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09Y1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09Y1
KR200237709Y1 KR2019990011274U KR19990011274U KR200237709Y1 KR 200237709 Y1 KR200237709 Y1 KR 200237709Y1 KR 2019990011274 U KR2019990011274 U KR 2019990011274U KR 19990011274 U KR19990011274 U KR 19990011274U KR 200237709 Y1 KR200237709 Y1 KR 200237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here
bracket
clamp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019U (ko
Inventor
오선록
Original Assignee
오선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록 filed Critical 오선록
Priority to KR2019990011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09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0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09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피 구조물의 높이와 방향을 단일의 고정구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피 구조물의 세팅을 신속히 함은 물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 상,하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브라켓 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경에 삽입되는 구 홀더와, 구 홀더의 후방에 장착되며 전,후방에 구 홈부와 수직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 삽입홀에 장착되며 내측에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2압착홀더로 구성된 압착부와, 상기 제 1,2압착홀더에 삽입 체결되며 나선축과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고안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심축에 장착되는 피 구조물을 단일의 고정구를 통해 높이 및 각도를 동시에 조정할 수 있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램프라 함은, 높이 및 방향 조절이 필요한 구조물(이하 피 구조물이라 칭함)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클램프들이 공지되어 사용중에 있으며 그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 클램프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측에는 수직축(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부(611)와 서로 분리된 브라켓(612)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축 삽입부(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개부(621)와 서로 분리된 브라켓(622)이 형성되어 있는 구 삽입부(62)가 구비된 하우징(6)과;
상기 구 삽입부(62)에 장착되는 피 구조물(200)과 연결되어 있으며, 구(71)와 연결구(72)가 일체로 된 구홀더(7)와;
상기 수직축 삽입부(61)에 형성된 브라켓(612)을 관통하며 나선축(81)과 손잡이(82)로 이루어진 수직축 고정부(8)와;
상기 구 삽입부(62)에 형성된 브라켓(622)을 관통하며 나선축(91)과 손잡이(92)로 이루어진 구 고정부(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램프를 사용하여 피 구조물(200)의 방향 및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먼저 하우징(6)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축 삽입부(61)에 체결된 수직축 고정부(8)의 손잡이(82)를 회전시켜 하우징(6)의 높이를 조정한다. 다음, 하우징(6)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삽입부(62)에 체결된 구 고정부(9)의 손잡이(92)를 회전시켜 구홀더(7)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에 있어서, 높이를 조정할 경우에는 수직축 삽입부(61)에 장착되어 있는 수직축 고정부(8)를 해제시킨후 하우징(6)을 전체적으로 승강시켜 세팅하는 한편, 피 고정물(200)의 각도를 변경시킬 경우에는 축 삽입부(62)에 장착되어 있는 구 고정부(9)를 해제시킨후 구 홀더(7)의 각도를 변경시켜야 함으로서, 피 고정물을 세팅할 경우 많은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가지고있었다.
또한, 하우징(6)의 양측에 수직축 삽입부(61)와 구 삽입부(62)를 별도로 형성 하므로서, 제조공정의 과다로 인해 제작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 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피 구조물의 높이와 방향을 단일의 고정구를 통해 조정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피 구조물의 세팅을 신속히 하고 간편하게 하는 클램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 상,하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 브라켓 삽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경에 삽입되는 구 홀더와, 구 홀더의 후방에 장착되며 전,후방에 구 홈부와 수직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브라켓 삽입홀에 장착되며 내측에 원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 1,2압착홀더로 구성된 압착부와, 상기 제 1,2압착홀더에 삽입 체결되며 나선축과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종래 클램프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하우징
11 ; 내경
111 : 구형부, 112 : 구 삽입공
12 : 장공
13 : 홀더 삽입홀
2 : 구 홀더
21 : 구
22 : 연결축
3 : 압착브라켓
31 : 구 홈부
32 : 수직 원호부
4 : 압착부
41 : 제 1압착홀더
411 : 원호부, 412 : 홀
42 : 제 2압착홀더
421 : 원호부, 422 : 탭공
5 : 고정구
51 : 나선축
52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베이스(300)의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축(100)에는 피 구조물(200)이 장착되고, 하우징(1), 구홀더(2), 압착브라켓(3;도2참조), 압착부(4) 및 고정구(5)로 이루어진 클램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클램프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경(11)에는 전방에 구형부(111)와 축 삽입공(112)이, 중앙의 상,하부에는 수직축(100)이 삽입되는 장공(12)이, 이 장공(12)의 후방 양측에는 압착부(4)가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홀(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경(11)에 형성되어 있는 구형부(111)에 밀착되어 삽입되며, 구(21)와 연결축(22)이 일체로 구성된 구 홀더(2)와;
이 구 홀더(2)의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에는 상기 구(21)의 표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구 홈부(31)가, 후방에는 수직축(100)의 외경이 밀착될 수 있도록 수직 원호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브라켓(3)과;
상기 하우징(1)의 브라켓 삽입홀(13)에 장착되며, 내측에는 수직축(100)의 외경이 밀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원호부(411,421)가, 내경에는 홀(412)과 탭공(4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2압착홀더(41,42)로 구성된 압착부(4)와;
상기 제 1,2압착홀더(41,42)에 삽입 체결되며, 나선축(51)과 손잡이(52)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압착부(4)를 이루는 제 1,2압착홀더(41,42)의 내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수직의 원호부(411,42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 수직축(100)의 외경을 압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원호부(411,421)의 원호와 수직축(100)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압착홀더(41)에 형성되어 있는 홀(412)의 내경은 나선축(5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며, 상기 제 2압착홀더(41)에 형성되어 있는 탭공(422)은 상기 나선축(51)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와 서로 체결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하우징(1)의 후방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구(5)를 회전시켜, 제 1압착홀더(41)와 제 2압착홀더(42)의 사이 간격을 넓히게 되면, 상기 제 1,2압착홀더(41,4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원호부(411,421)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서, 하우징(1)의 장공(12)에 끼워진 수직축(100)이 후퇴되게 된다.
이에, 상기 수직축(100)에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압착브라켓(3)의 수직원호부(32)와 수직축(100)의 외경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압착브라켓(3)의 전방에 형성되는 구홈부(31)의 표면과 구홀더(2)를 이루는 구(21)의 표면 사이에도 간격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1)을 수직축(100)에서 승강시켜 높이를 세팅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구 홀더(2)를 회전시켜 피 구조물(200)의 각도를 변경시킨후, 상기 압착부(4)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구(5)를 회전시키게 되면,하우징(1)이 세팅된 높이에서 수직축(100)에 고정되고, 피 구조물(200)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피 구조물의 높이와 방향을 단일의 고정구를 통해 조정 가능케 함으로서, 피 구조물의 세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성를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

