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08Y1 - 압축식 감용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식 감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08Y1
KR200238508Y1 KR2020010010705U KR20010010705U KR200238508Y1 KR 200238508 Y1 KR200238508 Y1 KR 200238508Y1 KR 2020010010705 U KR2020010010705 U KR 2020010010705U KR 20010010705 U KR20010010705 U KR 20010010705U KR 200238508 Y1 KR200238508 Y1 KR 200238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plate
chamber
waste styrofoam
stag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복
최호준
Original Assignee
황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복 filed Critical 황병복
Priority to KR2020010010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08Y1/ko

Links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식 감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스티로폼등을 용이하게 압축 감용시킬 수 있도록 폐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와,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키는 1차 압축부와, 다시 수평방향으로 압축시키는 2차 압축부와, 폐스티로폼의 내재 공기를 배출시키며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을 유지시키는 정체실로 구성된 압축식 감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압축식 감용 장치에 의하여 폐스티로폼이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으로 용이하게 압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식 감용 장치{Device for reducing volume of wasted styrene foam}
본 고안은 압축식 감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극률이 큰 폐스티로폼을 재활용 가능하게 압축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식 감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티로폼 또는 폴리우레탄등을 사용하는 산업분야에서 폐스티로폼과 폐폴리우레탄과 같은 산업폐기물이 발생하는 바, 그 처리에 있어서 공극률을 최소화시키며 부피를 줄여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폐스티로폼 또는 폐폴리우레탄을 감용시키는 이유는 이송시 소요되는운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압축 감용된 폐스티로폼은 다시 분쇄하여 재생이 가능하며 그 재활용에 대한 효용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폐스티로폼등을 용이하게 압축 감용시킬 수 있도록 폐스티로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와, 파쇄된 폐스티로폼을 수직방향으로 압축시키는 1차 압축부와, 다시 수평방향으로 압축시키는 2차 압축부와, 폐스티로폼의 내재 공기를 배출시키며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을 유지시키는 정체실로 구성된 압축식 감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의 정체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의 정체실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의 정체실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의 정체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쇄부 12 : 호퍼
14 : 1차 파쇄롤 16 : 2차 파쇄롤
20 : 이송부 22 : 호퍼
24 : 스크류 컨베이어 30 : 압축실
40 : 제1압축부 42 : 수직형 압축실린더
44 : 수직가압판 46 : 가이드 로드
48 : 상하행정 감지센서 50 : 제2압축부
52 : 수평형 압축실린더 54 : 수평가압판
56 : 좌우행정 감지센서 60 : 테이퍼 프레임
70 : 제1정체실 72 : 상판
74 : 양측판 76 : 하판
77 : 끼움용 편 78 : 누름판
80 : 제2정체실 82 : 상판
84 : 양측판 86 : 하판
87 : 끼움용 편 88 : 누름판
92 : 누름조절볼트 94 : 공기배출구
96 : 지지프레임 98 : 지지대
100 : 압축감용장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폐스티로폼 투입용 호퍼(12)와, 상하로 배치되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1차 및 2차에 걸쳐 파쇄시키는 1차 파쇄롤(14) 및 2차 파쇄롤(16)로 구성된 파쇄부(10)와; 파쇄된 페스티로폼 투입용 호퍼(22)와, 이 호퍼의 밑쪽에 위치된 스크류 컨베이어(24)로 구성된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빠져나온 폐스티로폼이 쌓이게 되는 압축실(30)과; 상기 압축실(30)의 상단에 장착된 수직형 압축실린더(42)와, 상기 압축실(30)의 상단 내면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구동과 함께 상하 구동되는 수직 가압판(44)으로 구성된 제1압축부(40)와; 상기 압축실(30)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수평형 압축실린더(52)와, 이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구동과 함께 좌우 구동되는 수평 가압판(54)으로 구성된 제2압축부(50)와; 상기 압축실(30)의 하단 반대쪽면에 일체로 형성된 테이퍼 프레임(60)과; 상기 테이퍼 프레임(60)의 출구부에 탈거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된 상판(72)과 하판(76) 및 양측판(74)과, 이 