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11Y1 - 건축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건축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11Y1
KR200238511Y1 KR2020010010820U KR20010010820U KR200238511Y1 KR 200238511 Y1 KR200238511 Y1 KR 200238511Y1 KR 2020010010820 U KR2020010010820 U KR 2020010010820U KR 20010010820 U KR20010010820 U KR 20010010820U KR 200238511 Y1 KR200238511 Y1 KR 200238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interior material
unit
building
uni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식 filed Critical 이상식
Priority to KR2020010010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11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각 내장재 단위편(10)이 탄성을 갖는 연결부(20)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별도의 공정없이 폭 방향으로 일체화됨으로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을 일체화시키는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내장재로 사용되는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일체화된 내장재가 곡면을 포함한 여러곳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내장재{INTERIOR DECORATION MATERIALS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각 내장재 단위편이 탄성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하여 각각의 내장재가 별도의 공정없이 폭 방향으로 일체화됨으로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건축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는 목재로 형성되고 일정한 형상을 갖는 단위편으로 구성되어 실내의 내벽 또는 바닥에 각각 설치된다.
종래에는 목재로 된 각 단위편의 양측면에 삽입단과 삽입홈을 각각 형성하여 서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공에 따른 생산원가가 상승되었음은 물론, 시공작업에서도 시공시간이 지연되어 인건비와 시공에 어려운점이 많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시트(1)의 상면에 부직포(2)를 부착시키고, 이 부직포(2)의 상면에 목재로 된 단위편(3)을 부착하여 이루어진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함으로써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목재편(3)이 합성수지시트(1)에 부착된 부직포(2)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합성수지시트(1)를 벽면 또는 바닥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시공이 완료될 수 있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는 각각의 단위편(3)이 목재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각각의 단위편(3)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합성수지시트(1)와 부직포(2)를 겹쳐 부착한 후에 그 상면에 상기 각 단위편(3)을 부착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각각의 단위편(3)을 하나하나 부직포(3)의 상면에 정렬시켜 부착시키는 작업이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품수와 공정수가 많아 제작비용 및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 단위편(3)이 부착된 합성수지시트(1)를 실내의 기둥 또는 모서리, 곡면 등과 같이 일정하지 않은 실내에 설치할 경우에 각 단위편(3) 사이가 유연하게 구부러지지 않아 원만한 시공이 곤란하였고, 특히 기둥과 같은 곡면에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각 단위편(3)이 부직포(2)로부터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내장재로 사용되는 각각의 단위편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나무의 느낌을 연출하면서 습기에 강하고 방음 및 단열에 효과적이며, 각각의 단위편을 일체화시키는 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일체화된 내장재가 곡면을 포함한 여러곳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내장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장재 단위편 12 : 하단부
20 : 연결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각의 단위편으로 형성되어 건물 실내에 설치되도록 된 건축용 내장재에 있어서,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된 각 내장재 단위편의 측면 하단부가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의 연결부위가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경화시 탄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의한 내장재의 사용상태도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는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된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측면 하단부(12)가 연결부(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을 연결하는 연결부(20)는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연결부위가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경화시 탄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축용 내장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은 연결부(20)에 의해 일체화되도록 압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건축용 내장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압출되며,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은 각 측면 하단부(12)가 상기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압출 성형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내장재 단위편(10)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습기에 강하고 방음 및 단열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은 그 저면이 평편하게 형성되고 