  1. 내경(11)에는 전방에 구형부(111)와 축 삽입공(112)이, 중앙의 상,하부에는 수직축(100)이 삽입되는 장공(12)이, 이 장공(12)의 후방 양측에는 압착부(4)가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홀(13)이 형성된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경(11)에 삽입되며 구(21)와 연결축(22)이 일체로 된 구 홀더(2)와; 이 구 홀더(2)의 후방에 장착되며 전방에는 구 홈부(31)가, 후방에는 수직 원호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압착브라켓(3)과; 상기 하우징(1)의 브라켓 삽입홀(13)에 장착되며 내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원호부(411,421)가, 내경에는 홀(412)과 탭공(4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2압착홀더(41,42)로 구성된 압착부(4)와; 상기 제 1,2압착홀더(41,42)에 삽입 체결되며 나선축(51)과 손잡이(52)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브라켓(3)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 원호부(32)와 상기 제 1,2압착홀더(41,42)의 내측에 형성된 원호부(411,421)의 원호는 수직축(100)의 외경 원호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19990011274U 1999-06-23 1999-06-23 클램프 KR200237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274U KR200237709Y1 (ko) 1999-06-23 1999-06-23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274U KR200237709Y1 (ko) 1999-06-23 1999-06-23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019U KR20010001019U (ko) 2001-01-15
KR200237709Y1 true KR200237709Y1 (ko) 2001-09-29

Family

ID=5476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274U KR200237709Y1 (ko) 1999-06-23 1999-06-23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019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575B2 (en) Fluorescent lampholder
US6010111A (en) Swiveling devic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US7097518B2 (en) Contact terminal
US6731340B1 (en) Surface-mount video camera adapted to be mounted on and used with a personal computer
US6843656B2 (en) Omnidirectionally adjustable wall lamp plug
US20040105271A1 (en) Lighting structure
US6010232A (en) Lamp holder assembly
US6109764A (en) Led lamp and polarized socket assembly for decorative lamp strings
KR200237709Y1 (ko) 클램프
GB2333910A (en) Panel-mounting bulbholder
JP3779892B2 (ja) 自在支持具
CN218941299U (zh) 头戴耳机咪杆旋转结构
CN112013249A (zh) 摄像机安装装置及摄像机组件
US4441782A (en) Lampsocket mechanism
US5816695A (en) Candlestick type lamp
US5803766A (en) Lamp socket
JPH056786A (ja) 放電灯用ソケツト
US20090154177A1 (en) Hinge for a lamp
US5690506A (en) Decorative lamp holder
CN213023876U (zh) 结构改进的补光灯
US6366246B1 (en) Antenna h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ntenna
KR940007011Y1 (ko) 모니터용 회전 및 기울기 조절장치
US5752763A (en) Light bulb and a light device using the same
JP3047391B2 (ja) 副装置付携帯用照明装置
JPS62248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