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36Y1 -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36Y1
KR200237736Y1 KR2020000037355U KR20000037355U KR200237736Y1 KR 200237736 Y1 KR200237736 Y1 KR 200237736Y1 KR 2020000037355 U KR2020000037355 U KR 2020000037355U KR 20000037355 U KR20000037355 U KR 20000037355U KR 200237736 Y1 KR200237736 Y1 KR 200237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drainag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7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00037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36Y1/ko

Links

Landscapes

  • Greenhous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축산용토지나 밭등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로서 종래에는 급배수용 파이프가 별도로 사용되어 있으며, 이의 해결을 위하여 본인의 선고안출원(20-99-9572)에 의거 별도의 급,배수 파이프로 구성된 파이프를 제공하였으니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혹한이나 폭염인 경우 별도의 냉,난방 장치를 설치하여 주거나 야외에서 생장시켜주는 초지나 운동장의 잔디의 초록색의 성장 조건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바 특히 초지 및 밭등에서 보온, 비료 물등의 적정량 공급 및 배수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공급관(13)에 나선권회로 배수관(11)의 일측을 절곡시켜 융착대(14)로 일체화 시켜주되 공급관(13)의 융착대(14)부위에 공급구(16)을 천공하고 배출관에 배출구(12)을 천공시켜 보온 및 급수는 공급관(13)의 공급구(16)을 통하여 토지(15)에서 배수를 하여 주도록하여 특히 토지(15)에 골고루 급수가되며 또 계절에 관계없이 보온할 수 있는 구조 제공을 하며 장마 및 폭우등으로 배수는 배출구(12)를 통하여 배수관(11)으로 배수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된 제품이며 이의 실시예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omitted}
본 고안은 밭, 운동장, 초지 등에서 여름철에 폭염 및 가뭄이나 장마등으로 급수 및 배수를 촉진시켜 줄 경우나 겨울철에 폭설이 내려 눈이 쌓여 추워져서 밭등의 초지가 제빙되어 농작물의 성장저해 및 동파 사고의 발생요인이 되는 현실이 되었고, 도 비닐하우스인 경우 보온시설을 설치하여 주는 현실로서 이에 대한 해결로서 본인의 토지의 효과적인 급수로 절수 뿐만 아니라 농약, 비료 등의 효과적인 급수를 제공하는 문제 해결을 요망하는 바 본 고안은 이에 대한 효과적인 제품제공을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급,배수용 파이프가 농작물에 대한 급수 및 배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토지, 비닐하우스, 밭 등에서 또 겨울철에 혹한이나 폭설이 자주 내리는 지역의 토지에 쌓인 폭설이나 저온 및 여름철의 고온 등을 본 고안의 제품의 공급구조로 15∼25 ℃ 정도의 온수 및 온풍을 공급하여 공급관에서 공급구로 토지표면이 보온 및 보냉을 하고 배출구로 토지에 장마철등에 물이 고여있는 경우 물을 배출하여 가열 및 급수기 배출펌프로 순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토지표면의 보온 및 습기조절을 하여 채소 및 화초, 초지 성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발명이며, 특히 경사지에서 높은 곳과 낮은 곳에서 골고루 급, 배수가 되도록 제공하는 구조로서 이 때 가열조에서 가열된 온수 등 어느 정도 사용되는 토지 구간의 보온을 할 때 종래에서는 온풍이 공급되는 도중에 보온이 되어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경작하는 토지의 적절한 급, 배수로 골고루 채소나 초지 등의 적절한 성장조건을 본 고안의 제품의 역할로 해결해 주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고안의 요부의 일부절개된 상태도
도 5는 도 1의 요부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7(가)(나)은 도 6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요부 실시예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사용예의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 배출관 12. 배출구 13. 공급관
14. 융착대 15. 토지 16. 공급구
17. 배출요홈 18. 걸름망 23. 장공급구
24. 장배수구
본 고안은 농작물 또는 축산용 목초가 자라나는 지형의 조건에 따라 구성된 토지 등의 보온 및 급,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파이프로서 종래의 급수관, 배수관 및 보온용 설비 등이 별도로 시설시켜주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특히 자라나는 작물의 뿌리를 지지하는 토지에 직접 적용되도록 구성시켜 준 제품으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도 1 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권회 또는 민자관으로 구성된 공급관(13)와 배출관(11)이 서로 중첩되어 일정공간 형성으로 구성되고 공급관(13)과 배출관(11) 사이의 상측을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로 일체화하되 공급구(16)를 구성하여 배출공간(a)를 구성하여서 공급관(13)의 단면 넓이보다 더 넓은 공간유지 및 견고화를 시켜주되 배출구(12)를 배출관(11)에 천공시켜 구성된 제품으로서 토지의 보온, 보냉 및 급수 공급용으로 일측에 배출요홈(17)과 공급구(16)을 구성시켜주고 또 장마, 지하수 등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관(11)에 간헐적 배출구(12)를 천공시켜 준 고안으로 이때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는 공급구(16)을 공급관(13) 중심으로 나선권회로 또는 단면이 원형으로 공급관(13)의 상측부위에 구성되므로 하측부위는 배출관(11) 형성으로 지형에 따른 만곡 상태에서도 배수가 용이하게 형성되며 본 고안의 제품을 부직포 등으로 감싸서 매설시켜 주되 경사 높이에 관계없이 골고루 급수를 제공하는 고안으로 가열 및 급수기(20)에서 파이프로 연결시켜 사용하며 토지(15)에 심어진 농작물의 보온을 위하여 비닐등으로 덮어주어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상기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면 과수원, 초지, 공원, 밭 등에서 농작물이나 잔디의 성장을 보강하기 위하여 가열조(20)에서 연결된 