주연에는 받침턱(33)과 고정홈(3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30)의 내단 외주연에는 결착공(51)을 격리되게 형성한 래칫(50)의 반경보다 큰 돌환부(13)를 연장 형성하며, 반호상의 권회봉(60)으로 상/하부측 핸들(10, 30)의 양측편(11, 31)과 이들의 내단 사이에 래칫(50)을 끼워 축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권회봉(60) 및 하부측 핸들(30)에 벨트(80)가 끼워지고 그 벨트(80)상에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양단에 벨트(80)가 삽입되어지는 벨트삽입홀(82)이 구비된 벨트보호대(81)가 구비된다.
이는 벨트(80)에 의해 화물결속시 화물의 모서리부에 의해 상기 벨트(8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벨트보호대(81)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돌기(83)를 구비하여 화물결속시 벨트(8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화물을 결속할 수가 있다.
상기 벨트(80)는 고무, 플라스틱, 가죽, 종이등의 재질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벨트(80)의 일단에 구비된 걸림쇠(70)는 화물차의 적재함일측에 고정되는데 화물을 결속한 후 이동시 화물의 유동에 의해 탄성력이 없는 벨트(80)가 늘어나면 원상복귀가 안되 실은 화물의 유격이 발생되어 화물의 수송시 잦은 사고가 발생되므로 상기 벨트(80)와 걸림쇠(70)를 고무재질인 완충부재(90)에 의해 연결하여 소정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측 핸들(10)을 작동시키면 고정판(20)은 스프링(22)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어 이들의 양측 고정턱(21)이 각기 래칫(50)의 기어치(52)에 물리는 상태가 된다.
이 때 하부측 핸들(30)을 한손으로 고정되게 잡고 다른손으로는 상부측 핸들(10)의 파지부를 잡아 상부측 핸들(10)을 하부측 핸들(30)과 접하도록 회동시키면 고정판(20) 양측의 고정턱(21)이 각기 래칫(50)에 형성된 기어치(52)의 경사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또 하부측 핸들(30)의 고정판(40) 양측 고정턱(41)이 기어치(52)에 물려 있기 때문에 래칫(50)은 회전되지 않고 상부측 핸들(10)만 회동된다.
상기 상부측 핸들(10)을 하부측 핸들(30)과 접하도록 회동시킨 다음 다시 상부측 핸들(10)을 상측으로 전개되게 회동시키면 상기 상부측 고정판(20)의 고정턱(21)이 래칫(50)의 기어치(52)에 물린 상태에서 기어치(52)의 경사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래칫(50)이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권회봉(60)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상기 권회봉(60) 사이의 간격부를 통해 끼워져 있는 벨트가 권회봉(60)이 회전되는 만큼 감겨져 화물을 결속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고정턱(21)이 래칫(50)의 기어치(52)에 물려 상기 래칫(50) 및 권회봉(60)을 회전시키며 전단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고정턱(21)에 형성된 보강돌기(23)는 전단 단면적을 넓혀 전단응력을 작게 받도록 하여 전단력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상기 상부측 핸들(10)의 양측편(11)에서 탄발적으로 전진할 때 래칫(50)의 기어치(52)에 상기의 고정판(20)의 고정턱(21)이 좌우유동없이 물리도록 상기 고정판(20)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상부측 핸들(10)의 외주연에 절곡된 플랜지(14)는 상기 상부측 핸들(10)의 상하 회동시 전단 및 횡단력을 받는데 상기 상부측 핸들(10)의 양측편(11)의 외주연에 소정 길이만큼 절곡시켜 즉, 전단 및 횡단력에 의한 하중방향의 면적을 넓혀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서 전단 및 횡단력에 의한 상부측 핸들(10)의 양측편(11)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측 핸들과 고정편의 구조를 개선하여 그 지지보강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켜 화물 결속구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하부측 핸들의 양측편에 각각 장공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고정턱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스프링으로 탄발 전진되게 착설하고, 상기 하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받침턱과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상부측 핸들의 내단 외주연에는 결착공을 격리되게 형성한 래칫의 반경보다 큰 돌환부를 연장 형성하며, 반호상의 권회봉으로 상/하부측 핸들과 이들의 내단 사이에 래칫을 끼워 축착하여 이루어진 화물 결속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핸들의 양측편의 외주연을 소정길이만큼 굴곡시켜 구성한 플랜지와, 상기 상부측 핸들에 끼워지는 고정판의 고정턱면에 소정길이만큼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한 보강돌기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결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핸들 및 권회봉에 끼워져 화물을 결속하는 벨트상에 이동이 자유롭고 그 상부면에 다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밸트보호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결속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일단에 구비되어 화물차의 일측에 고정되는 걸림쇠와 벨트결합시 고무재질이며 소정탄성력을 지닌 완충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결속구.
KR2020010010913U 2001-04-17 2001-04-17 화물결속구 KR200238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13U KR200238661Y1 (ko) 2001-04-17 2001-04-17 화물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913U KR200238661Y1 (ko) 2001-04-17 2001-04-17 화물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61Y1 true KR200238661Y1 (ko) 2001-10-26

Family

ID=7309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913U KR200238661Y1 (ko) 2001-04-17 2001-04-17 화물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6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35B1 (ko) * 2014-04-18 2014-08-13 주식회사 카스글로벌 화물고정용 벨트의 결속장치
KR101572728B1 (ko) * 2013-12-17 2015-12-01 박근식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220127972A (ko) 2021-03-12 2022-09-20 정성렬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KR20220127969A (ko) 2021-03-12 2022-09-20 정성렬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728B1 (ko) * 2013-12-17 2015-12-01 박근식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101429435B1 (ko) * 2014-04-18 2014-08-13 주식회사 카스글로벌 화물고정용 벨트의 결속장치
KR20220127972A (ko) 2021-03-12 2022-09-20 정성렬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KR20220127969A (ko) 2021-03-12 2022-09-20 정성렬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38321A (en) Strap tensioning tool
EP2450156B1 (en) Collapsible saw horses
US7231693B2 (en) Strap-tensioning device with tension indicator
AU2012309240B2 (en) Side-loading ratchet device
DE3906486A1 (de) Gleitschutzkette
KR200238661Y1 (ko) 화물결속구
CN113167074A (zh) 伸缩式边缘保护柱
US7490387B2 (en) Rope or cable retainer
WO2012122218A2 (en) Strap tensioning system
DE10210351C1 (de) Liftmechanismus für eine Reinigungsvorrichtung eines Trockenrasierapparates
US5398385A (en) Cargo transport accessory
US2977158A (en) Traction device
DE102009004805A1 (de) Gleitschutzvorrichtung mit Felgenanbindung
US4439946A (en) Booster springs for coil spring trap
US3095574A (en) Handle lock for stapling devices
CA2484135C (en) Locking clip
GB1577940A (en) Endless belt conconveyors
KR19980065199U (ko) 화물 결속구
AU712395B2 (en) A restraint
CN218431892U (zh) 一种安全型捆绑固定装置
US20100125986A1 (en) Locking Mechanism for A Tie Down
KR101568152B1 (ko) 벨트 조임장치
KR200439949Y1 (ko) 벨트 안전 보완장치
EP1331109A2 (de) Gleitschutzkette
SE455391B (sv) Anslutningsdel for en streckningsanordning for streckning av band, kedjor och likn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