양측판(74)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용 편(77)과, 이 끼움용 편(77)에 상판(72)을 누를 수 있도록 끼워지는 누름판(78)으로 구성된 제1정체실(70)과; 상기 제1정체실(70)의 하판(76)과 일체로 연결된 하판(86)과, 상기 제1정체실(70)의 양측판(74)과 힌지로 연결되고 끼움용 편(87)이 일체로 형성된 양측판(84)과, 격자 모양의 상판(82)과; 끼움용 편(87)에 격자형의 상판을 누를 수 있도록 끼워지는 누름판(88)으로 구성된 제2정체실(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수직가압판(44)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실(30)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46)의 하단끝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가이드 로드(46)의 상단부에는 상하행정 감지센서(4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후단부에는 수평가압판(54)의 좌우 행정을 2단으로 제어하는 3개의 좌우행정 감지센서(5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의 각 양측판(74,84)은 상판(72,82) 및 하판(76,86)에 대하여 누름조절볼트(92)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의 각 양측판(74,84)과 하판(76,86)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구(9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실(30)의 저면에는 지지프레임(96)이 받쳐지게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96)의 밑으로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압축실(30)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9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압축식 감용 장치(100)는 압축 처리하는 폐스티로폼의 용량에 따라서 대용량일때는 파쇄부(10)와 압축실(30)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설치하여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용량일때는 일체로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10)는 폐스티로폼 투입용 호퍼(12)와,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1차 및 2차에 걸쳐 파쇄시키는 1차 파쇄롤(14) 및 2차 파쇄롤(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퍼(12)는 투입될 폐스티로폼의 크기가 육면체의 상자크기를 갖는 바,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넓이의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12)의 바로 밑에 설치된 1차 파쇄롤(14)은 투입된 폐스티로폼의 크기를 굵게 파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적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투입된 폐스티로폼이 1차로 파쇄되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1차 파쇄롤(14)의 밑에는 2차 파쇄롤(16)이 설치되어 있는 바, 1차 파쇄롤(14)에 비하여 회전속도를 고속으로 적용시켜, 1차 파쇄된 폐스티로폼이잘게 파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호퍼(12)를 통하여 투입된 상자크기의 폐스티로폼은 상기 1차파쇄롤(14)에서 중간 크기로 파쇄된 후, 상기 2차 파쇄롤(16)를 통과하면서 잘게 파쇄되어, 폐스티로폼의 파쇄공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잘게 부수어진 폐스티로폼은 압축실쪽으로 이송되어 압축 처리되는 바, 이 압축실을 포함하는 압축부의 구성을 도 1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파쇄된 폐스티로폼은 이송부(20)를 거쳐 압축실(3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바, 상기 이송부(20)는 파쇄된 폐스티로폼 투입용 호퍼(22)와, 이 호퍼(22)의 밑쪽에 위치된 스크류 컨베이어(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4)는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배출부가 압축실(30)의 내부와 하향 경사진 형태의 관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호퍼(22)를 통하여 유입된 폐스티로폼을 소정의 속도를 유지하며 종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게 되면, 스크류 컨베이어(24)를 빠져나온 파쇄된 폐스티로폼은 압축실(30)의 바닥면에서부터 쌓이게 된다.
여기서 압축실과, 제1압축부와, 제2압축부로 나누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압축실(30)은 압축 처리할 폐스티로폼의 용량에 따라 그 용적이 큰 것 또는 작은 것을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압축부(40)는 압축실(30)의 상단부에 장착된 수직형 압축실린더(42)와, 이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구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는 수직가압판(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압축실(30)의 상단 중앙부에 수직형 압축실린더(42)가 장착되고, 이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피스톤 축에 수직 가압판(44)이 일체로 장착되며, 이때의 수직 가압판(44)은 압축실(30)의 넓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압축실(30)의 상단 내면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구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어진다.