연결파이프로 온풍을 공급관(13)을 통하여 융착대(14)에 형성된 공급구(16)에서 배출요홈(17)으로 방사하면 공급관(13)을 나선권회로 감싸고 있는 배출관(11)의 상측부위에 나선권회 방향으로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로 지지된 배출관(11)과 고정시켜서 나선권회로 회전구간마다 형성된 공급관(13)의 공급구(16)를 통하여 토지의 지형에 관계없이 급수가 공급되는 조건은 토지의 겨울철에는 제빙 및 저온의 해결을 위하여 15∼25 ℃ 정도의 온풍을 공급하고 또 비료, 농약 등의 공급이 직접 토지에 공급하며, 또 여름철에는 폭염에 의한 고온의 적절한 온도로 식혀주기 위하여 저온(5∼10 ℃) 정도의 냉풍을 공급하여 주며, 또 배출관(11)에는 배출구(12)를 천공시켜서 지하수나 장마로 인한 배수를 촉진하여 준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 급수를 하여 주도록 하며, 이때 배출관(11)은 넓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배출이 용이하게 사용하며, 이때 필요에 따라서 토지에 심어준 농작물(15)은 비닐(16)으로 덮어서 혹한기에 보온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므로 본 고안의 제품으로 골프장 등에서는 잔디의 성장 및 보존을 연장을 위하여 온풍 및 냉풍공급이 가능하고 또 종래의 급, 배수가 가능한 암거 배수로관으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또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급관(13)의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 보강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을 구성된 공급구(16)을 본 발명의 제품의 단면구조로 양측부위에 구성시켜주면 본 고안의 내구성 보강 뿐만아니라 사용현장에서 좌우 만곡상태로 만곡시켜 사용하는데 용이한 제품이 제공된다.
그리고 도 1의 실시예로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산성, 내구성 및 시공현장에서 지형에 따라 만곡형태로 사용이 용이되도록 공급관(13)의 상측부위에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가 형성된 부위에 공급구(16)이 구성된 반대부위 즉, 하측부위에 간헐적으로 배출관(11)을 절곡시켜 공급관(13)에 일체시켜 주는 고정대(19)와 융착점(18)으로 고정시켜주도록 구성된 고안이다. 이때 배출구(12)와 공급구(16)가 장기간 사용으로 주위의 토지에 대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망(18)을 감싸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파이프를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서로서로 연결시켜 줄 경우 연결관 몸체(9)와 연결관(26)을 지지격판(27)로 일체화시켜 공급관(13)과 배출관(11)이 동시에 연결시켜 주면서 온풍의 공급 및 배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제품이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 배수용 파이프의 사용 효율성 및 운반, 시공성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배출관(11) 및 공급관(13)의 구성이 장척으로 길게 제조하여 운반할 경우와 시공현장에서 지형에 따라 만곡시켜 사용하며 또 외압강도 등을 보강하기 위하여 단면이 파형공급관(13')와 파형 배수관(11')로 구성한다.
그리고 공급관(13)과 배출관(11)의 단면크기는 배출관(11)의 단면이 공급관(13)의 단면보다 2배정도로 크게 구성을 줄여주어서 배출되는 배출수의 배출공간(a)을 넓게 하여주기 위하여 융착대(14)의 구성을 조절하여 주면서 배출구(12)를 구성하고 배출관(11)의 구성간격을 공급관(13)의 직경 이상의 크기정도 유지되도록 구성시켜 주면 본 고안의 효과가 증대되는 제품이다. 또 도 2의 실시예로써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및 배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장융착부(22)에 장공급구(23) 및 장배수구(24)를 형성하여 주어도 되며, 이때 공급관(13)이나 장배수구(24)를 구성시켜 주면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고안이다. 고로 토지에 보온공기 온수, 비료, 농약으로 공급 및 배수를 공급하므로 종래의 지표에 살포하거나 공급하는 방법의 손실을 최소화하여서 특히, 채소 등의 오염을 줄여주는 제품이다.
본 고안은 농축산용 토지 및 초지등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안으로서 특히 지형에 따라 만곡시켜주며 운동장, 초지 등의 기후변화에 따라 장마, 가뭄 및 혹한기에도 작물의 생장에 적절한 보온 및 급, 배수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품으로서 가열 및 급수기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조절토록하여 수분조적과 암거 배수효과 및 기온에 따라 보온 등으로 적절한 저온 등을 공급하며 걸름망으로 감싸주어 토지에 의한 급, 배출구의 막힘을 해결하면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비닐을 토지 표면에 덮어주면서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에서 일정공간이 유지되면서 서로 중첩된 공급관(13)(13')과 배출관(11)(11')에 있어서 공급관(13)의 상측부위에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로 배출관(11)에 고정하되 공급구(16)와 배출구(12)를 간헐적으로 구성된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배출요홈(17)과 융착대(14)로 공급구(16) 형성을 공급관(11) 양측부위에 구성한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관(11)을 절곡시켜 고정대(19)와 융착점(18)을 공급관(13)의 공급구(14) 반대부위에 구성한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장융착대(22)과 장배수구(24)가 구성된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KR2020000037355U 2000-12-30 2000-12-30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KR200237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55U KR200237736Y1 (ko) 2000-12-30 2000-12-30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7355U KR200237736Y1 (ko) 2000-12-30 2000-12-30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530A Division KR100518462B1 (ko) 2000-09-16 2000-09-16 경사지의 급배수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36Y1 true KR200237736Y1 (ko) 2001-09-25

