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437Y1 -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437Y1
KR200238437Y1 KR2020010009420U KR20010009420U KR200238437Y1 KR 200238437 Y1 KR200238437 Y1 KR 200238437Y1 KR 2020010009420 U KR2020010009420 U KR 2020010009420U KR 20010009420 U KR20010009420 U KR 20010009420U KR 200238437 Y1 KR200238437 Y1 KR 200238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heating
pipe
he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하
Original Assignee
김석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하 filed Critical 김석하
Priority to KR2020010009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437Y1/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연탄은 우리 나라에서 다량으로 생산되는 부존 자원으로서 외화 절약에 중요한 몫을 담당할 수 있으나, 이의 이용이 부진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불합리성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난방용 온수 보일러는 토관 주면에 나선상의 온수 가열관이나 원통상의 가열수실을 형성하여 여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거나, 생활 용수로 사용하는 경우와 연탄 토관의 상부에 안치되는 뚜껑체의 내부에 가열수실을 형성하여 여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난방이나 생활 용수로 얻을 수 있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생활 용수의 경우는 이의 용수관이 난방관과 연결되어 있어 비위생적이어서 식기 세척 등의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고, 또한 난방의 경우는 난방관 내에서 공기가 생기면 이 공기로 인하여 온수의 순환이 되지 않아 이때에는 배기 콕을 열고 공기를 일일이 배출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토관(2) 외주에 형성된 수실(1') 내의 상측에는 물통(11) 및 생활용수 배수 콕(4'')과 연결된 나선 가열관(4)을 설치하여 난방관(10)과는 별도로 생활 용수를 얻을 수 있게 하고, 토관(2)의 상부에 안치되는 뚜껑체(3)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 수실(3')의 상부에는 물통(11)과 연결된 호우스(5a)가 연결되고, 가열수실(3')의 저면에 돌출된 나선 가열관(3')의 선단에는 온수 분배기(8)와 연결된 온수 배출 호우스(7a)를 연결하여 연탄 교체 시는 전기한 호우스(5a)(7a)가 절곡되면서 뚜껑체(3)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전기한 가열수실(1')(3')과 나선 가열관(3') 및 난방관(10) 내에서 생성된 공기는 온수 배출관(7) 및 온수 배출 호우스(7a)를 연결한 관이음구(6)에 연결된 공기 배출관(7')을 통해 대기 속으로 자동 배출되게 하였기 때문에 난방관(10) 내에는 온수의 순환이 원활히 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Auto circulating boiler using the briquet}
본 고안은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연탄은 우리 나라에서 다량 생산되는 부존 자원으로서 외화 절약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나, 종래의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온수 보일러는 아래와 같은 비합리점이 있어 이의 이용이 기피되고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가정용 온수 보일러는 토관 주면에 나선상의 온수 가열관이나 원통상의 온수 가열 수실을 형성하여 여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하거나 생활용수를 얻는 경우와 연탄이 연소되는 토관 상부에 안치되는 뚜껑 내부에 가열 수실을 형성하여 여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하거나 생활 용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온수 보일러는 사용과정 난방관 내부에서 생긴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배기 장치가 없기 때문에 난방관 내에 생긴 공기에 의해 온수 순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고, 이때에는 일일이 인위적으로 배기 콕을 열어서 난방관 내에 함유되고 있는 공기를 배출시켜야 하는 폐단이 있고, 또한 생활 용수를 이용할 때는 이 생활 용수관과 연결되므로서 