특히, 상기 수직가압판(44)의 상면 양쪽에는 상기 압축실(30)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46)의 하단끝이 일체로 연결되는 바, 이 가이드 로드(46)는 압축실(30)의 상하 길이보다 길고, 상단끝 부분에는 상하행정 감지센서(4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로드(46)는 수직가압판(44)의 상하 수직 운동시, 함께 수직으로 운동함으로써, 수직가압판(44)의 상하 운동시의 안내 역할을 하게 되고, 수직가압판(44)의 상하 왕복운동의 직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에따라, 상기 압축실(30)에 쌓인 파쇄된 폐스티로폼은 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수직가압판(44)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축되고, 이때의 수직가압판(44)의 상하 행정 길이(예를들면, 상사점과 하사점의 위치)를 가이드로드(46)의 상단에 설치된 상하행정 감지센서(48)에서 감지하여 제어함으로써, 폐스티로폼의 1차 압축되는 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수직가압판(44)의 위치는 하사점에 계속 위치된 상태로서, 이때 다음과 같이 기술하는 제2압축부(50)의 구동이 시작된다.
상기 제2압축부(50)는 압축실(30)의 하단 일측에 소정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장착된 수평형 압축실린더(52)와, 이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피스톤 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수평가압판(54)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후단부에는 상기 수평가압판(54)의 좌우 행정시 그 위치를 2단으로 제어하는 3개의 좌우행정 감지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가압판(44)이 하사점에 위치하며 폐스티로폼을 1차로 압축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구동과 함께 수평가압판(54)이 좌우방향으로 구동되면서 폐스티로폼을 2차로 압축시키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좌우행정 감지센서(56)가 수평가압판(54)의 좌우 행정을 제어하게 된다.
그 제어는 상기 수평가압판(54)이 1차로 전진하여 중간지점에서 멈추고, 다시 후진하여 초기위치부터 최종위치까지 한 번에 전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3개의 좌우행정 감지센서(56)는 수평가압판의 행정위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수평가압판(54)이 중간위치까지 전진하는 시점과 그 위치, 그리고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시점과 그 위치, 마지막으로 원위치에서 최종위치까지 한 번에 전진하는 시점과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수평가압판(54)이 두 번에 걸쳐 압축을 수행하는 이유는 폐스티로폼의 압축과 함께 내부에 압축되어 있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오는 시간을주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1차 및 2차 압축의 수행과 그에따른 진동 및 응력등은 전체 압축실(30)을 받쳐주는 지지구조에 의하여 용이하게 완충되는데, 즉 상기 압축실(30)의 저면을 받치고 있는 지지프레임(96)과, 이 지지프레임(96)의 밑으로는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압축실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98)에 의하여 1차 및 2차 압축 수행에 따른 진동과 응력이 용이하게 완충된다.
이와 같이, 폐스티로폼이 1차 및 2차에 걸쳐 압축된 후, 상기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반대쪽 위치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정체실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 배출구는 테이퍼 프레임(60)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이 테이퍼 프레임(60)의 내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단면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1차 및 2차 압축된 폐스티로폼은 테이퍼 프레임(60)의 내부를 빠져 나가면서 3차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차 및 2차 압축된 폐스티로폼은 상기 테이퍼 프레임(60)을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로 성형되는 3차 압축을 받게되고, 이때 최종 압축되는 폐스티로폼의 크기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에는 테이퍼량이 크거나 작은 다른 사양의 테이퍼 프레임(60)으로 교체 가능하다.