Family

ID=7306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7355U KR200237736Y1 (ko) 2000-12-30 2000-12-30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11972A1 (en) Hydro-thermo irrigation mat
JP3679053B2 (ja) 縦型養液栽培装置
JP4112539B2 (ja) 屋上緑化装置
RU224748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участков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JP2979209B2 (ja) 養液栽培方法および該構造
KR200237736Y1 (ko) 농축산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KR100518462B1 (ko) 경사지의 급배수용 파이프
JP3360816B2 (ja) 土壌の熱消毒方法
JP2631958B2 (ja) 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多孔質層形成ユニット、スポーツグラウンド用排水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パイプユニット並びにスポーツグラウンドの施工方法
KR200213668Y1 (ko) 농축산 토지용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JPH06233635A (ja) U字溝段流形式の水耕栽培装置
ES2820363T3 (es) Sistema de cultivo del paisaje irrigado
KR101742979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을 위한 재배통
KR100405572B1 (ko) 토지의 보온 및 급배수 파이프
JPH08172949A (ja) 地中埋設型移動式培地
CN208080061U (zh) 一种防旱防灼的树基保护件
KR100592335B1 (ko) 경사면 보호 블록의 급배수용 파이프
KR20020016746A (ko) 농축산 토지용 보온 및 급배수용 파이프
JP2004166571A (ja) 高畝隔離ベッド
JPH1175583A (ja) 野菜用給水器
CN220935819U (zh) 一种植物用集雨保水治沙装置
US20240085064A1 (en) Geothermal aerif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02360083A (ja) 高設ベッド栽培装置
JP2971062B1 (ja) ゴルフ場の芝生の保護管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8019660A (ja) 熱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