이에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식기등을 세척하는 주방 용수로는 부적합한 비위생적인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연탄의 화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토관의 상부 외주에는 가열 수실을 형성하되, 그 내부에는 생활 용수만을 생성하는 나선 가열관을 설치하여 수실 내의 온수에 의해 간접 가열되게 하되, 이 나선 가열관 상단에는 물통과 연결된 냉수 유입관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선단에 배수 콕이 있는 온수 배출관이 설치되어 속성으로 가열된 깨끗한 생활 용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몸체의 상부에 안치되는 뚜껑체의 내부에는 냉수 유입 호우스 및 온수 배출 호우스와 연결된 가열 수실 및 이와 연통된 나선 가열관을 하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토관(2)에서 연소된 연탄의 높은 화력으로 집중 가열할 수 있게 하고, 가열 과정 및 난방 과정에 있어 가열관이나 난방관 내에서 생긴 공기는 온수 배출관의 관이음구에 연결된 공기 배출관을 통해 밖으로 자동 배출되게 하므로서 난방관 내에서 생긴 공기에 의해 온수의 순환이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1'-수실 1'-연통 2-토관
2'-공기유입구 2'-받침턱 3-뚜껑체 3'-수실
3'-가열관 3''-유입관 3''-배출관 3a-보온층
4-나선 가열관 4'-유입구 4'-배출구 4''-배수 콕
5,5'-냉수 유입관 5a-냉수유입 호우스 6,6',6'-관이음구
7,7'-온수배출관 7'-공기 배출관 7a-온수 배출 호우스
8-온수 분배기 8'-개폐구 9-냉각수 회수기 9'-유입구
10-난방관 11-물통 12-자동밸브 12'-부구
13-수도관 14-연탄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서 토관(2) 외주에는 연기 연통(1')을 개재한 가열수실(1')이 형성되고, 가열수실(1')의 내부에는 관이음구(6')(6')을 개재하여 물통(11)과 연결된 냉수 유입관(5)이 끼움 설치되고, 가열수실(1')의 상측에는 관이음구(6)를 개재하여 온수 분배기(8)와 연결된 온수 배출관(7)이 연결되고,관 이음구(6)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7')이 연결되며, 가열수실(1')의 내부 상측에는 나선 가열관(4)이 설치되어 수실(1') 내의 온수에 의해 가열할 수 있게 하되, 이 나선 가열관(4)의 하단부에 연결된 냉수 유입구(4')에는 관이음구(6')에 연결된 냉수 유입관(5')이 연결되고, 나선 가열관(4)의 상부에 연결한 온수 배출구(4')에는 선단에 온수 배수콕(4'')이 부착된 온수 배출관(7')이 연결되며, 몸체(1)의 상부에 안치되는 보온층(3a)이 상부에 있는 뚜껑체(3)의 내부에는 가열수실(3')을 형성하여 이의 상부에 형성된 냉수 유입관(3'')에는 전기한 관이음구(6')에 연결된 냉수 유입 호우스(5a)가 연결되고, 가열수실(3')의 저면에 돌출된 나선 가열관(3')의 선단에는 전기한 관이음구(6)에 연결된 온수 배출 호우스(7a)가 연결되며, 전기한 온수 분배기(8)에 형성된 다수의 개폐구(8')에는 난방관(10)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의 타단에는 전기한 가열수실(1')의 하부에 설치된 유입구(9')와 연결된 냉각수 회수기(9)가 연결되며, 전기한 냉수 유입관(5)의 상단에 설치된 물통(11)에는 수도관(13)과 연결된 자동 밸브(12)가 설치되어 부구(12')에 의해 자동 개폐되어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를 설치할 시는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온수 분배기(8)와 냉각수 회수기(9) 사이에 난방관(10)을 배치 연결하고, 생활 용수의 배수콕(4'')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뚜껑체(3)를 열고 닫으면 이에 연결된 호우스(5a)(7a)는 용이하게 휘임되기 때문에 뚜껑체(3)의 열고 닫기가 간편하여 토관(2) 내에 연탄(14)의 착화 및 교체가 용이하고, 토관(2)내에서 연탄(14)을 연소시키면 연소되는 과정 생긴 높은 화력은 토관(2)의 상부로 집중되면서 가열수실(1')의 상측부와 몸체(1) 위에 안치된 뚜껑체(3)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나선 가열관(3')을 가열함에 따라 가열 수실(1') 내에서 가열된 온수는 수실(1')의 상측부에 설치된 나선 가열관(4) 내에 있는 생활 용수를 가열하게 되므로 배수 콕(4'')을 이용하면 깨끗한 온수를 생활 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나선 가열관(3') 내에서 소모된 물은 물통(11)에 설치된 냉수 유입관(5')을 통해 충당되며, 물통(11) 내의 소모된 물은 수도관(13)과 연결된 자동밸브(12)를 통해 공급되어지므로 배수 콕(4'')에서는 항상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열수실(1') 내에서 가열된 온수와 뚜껑체(3) 및 이의 저면에 설치된 나선 가열관(3')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 