즉, 설계시 미리 지정된 폐스티로폼의 압축 밀도를 얻기 위하여, 테이퍼 프레임(60)의 테이퍼량을 조절하여 3차 압축시킴으로써, 지정된 밀도의 압축 폐스티로폼을 정체실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첨부한 도 2내지 도 5를 참조로 상기 정체실의 구조와 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체실은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로 구성되어, 압축된 폐스티로폼의 내부에 함께 압축되어 있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여, 압축된 상태의 압축밀도와 형상을 그대로 유지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정체실(70)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테이퍼 프레임(60)의 출구부에 상판(72)과 하판(76) 및 양측판(74)이 탈거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판(72) 및 하판(76)의 측면에 대하여 양측판(74)이 밀착되어, 다수개의 누름조절볼트(92)로 체결되고, 특히 상기 하판(76)과 양측판(74)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9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정체실(70)의 양측판(74)의 상단부에는 직각 형상의 끼움용 편(77)이 상판(72)보다 높은 위치를 차지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용 편(77)에는 상판(72)을 눌러줄 수 있는 소정 무게의 누름판(78)이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정체실(80)의 구성을 살펴보면, 하판(86)이 제1정체실(70)의 하판(76)과 일체로 연결되며 형성되어 있고, 양측판(84)이 상기 제1정체실(70)의 양측판(74)에 대하여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정체실(80)의 양측판(84)의 상단부에도 동일한 형태의 끼움용 편(8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정체실(80)의 상판(82)은 소정 길이의 막대가 격자 모양으로 일체 연결된 형상으로서, 제2정체실(80)을 통과하는 폐스티로폼의 상면에 그대로 올려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격자형의 상판(82)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끼움용 편(87)에는 누름판(88)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하판(86)과 양측판(84)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94)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정체실 및 제2정체실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테이퍼 프레임(60)을 빠져 나온 폐스티로폼은 그 압축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제1정체실(70)의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된 폐스티로폼에 함께 압축되어 있던 공기가 제1정체실(70)의 하판(76) 및 양측판(74)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배출구(94)를 통하여 배출되고, 그에따라 폐스티로폼은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정체실(70)의 양측판(74)에 체결되어 있는 누름조절볼트(92)를 약간 풀어주는 동시에 제1정체실(70)의 내부 단면적이 약간 달라지게 함으로써, 제1정체실(70)을 통과하는 폐스티로폼의 배출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정체실(70)의 각 양측판(7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용 편(77)에 누름판(78)을 삽입하는 동시에 상판(72)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정체실(70)의 내부를 통과하는 압축된 폐스티로폼의 반발력을 차단하여, 폐스티로폼의 압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제1정체실(70)을 빠져나온 폐스티로폼은 연이어서 상기 제2정체실(80)을 통과하게 되는 바, 제1정체실(70)에서 폐스티로폼내의 압축된 공기가 빠져나간 상태이지만, 제2정체실(80)을 통과하면서 나머지 압축된 공기의 잔량이 빠져나가게 되고, 따라서 폐스티로폼은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으로 더욱 용이하게유지되어진다.
즉, 상기 제2정체실(80)의 격자형 상판(82) 사이의 공간과, 양측판(84)과 하판(86)에 형성된 공기배출구(94)로 나머지 압축된 공기의 잔량이 빠져나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정체실(80)의 양측판(8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끼움용 편(87)에 누름판(88)이 끼워지는 동시에 격자형의 상판(82)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제2정체실(80)의 내부를 통과하는 압축된 폐스티로폼의 반발력을 차단하여, 폐스티로폼의 최종 압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폐스티로폼의 배출압력과 그 압축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축식 감용 장치에 의하면, 공극률이 큰 폐스티로폼을 압축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측면에서 재생 및 재활용을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용량의 폐스티로폼의 압축 처리를 높은 효율로 수행할 수 있고, 압축 감용 설비의 조절을 통하여 소용량 및 대용량의 폐스티로폼을 모두 수용하여 압축 처리 가능하다.
또한, 폐스티로폼의 압축과 함께 내부에 함께 압축된 공기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폐스티로폼이 지정된 압축밀도와 형상으로 용이하게 압축된다.