상부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는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이 일체화되도록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20)는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을 연결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경화되었을 때 자체 탄성을 갖게 되어 그 연결부위가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0)는 연질의 폴리스티렌(POLYSTYRENE, SBS ; STYRENE BUTADIENE STYRENE)의 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화되도록 압출 성형되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은 상호 일체화되어 한장의 판재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연결부(20)에 의해 일체화되게 연결되도록 압출 성형하게 되면,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을 성형한 후에 다시 서로 연결시키는 작업이 삭제될 수 있게 되어 제작공정이 현저하게 단축될 수 있고, 부품수가 삭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연결부(20)에 의해서만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위편(10)을 압출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위편(10)을 성형하는 장치로부터 각각의 단위편(10)이 압출 성형되어 다음 연결하는 장치로 유입되면 각각의 단위편(10)은 연결장치의 금형 사이로 인출되면서 상기 연결부(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금형사이로 통과하는 각 단위편(10) 사이로 상기 연결부(20)가 주입되면서 각각의 단위편(10)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연결부(2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직각의 모서리부위를 갖는 벽체에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저면을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부(20)가 직각의 모서리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20)가 모서리부위에 위치하게 되고 양측의 내장재 단위편(10)이 각 벽체에 밀착되면 상기 연결부(20)는 굽힘이 자유롭게 탄성을 구비하여 형성된 관계로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이 벽체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또는 만곡진 모서리부위의 외주면에 연결부(20)에 의해 상호 일체화되어 연결된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을 밀착시키게 되면 각 연결부(20)가 유연하게 구부러지게 되어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장재를 기둥으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부(20)의 탄성에 의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내장재는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각 내장재 단위편이 탄성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내장재가 별도의 공정없이 폭 방향으로 일체화됨으로 각각의 단위편을 일체화시키는 제작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시공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되며, 내장재로 사용되는 각각의 단위편을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일체화된 내장재가 벽면이나 천정, 기둥, 모서리와 같은 곡면을 포함한 여러곳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장재가 합성수지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습기에 강하고 방음 및 단열이 우수하게 되어 사우나, 목욕탕, 휴게실, 화장실의 벽면이나 천정, 기둥, 모서리 등의 마감재 또는 장식재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각각의 단위편으로 형성되어 건물 실내에 설치되도록 된 건축용 내장재에 있어서,
    인조목 합성수지재로 된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측면 하단부(12)가 연결부(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내장재 단위편(10)이 폭 방향으로 연이어 일체화되게 길이방향으로 압출 성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각 내장재 단위편(10)의 연결부위가 굽힘이 자유롭도록 경화시 탄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내장재.
KR2020010010820U 2001-04-17 2001-04-17 건축용 내장재 KR200238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20U KR200238511Y1 (ko) 2001-04-17 2001-04-17 건축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20U KR200238511Y1 (ko) 2001-04-17 2001-04-17 건축용 내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11Y1 true KR200238511Y1 (ko) 2001-10-11

Family

ID=7309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20U KR200238511Y1 (ko) 2001-04-17 2001-04-17 건축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916B1 (ko) 돔형 구조물
KR200238511Y1 (ko) 건축용 내장재
KR20090124644A (ko) 조립식 구조물 및 그 축조방법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JP3268728B2 (ja) 軽鉄間仕切壁の下地構造及び下地施工方法
US2325254A (en) Partition construction
KR200368280Y1 (ko) 볼트은폐식 외장패널
KR101893941B1 (ko) 건축용 패널
KR200423396Y1 (ko) 건축물 벽면 시공용 거푸집 구조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KR200232406Y1 (ko) 조립식 건축용 패널
KR200359651Y1 (ko) 코너용 패널
KR100354718B1 (ko) 폴리우레탄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190131659A (ko) 목재블록벽체
KR100934633B1 (ko) 건축용 황토 폼
KR0131314Y1 (ko) 콘크리트 유니트욕실용 욕실벽판
JP3612580B2 (ja) 押出成形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983Y2 (ko)
KR200270267Y1 (ko) 벌집형 패널 보강부재
KR200196686Y1 (ko) 프레임부재에 치장벽돌이 결합된 흡음형 방음벽용복합소재 방음블럭
JP2582155Y2 (ja) パネルの接合構造
KR200311267Y1 (ko) 건물 외벽 치장용 샌드위치 판넬
JPH044109Y2 (ko)
KR200159615Y1 (ko) 천정재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