배출관(7)과 온수 배출 호우스(7a) 및 이의 관이음구(6)와 연결된 온수 분배기(8)를 통해 난방관(10)으로 유입되어 순환되면서 난방하게되고 난방하는 과정 중 생긴 공기는 온수 배출관(7) 및 온수 배출 호우스(7a)의 관이음구(6)에 연결된 공기 배출관(7')을 통해 대기 속으로 자동 배출되므로 가열관(3')이나 난방관(10) 내에는 공기에 의해 온수 순환이 저해되는 폐단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온수 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 연탄의 높은 연소 열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가열 수실(1')의 상측부와 뚜껑체(3)의 수실(3') 저면에는 나선 가열관(4)(3')을 각각 설치하여 온수를 속성 가열할 수 있게 하되, 전기한 나선 가열관(4)에서 가열된 깨끗한 온수는 배수 콕(4'')을 통해 생활용수로 바로 쓸 수 있게 하고, 가열수조(1')(3') 및 전기한 나선 가열관(3')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 분배기(8)에 연결된 난방관(10)을 통해 다수의 방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난방할 수 있게 하고, 난방 과정 난방관(1) 속에 생긴 공기나 가열 과정 수실(1')(3') 및 가열관(3')에서 생긴 공기는 공기 배출관(7')을 통해 대기 속으로 자동 배출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난방 효율 및 에너지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토관(2)의 외주에 형성된 가열수실(1')의 하부측에는 물통(11)과 연결된 냉수 유입관(5)이 연결되고, 가열수실(1')의 상부측에는 온수 분배기(8)와 연결된 온수 배출관(7)이 연결되고, 토관(2)의 상부에는 뚜껑체(3)가 안치되고, 뚜껑체(3)의 내부에는 가열수실(3')을 형성하여 이 수실(3')의 상부에는 냉수 유입 호우스(5a)가 연결되고, 수실(3')의 하부에 돌출된 나선 가열관(3')의 선단에는 온수 배출 호우스(7a)가 연결된 것에 있어서, 전기한 수실(1') 내의 상측부에는 나선 가열관(4)을 설치하여 이의 유입구(4')에는 물통(11)과 연결된 냉수 유입관(5')이 연결되고, 배출구(4')에는 선단에 배수 콕(4'')이 있는 온수 배출관(7')이 연결되며, 전기한 온수 배출 호우스(7a) 및 온수 배출관(7)과 연결된 관이음구(6)의 상부에는 공기 배출관(7')이 연결되어 난방관(10) 내에서 생긴 공기가 자동으로 배출되게 한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KR2020010009420U 2001-04-04 2001-04-04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KR200238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420U KR200238437Y1 (ko) 2001-04-04 2001-04-04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420U KR200238437Y1 (ko) 2001-04-04 2001-04-04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437Y1 true KR200238437Y1 (ko) 2001-10-10

Family

ID=7309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420U KR200238437Y1 (ko) 2001-04-04 2001-04-04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719850U (zh) 一种燃气灶余热利用装置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KR200238437Y1 (ko) 연탄을 이용한 난방용 자연 순환 온수 보일러
CN102813446A (zh) 蒸箱
CN212132899U (zh) 一种燃气壁挂炉燃烧器余热回收装置
CN211084043U (zh) 一种新型的蒸汽发生装置
KR20080000968U (ko) 연탄 보일러
CN212390437U (zh) 一种配气式集成灶
CN209106929U (zh) 一种节能锅
CN209802151U (zh) 一种真空热水锅炉余热利用装置
CN220506776U (zh) 一种商用厨房节能炉灶
CN209623107U (zh) 一种带有防干烧功能的立式节能器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20050080096A (ko) 가정용 연탄보일러
KR100992701B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CN2562092Y (zh) 高效热水灶
CN215571187U (zh) 一种带有电热水循环装置的燃气热水器
CN220695204U (zh) 家用电器
CN110425597B (zh) 一种炉灶烟气余热回收装置
KR101243373B1 (ko) 다목적 보일러
CN218119876U (zh) 一种余热循环利用太阳能热水采暖装置
CN201093716Y (zh) 一种带返火圈的节能锅炉
KR200176376Y1 (ko) 가정용 보일러의 온수 예열장치
KR200389885Y1 (ko) 배기열을 이용한 보일러 온수 공급장치
CN108477974A (zh) 一种节能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