Claims (5)

  1. 폐스티로폼 투입용 호퍼(12)와, 상하로 배치되어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1차 및 2차에 걸쳐 파쇄시키는 1차 파쇄롤(14) 및 2차 파쇄롤(16)로 구성된 파쇄부(10)와;
    파쇄된 페스티로폼 투입용 호퍼(22)와, 이 호퍼의 밑쪽에 위치된 스크류 컨베이어(24)로 구성된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빠져나온 폐스티로폼이 쌓이게 되는 압축실(30)과;
    상기 압축실(30)의 상단에 장착된 수직형 압축실린더(42)와, 상기 압축실(30)의 상단 내면에 위치되어 상기 수직형 압축실린더(42)의 구동과 함께 상하 구동되는 수직 가압판(44)으로 구성된 제1압축부(40)와;
    상기 압축실(30)의 하단 일측에 장착된 수평형 압축실린더(52)와, 이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구동과 함께 좌우 구동되는 수평 가압판(54)으로 구성된 제2압축부(50)와;
    상기 압축실(30)의 하단 반대쪽면에 일체로 형성된 테이퍼 프레임(60)과;
    상기 테이퍼 프레임(60)의 출구부에 탈거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된 상판(72)과 하판(76) 및 양측판(74)과, 이 양측판(74)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용 편(77)과, 이 끼움용 편(77)에 상판(72)을 누를 수 있도록 끼워지는 누름판(78)으로 구성된 제1정체실(70)과;
    상기 제1정체실(70)의 하판(76)과 일체로 연결된 하판(86)과, 상기 제1정체실(70)의 양측판(74)과 힌지로 연결되고 끼움용 편(87)이 일체로 형성된 양측판(84)과, 격자 모양의 상판(82)과; 끼움용 편(87)에 격자형의 상판을 누를 수 있도록 끼워지는 누름판(88)으로 구성된 제2정체실(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감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압판(44)의 상면에는 상기 압축실(30)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로드(46)의 하단끝이 일체로 연결되고, 이 가이드 로드(46)의 상단부에는 상하행정 감지센서(4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감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형 압축실린더(52)의 후단부에는 상기 수평가압판(54)의 좌우 행정을 2단으로 제어하는 3개의 좌우행정 감지센서(5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감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의 각 양측판(74,84)은 상판(72,82) 및 하판(76,86)에 대하여 누름조절볼트(92)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감용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정체실(70)과 제2정체실(80)의 각 양측판(74,84)과 하판(76,86)에는 다수개의 공기배출구(9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감용 장치.
KR2020010010705U 2001-04-16 2001-04-16 압축식 감용 장치 KR200238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5U KR200238508Y1 (ko) 2001-04-16 2001-04-16 압축식 감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705U KR200238508Y1 (ko) 2001-04-16 2001-04-16 압축식 감용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120A Division KR20020080517A (ko) 2001-04-16 2001-04-16 압축식 감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08Y1 true KR200238508Y1 (ko) 2001-10-11

Family

ID=7306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705U KR200238508Y1 (ko) 2001-04-16 2001-04-16 압축식 감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2154A (ko) * 2002-04-12 2003-10-22 곽희덕 스티로폼 감용기의 효율 증대 방법 과 장치
KR100469869B1 (ko) * 2001-10-10 2005-02-07 최병수 폐 스티로폼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869B1 (ko) * 2001-10-10 2005-02-07 최병수 폐 스티로폼 처리장치
KR20030082154A (ko) * 2002-04-12 2003-10-22 곽희덕 스티로폼 감용기의 효율 증대 방법 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43860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ссовани в блоки отходов металлообработки
US5873304A (en) Compacting press
CN105172187A (zh) 一种可连续喂料的打包机
KR20020080517A (ko) 압축식 감용 장치
CN108295995B (zh) 一种破碎机
KR200238508Y1 (ko) 압축식 감용 장치
CN103567029B (zh) 破袋筛分机和餐厨垃圾处理系统
EP0677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plastic materials
US5363758A (en) Baler for polystyrene material
CN110787863A (zh) 一种化工原料超细磨粉机
CN112221584A (zh) 一种建筑垃圾回收处理装置
EP0932493B1 (en) Baler
BG65094B1 (bg) Раздробяваща установка
US4786000A (en) Bottle breaking apparatus
CN214773245U (zh) Led生产用注塑机的粒料筛分装置
JP2943052B2 (ja) 廃棄物減容機
CN113245337A (zh) 一种城市固体废物环保填埋处理装置
CN218610985U (zh) 一种废料回收装置
KR102270478B1 (ko) 폐우레탄 압축장치
CN213261232U (zh) 一种用于泡沫压料机的压紧装置
JP2000326098A (ja) 圧縮成形装置
CN211763710U (zh) 一种带加强缸的卧式全自动打包机
CN220346836U (zh) 一种废纸回收打包装置
CN218701568U (zh) 一种压瓶机
CN217070111U (zh) 一种冲压模具废料排出机构及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